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학입시175

선행학습 영향평가 보고서(공교육 정상화법) 우리나라에서 선행학습을 금지하는 것이 법으로 제정되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런데 지금 현재의 대한민국은 사교육이 만연한 수준을 넘어 도리어 공교육이 위협받고 있는 양태를 보이는 상황이기에, 이러한 법이 굉장히 생소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이름으로 2014년 3월 11일에 제정된 법안이 있습니다. 이 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초 · 중 · 고교 및 대학의 정규교육과정과 방과 후 학교 과정에서 선행교육 금지 및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평가 불가 ② 학원 · 교습소 등 사교육 기관에서의 선행교육 광고 등 선전 금지 ③ 초 · 중 · 고교와 대학의 입학 전형은 각급 학교 입학 단계 이전 교육 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나지 못.. 2019. 5. 24.
[대입전형 분석] 논술전형 지난 시간까지는 대입전형의 큰 골자인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에 대해 지원절차, 전형요소, 유의사항 등을 점검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시전형 중에서 대표적인 유형 중 하나인 논술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논술전형의 이해 논술전형은 인문계열과 자연계열로 나뉘어 각 대학별로 학생의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독자적인 문항을 출제하는 일종의 대학별 고사입니다. 논술은 기본적으로 사고력을 기반으로 평가기준을 수립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개념 이해 능력 적용 및 활용 능력 외에 유형에 따라 ‘이해・분석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하게 됩니다. 특히, 창의적 사고력은 심층적 사고와 다각적 사고가 핵심 요소이며, 논지에 대.. 2019. 5. 23.
[대입전형 분석] 정시전형 지난 시간에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내신을 주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입전형, 수시전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학 수학능력시험의 성적을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대입전형의 후반전, 정시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학 수학능력시험 정시전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대학 수학능력시험, 이른바 수능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수능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주관하며, 시험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학생이 대학을 진학했을 때 얼마나 잘 수학할 수 있는지에 대한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제도입니다. 기본적으로 정시전형에서 전형요소로 많이 활용하는 시험이며, 수시전형에서는 최저등급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1994학년도부터 도입되어 우리나라에서 국가가 주도하는 가장 오래된 시험이며, 기본적.. 2019. 5. 22.
[대입전형 분석] 수시전형 지난 시간에 알아본 것처럼 대입전형은 크게 수시모집 전형과 정시모집 전형으로 나뉘어 각각 6장, 3장의 지원을 할 수 있으며, 합격여부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시 → 정시의 순서로 지원 가능한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입전형 중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수시전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시전형의 개념 수시모집(Early Admission)은 '대입전형의 대한 이해' 편에서 다루었듯이 정시모집 전에 대학에서 학생들을 미리 선발한다는 개념으로 1997학년도 대학입시부터 도입된 제도입니다. 수시전형에서 활용하는 전형요소는 대학 수학능력시험 성적보다는 학교생활기록부와 내신을 주 전형요소로 활용하여 학생부위주전형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대학 수학능력시험 성적 같은 경우는 수시전.. 2019.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