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① (자아심리학, 점성설, 위기, 자아정체감)

by 신박에듀 2019. 11.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오늘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에릭슨은 성격발달의 본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을 강조하고 전 생애에 걸친 발달 강조했는데, 이것은 청소년기, 청년기, 그리고 노년기를 이어지는 더 깊은 성장의 단계를 지속적으로 거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프로이트와 다른 점은 에릭슨은 원초아 보다 자아를 더 강조하였고, 자아를 성격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보고 개인의 자아는 부모와 사회적, 역사적 영향으로 평생 동안 성장 발달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에릭슨은 성격 형성에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도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미래에 대한 해석도 성격형성에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오늘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주요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아심리학

  에릭슨의 이론은 자아 발달과 매우 관련이 깊습니다. 에릭슨은 자신의 이론을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를 체계적으로 확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정신분석의 현대적 추세는 대상관계 이론 등에서처럼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흐름에 기여를 한 초기 인물이 바로 에릭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릭슨은 원초아에 대한 전통적인 강조에서 자아에로의 관심을 도모하였으며, 자아야말로 인간 행동과 기능의 기초가 된다고 여겼습니다. 이러한 견해를 일컬어 자아 심리학이라고 부릅니다.

  정신분석에 대한 에릭슨의 이론적 관점은 성격 기능으로서의 자아의 역할에 대한 프로이트의 관점을 체계적으로 확장시키고 이를 진일보시킨 것으로 해석됩니다. 프로이트는 자아가 강력한 원초아에 종속되어 작동하는,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가진 성격구조라고 보았습니다.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자아의 기능은 주로 도덕적 처벌을 하는 초자아의 기준에 반하지 않는 수준에서 현실적인 배출구를 찾거나, 충동을 대체할 만한 안정적인 대상이 없을 때 원초아의 욕구를 억제함으로써 개인의 생물학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관점과는 대조적으로, 에릭슨은 자아가 종종 원초아와는 독립적으로 감정과 동기를 작동시킨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자아의 기능은 본능적인 방어의 역할도, 생물학적 충동을 통제하는 역할도 아닙니다. 대신에, 자아는 개인을 둘러싼 유혹들에 대하여 건설적으로 조절하도록 돕는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사회와 관련된 자아 기능의 연구를 통해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성격에 관한 보다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즉 자아가 개인으로 하여금 외부환경의 유혹과 더불어 내적 갈등을 해결하도록 돕는 기능들을 체계화하고 이들을 통합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정교한 틀을 통해 볼 때 자아는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강력한 성격구조입니다.

그러므로 자아 심리학(ego psychology)은 성격의 기능을 결정함에 있어서 생물학과 심리 사회학의 통합을 강조하게 됩니다. 이는 사람들이 연속적인 발달과업에 직면하는 독특한 대인 관계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초점을 두게끔 하며, 에릭슨의 관점에서, 각 문화는 개인들로 하여금 자신이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도록 도움으로써 그들의 자아가 보다 강해지도록 하는 독특한 방법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릭슨의 이론은 개인이 발달과정에 내재하는 위기를 해결할 때 나타나는 강한 자아 정체감에 초점을 둡니다.

 

 

2. 점성 원리

  에릭슨의 인간 발달 단계 모델은 점성적 모델(epigenetic model)이라고 불립니다. 점성적이란 용어는 Epi(의존해서)와 genetic(유전)을 합성한 말로 발달이 유전에 의존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점성 원리(epigenetic principle)란 발달이 미리 결정된 단계에 따라 모든 인류에게서 보편적이고 연속적으로 나타난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그러나 프로이트와는 달리, 그는 자아의 성장과 긍정적인 기능을 강조하였습니다. 자아의 발달은 전 생애를 거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초기 아동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이 모델은 유아기에서 성인기 그리고 노인기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전생에 대한 발달 단계를 제시한 최초의 심리학적 이론입니다. 에릭슨에 따르면, 심리적 성장은 태아의 성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각각의 연속된 단계의 출현이 앞 단계의 발달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태아의 발달과 유사합니다. 신체의 각 기관은 성장과 발달의 결정시기가 존재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성장하고 발달하게 됩니다. 에릭슨은 이러한 점성설의 원리를 “발달하는 모든 것은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기본 계획(ground plan)과 같은 원래의 계획이 존재하며, 이 기본 계획을 바탕으로 각 부분들이 저마다 적절한 시기에 형성됩니다. 그리하여 각 부분들은 전체적인 유기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3. 위기

  에릭슨에 따르면 각 단계는 특히 심리사회적 위기(crisis)나 전환점-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가피한 결정적 전환이 필요한 시기-에 의해 특징지어집니다.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위기들은 발달의 진전과 퇴보를 결정짓습니다. 에릭슨은 인간 본성에 대하여 낙관론적 관점을 가졌는데, 그는 인간의 본성이 문제 해결에 있어서 강한 자아 정체감을 갖도록 하는 방식을 지향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위기들이 만족스럽게 해결될 지의 여부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경험의 질에 달려 있습니다. 또한 이는 여러 경험들을 분석, 통합하고 능력과 기술들을 활용하려는 개인의 능동적인 노력들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에릭슨은 개인을 외부의 힘에 좌우되는 수동적 존재로 보지 않았습니다. 그는 개인을 자신의 경험을 다루기 위해 건설적이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능동적 탐색을 하는 존재로 보았습니다.

  각 위기의 긍정적인 해결은 자아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만들지만, 부정적인 해결은 자아를 약하게 합니다. 개인이 한 단계에서 긍정적인 해결을 하면, 그다음 단계에서도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는 확장됩니다. 반대로, 주어진 단계에서의 위기를 잘 해결하지 못하면 이후 다가올 단계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기회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계들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상호의존적입니다. 각 단계는 앞선 단계들이 축적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어떤 위기가 처음 나타난 그 단계에서 한 번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고 해서 개인이 전 생애 동안 끊임없이 성공적 행보를 나타낸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4. 자아정체감

  자아정체감(indetity)은 라틴어의 identification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적으로 동일한 것입니다. 즉-동일성’ ‘정체’의 의미를 지나고 있습니다. 동일성은 유아에서 청년에 이르기까지 긴 생애 과정에서 부모, 선생, 선배, 뛰어난 친구, 영웅이나 위인 그리고 영화의 주인공 등에 대한 동일시의 심리 기저를 가지고 그것에 의해 인격 형성이 정진되어 가는 것인데 이는 유희적 일시적입니다. 거기에 비하면 indetity는 ‘나는 틀림없는 무엇 무엇이다.’라고 하는 허용하는 실감이기 때문에 애매하고 유희적인 것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몇 개의 아이덴티티로 분열될 수 없습니다. 이 관계는 개인이 집에 있을 때와 직장에 있을 때 다른 자기(self)를 보이기 위해서 역할에 맞추어 몇 개의 자기들(selves)을 연출할 수 있으나, 그 배경에는 통일된 자아를 갖추고 있으며 퍼스낼리티(전인격)로서 자신을 총체적으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것과 같은 것과 같은 것입니다. 즉 아이덴티티는 자기의 연속성, 단일성 또는 독자성 불변성이고 개인의 동일성에 대한 의식적 감각인 것입니다. 여기에서 자기는 부모, 타인, 사회와의 상호적인 자아입니다. 즉 군인으로서 가장으로서 아내로서의 자기입니다. ~로서의 자기를 수시로 선택하고 때에 따라 질서와 순서를 정하면서 한편으로 그것들을 통합하는 자아입니다.

  또한 ~로서의 자기를 통합하는 근원적인 자기가 있는데 이것은 직업인, 가장, 한국인, 남성 등 ~로서의 자기가 이전의 그 누구도 아닌 무엇으로서의 자기가 있습니다. 이러한 자기를 self-identity 혹은 ego-indetity라 부르는데 이것은 그 근원을 생물로서의 인간에 고유한 자아의 자율성과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성의 체험 과정을 기반으로 한 자율적 자아의 성립을 의미합니다. 인간이 직면하는 최초의 발달과정은 기본적 신뢰와 불신입니다. 이 과제의 달성은 건강한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며 아버지와 가족도 이 상호 관계의 세계에 참여하며 이웃 학교 직장 등으로 인간이 사회화되어 감에 따라 그의 생활권도 점점 넓어지며 이 세계의 확대와 함께 ~로서의 자기의 획득은 점차 증가하며 시켜 가게 됩니다. 그것은 상대나 집단의 가치관에 동일시하고 그 가치관을 자기 것으로 하는 프로세스로서 아이덴티티의 확대와 통합의 프로세스이기도 합니다.

 

 

참고문헌: 노안영, 강영신(2018). 성격심리학. 학지사

Richard M, Ryckman (2013). 성격심리학. 박학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