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이론96 체리피킹(Cherry Picking)이란?(개념, 유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요즘 소비자의 입장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는 비대면 시장의 활성화로 인해 온라인에서 가격 및 품질을 비교하고 사는 것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체리피킹은 이처럼 좋은 제품을 '픽(Pick)'한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공급자와 소비자에게 각각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개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체리피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체리피킹(Cherry Picking)의 개념 체리피킹(Cherry Picking)은 “최선 또는 가장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정의되고 (Merriam-Webster Dictionary, 2020), “불공평한 방법으로 단지 최고의 사람이나 물건을 선택”하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합니다(The Cambridg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I.. 2021. 8. 7.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란?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스마트폰의 눈부신 발전고 더불어 요즘 전 세계의 가장 큰 키워드인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O2O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최근 빅데이터 기반의 환경을 적용한 비즈니스 구조가 많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빅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정보 중에서 제대로 된 가치를 선택하여 기업의 마케팅 전략까지 수립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다양한 분야에서 비즈니스상의 핵심적인 목적이 모두 다르므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빅데이터에 대한 활용적인 방법들을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 ‘O.. 2021. 8. 6. 서비스 스케이프란?(개념, 구성요소)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고객이 물건을 구매하기에 이르기까지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겠지요. 고객이 그 물건을 사겠다는 강력한 동기, 또는 기업의 마케팅 또는 환경적 요소 등이 개입하여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마케팅의 환경적 측면과 연관이 깊은 서비스 스케이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비스 스케이프의 개념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의 서비스 스케이프는 자연적이거나 사회적인 환경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써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인 환경 중에 특히 시설과 관련된 환경으로써 서비스가 창출되는 기업과 고객 사이에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물리적 공간을 의미합니다. 환경 심리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사람의 내부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이라고 언급하고 있으며, 서.. 2021. 8. 5. 미적노동이란?(개념, 구성요소)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노동 분야가 다각화되고 확장됨에 따라 감정노동과 같이 정의적 영역과 관련한 노동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미적 노동은 과거 우리나라에서 일부 기업에서 행해지던 모습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블라인드 채용으로 이러한 외모와 관련한 영역에서의 차별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지배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비스업과 같은 분야에서는 이러한 미적 노동의 개념을 빼놓고 얘기할 수는 없겠지요. 이번 시간에는 미적 노동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적노동의 개념 미적노동은 Warhurst et al., (2000)의 연구를 통해서 처음 개념화되었고, 이후에 관련된 연구들이 확대되고는 있지만 한국사회에서는 아직 낯선 개념입니다. Warhurst et al., (20.. 2021. 8. 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