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슈

경계선 성격장애란?(개념 및 특징)

by 신박에듀 2022. 4.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대인관계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거나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대인관계 문제는 성격장애 환자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Linehan(1993)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이 타인과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고 깊이 있는 관계로 발전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진다고 제안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계선 성격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계선 성격장애의 개념

 

  경계선 성격장애는 정서조절의 어려움, 불안정한 정동 및 자아상, 버림받는 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충동성, 폭발적인 분노, 대인관계의 형성 및 유지의 어려움 등으로 특징되는 장애로(Linehan, 1993), 입원 및 외래 장면에서 흔히 진단되는 성격장애입니다(Widiger & Frances, 1989). 경계선 성격 장애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약 1-2%, 외래 환자의 약 10%, 입원 환자의 약 20%로 추정되며, 환자의 약 10%가 자살로 사망하는 자살 위험성이 높은 장애로, 개인과 가족,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경계선 성격장애는 일반적으로 주요 우울장애와 강박장애, 섭식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등 다른 장애와의 높은 공병율로 인하여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또한 충동성, 불안정한 정동 및 대인관계의 문제는 일생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흔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2.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징

 

  Linehan(1993)의 생물사회적 이론(biosocial theory)에서는 경계선 성격 특성 의 증상들이 어떻게 발달되었는지에 대해 제안되었습니다. 즉 정서 무시 환경 (emotion invalidating environment)과 정서적 취약성(emotional vulnerability)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emotional dysregulation)의 세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보고하였습니다. 정서 무시 환경이란 아동기에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발달을 저해시키는 환경에서 성장하였을 경우 부적응적인 정서 표현 방식을 습득하여 정서를 부적절하게 표현하거나 극단적으로 억제하게 되는 것이입니다. 정서적 취약성이란 정서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정서적 자극에서 회복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부적응적 정서조절이란 정서적 자극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감당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정서적 회피 반응입니다. 즉, 정서적으로 취약한 아동이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는 경험의 부재로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기보다 불안정한 정서를 억제하거나 발산하는 행동의 과정이 반복될 때 경계선 성격 특성의 증상들이 발현된다고 하였습니다.

  과거에는 경계선 성격장애가 정신 역동적 관점(Kernberg, & Caligor, 2005) 과 인지 행동적 관점(Linehan et al., 1991)에서 이해되어 왔지만 뇌 영상 기법의 발달로 인하여 경계선 성격장애가 점차 뇌 구조 및 기능의 이상과 관련된 장애로 이해되고 있습니다(Schmahl & Bremner, 2006). 선행 연구들은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군이 편도체 활성화의 증가와 더불어(Minzenberg et al., 2007) 해마와 편도체(Ruocco, Amirthavasagam, & Zakzanis, 2012), 배외측 전전두 피질(Brunner et al., 2010; Juengling et al., 2003) 및 전대상 피질의 부피 감소 (Goodman et al., 2011; van Elst et al., 2003) 등의 뇌 구조 및 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경학적 이상이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정서인식의 결함과 집행기능 및 의사결정 등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결함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정서인식 결함이 경계선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장현희,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