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학4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서원의 교육과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서원의 기능과 성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서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덕(德)․지(知) 조화(調和)의 인간교육 명종(明宗) 15년에 퇴계가 지은 영봉서원기(迎鳳書院記)에는 서원이 근본적으로 강명도학기구(講明道學機構)이며, 또 그것은 위기지학(爲己之學)하는 주자의 장수처(藏修處)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특히 퇴계가 "반드시 知德을 겸비한 산장(山長)(洞主, 스승)이 있어서 유생을 창솔(倡率)해야만 도술(道術)이 나누어지지 않고, 학자가 추향(趨向)을 알게 되며, 만약 산장이 없다면 서원을 두었다 해도 소득이 없다"한 사실은 이후의 강장이나 훈장이 유생들을 교육할 때 어떠한 자세로 임해야 하는지에 대해 암시해 줍니다. 조선의 서원 .. 2020. 10. 4.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서당이란?(기능과 성격)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조선시대의 중앙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인 관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크게 향교, 4부 학당, 성균관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부터는 조선의 사학(私學)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그 중에서도 우리에게 직관적으로 가장 유명한 서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당의 기능 서당(書堂)의 기원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니나 송나라 사람 서긍(徐兢)이 지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기록된 “여염집들이 있는 거리에는 경관(經館)과 서사(書社)들이 두셋씩 마주 바라보이고, 이곳에 백성들의 자제들이 무리로 모여 스승에게 경을 배우며…”라는 기록을 통해서 볼 때 고려시대에도 이미 서당과 같은 민간 교육기관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까.. 2020. 10. 1.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4부학당(사학)의 교육과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4부 학당의 제도와 성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4부 학당(이하 사학)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 소양 교육 사부학당(四部學堂,四學)은 본래 고려 말 유학 진흥의 현실적 요청에 의하여 설치되었고 조선조에 이르러 그 체계가 확고히 되었습니다. 사학(四學)은 체제 면에서는 중앙에 위치한 성균관(成均館)의 예속 학교였습니다. 그리고 교육 정도에 있어서는 성균관은 「대학지도(大學之道)」를 교육시킨데 비해, 사학(四學)은 그 기초지식인 「소학지도(小學之道)」를 중심으로 교육하였습니다. 한편, 사학(四學)은 지방의 향교(鄕校)와는 동급의 교육 기관이나 향교가 성균관의 축소 형태로서 성현을 모시는 문묘(文廟)를 설치하여 .. 2020. 9. 28.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4부학당(사학)이란?(제도와 성격)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관학인 향교의 기능 및 유형,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관학의 또 다른 유형인 4부학당{이하 사학(四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학의 배경 조선시대 서울에는 국립 유학 교육기관으로 성균관(成均館)과 사학(四學)이 설립되어 있었습니다. 사학(四學) 역시 서당이나 향교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교육제도를 잇고 있는데, 사학(四學)은 고려시대의 동서학당(東西學堂), 오부학당(五部學堂)에 해당합니다. 사부학당(四部學堂) 설립의 제도적 시점은 고려 제24대 원종 2년(1261) 3월에 동서학당(東西學堂) 설치에서 찾을 수 있으며, 공양왕 2년 2월 기록에 "치경 중오부 급서북면부주유학 교수관(置京中五部 及西北面府州儒學敎.. 2020. 9.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