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정책45

진로체험활동 해외사례: ⑤ 미국(잡 섀도잉; Job Shadowing)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진로체험활동의 해외사례로 이번 시간에는 미국의 현장탐방 프로그램인 잡 섀도잉(Job Shadowin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장탐방 잡 섀도우(Job Shadowing) 프로그램의 도입 배경 1994년 제정된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 (STWOA)’가 실시된 이후 유관기관들의 협력 활동에 의한 청소년 직업체험활동이 활성화되었습니다. STW법안 발효 이후 전통적인 교과 능력(academic skill)과 직업 기술들을 통합하기 위해서 교육당국이 미래의 고용주인 기업들과 협력을 시도하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잡 섀도우(Job shadow) 프로그램입니다. 1998년 결성된 National Job Shadow Coalition.. 2020. 10. 24.
진로체험활동 해외사례: ④ 핀란드(직업체험 기간 PPO)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지난 시간까지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의 진로체험활동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핀란드의 직업체험 기간(PPO)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직업체험 기간 PPO (Practical Professional Orientation)의 도입 배경 1970년대부터 종합학교 8∼9학년과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직업생활 소개 기간(Introduction-to-Working-Life Period, TET)’이라 칭하는 직업체험 기간을 편성하여 직업현장체험활동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직업생활 소개 기간 중에서 의무교육 기간인 종합학교(7세∼16세) 학생들 중 13세∼16세 학생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실시하는 직업체험 기간을 ‘PPO(Practical Pr.. 2020. 10. 23.
진로체험활동 해외사례: ③ 스웨덴(프라오, PRAO)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진로체험활동의 해외사례로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와 덴마크의 에프트스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웨덴의 프라오(PRAO)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라오(PRAO)의 도입 배경 프라오(PRAO)는 스웨덴어로 Praktisk arbetslivorientering의 줄임말로 초등학교 8학년과 9학년 사이(우리나라의 중학교 2, 3학년에 해당) 2주간의 직업체험 프로그램으로, 짧은 기간 동안 학생들이 기업 현장에 가서 회사와 직업에 대해 직접 체험하면서, 느끼고, 성찰하도록 직업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직업세계에 대한 친밀감을 가지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웨덴은 1956년대에 여러 학교에서의 직업체험에 대한 시범 운영을 거쳐 공교육 일반에 직업체험.. 2020. 10. 22.
진로체험활동 해외사례: ② 덴마크(에프트스쿨; efterskole)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진로체험활동의 해외사례 첫 번째로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덴마크의 에프트스쿨(efterskol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프트스쿨(efterskole)의 배경 에프트스쿨은 1815년에 도입된 자유학교의 일종으로 학생의 인성발달, 학생의 진로준비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공립기초학교를 졸업한 후 직업학교나 김나지움으로 진학하기 전에 선택할 수 있는 1년 과정의 기숙형 자유학교입니다. 2. 에프트스쿨(efterskole)의 교육과정 보통 14∼18세의 8∼10학년 청소년을 위한 자유중등학교로서 공교육제도에 병렬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음악, 체육, 수공예, 자연 및 생태 등 특별한 영역에 재능 있는 학생들과 학교생.. 2020.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