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학입시175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에 대한 이해 지난 시간 대입전형분석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개요와 선발방법, 전형요소 등을 대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공교육의 범위 내에서 학생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모집단위와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학교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으로, 자기소개서와 추천서, 면접이 대학에 따라 활용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험생과 학부모가 가장 궁금해하는 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의 자기소개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소개서의 중요도 학생부종합전형이 우리나라에 안착하기 전의 자기소개서라 함은 흔히 취업을 위한 도구로 인식을 했던 것이 일반적일 것입니다. 그러나 포털에 자기소개서를 검색하면 대입과 관련된 자료가 연관검색어로 먼저 뜰 정도로 자기소개서는 이제 학생부종합전형의 꼬리표가 되어 많은 대학에서 대입자료로 활용하고.. 2019. 5. 31.
[대입전형 분석] 농어촌학생 특별전형 우리는 지난 시간에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제고를 위해 특별한 자격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는 '고른기회전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른기회 특별전형에는 만학도, 국가보훈대상자, 지역인재 등 다양한 지원자격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의 지원자격 대학을 입학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의 틀 안에서 어떠한 전형요소를 반영하는지에 따라 다시금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실기전형 등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이처럼 어떠한 전형요소를 반영하고 또 평가를 하는지에 따른 전형구분을 하기도 하지만 어떠한 지원자격을 설정하느냐에 따라 .. 2019. 5. 30.
[대입전형 분석] 학생부종합전형의 특징 지난 시간에는 학생부의 내신을 주 전형요소로 활용하는 학생부 교과전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선발인원 및 비율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는 대세 전형이자 논란의 중심,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의 특징 학생부교과전형은 전형 이름에서부터 교과를 중심으로 선발하는 전형임을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입전형 용어에 대해 생소한 분은 학생부 종합전형이라는 전형 명칭 자체가 다소 모호하고 추상적으로 들릴 수 있겠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교과전형에서 반영하는 내신성적을 포함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봉사활동, 독서활동 등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모든 사항을 정량 및 정성평가하고, 자기소개서와 추천서, 면접 등을 활용하.. 2019. 5. 26.
[대입전형 분석] 학생부교과전형 이번 시간에는 논술전형과 더불어 수시전형의 한 가지 유형인 학생부교과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시전형은 최근 계속해서 확대되는 추세에 있었으며, 2020학년도 수시전형은 역대 최고인 77.3%를 선발합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수시전형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전형으로, 수시전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려하는 대표적인 전형입니다. 2020학년도 수시모집 선발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전형유형 2020학년도 2019학년도 수시 전형 학생부교과전형 147,345명(42.4%) 144,340명(41.4%) 학생부종합전형 85,168명(24.5%) 84,764명(24.3%) 논술위주 전형 12,146명(3.5%) 13,310명(3.8%) 실기위주 전형 19,377명(5.6%) 19,383명(5.6%).. 2019.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