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고교학점제

고교학점제: ⑤ 고교 지원 방안

by 신박에듀 2019. 5. 10.
반응형

  지난 시간에는 고교학점제의 시범운영 모델인 연구·선도학교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작년에 비해 숫자가 확 늘어나서 다양한 현장 경험이 축적되어, 고교학점제를 내실있게 운영하는데 자양분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연구·선도학교가 아닌 일반 고등학교에 어떠한 중앙적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고 대상 학점제 기반 조성

  일반고에는 올해 660억 원의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예산을 통해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을 지원합니다. 기존 단위학교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지던 이 사업은 내년부터 '고교학점제 기반 조성 사업'으로 개편되어서 적용된다고 합니다. 정부는 고교학점제 도입 대비 일반고 학생 대상 진로·학습설계 지도내실화하고, ·학부모 대상 고교학점제 설명회 등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전문대 연계 직업교육 위탁과정 확대를 통해 학습 경로를 다양화한다고 밝혔으며, 올해는 전체(17) 교육청에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도입을 하고, 고교학점제 실행에 대비하여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의 정규 교육과정 편성을 지원하게 됩니. 그리고 교과중점학교를 작년 163개 교에서 올해 226개 교로 운영을 확대하고, 교육과정 거점 학교 역할을 부여하여 교육과정 협력지구를 구축하는 등 지역 내 교육과정 특성화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 보장을 위한 소인수 과목 개설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이 제도의 취지인데, 이러한 형태의 거점형 공동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협력적인 학교 간 문화형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교원 역량 및 전문성 제고

  고교학점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원 연수 또한 확대됩니다. 연구선도학교와 일반고 교사 대상 학점제 도입을 위한 역량 및 전문성 제고가 그 목적인데요. 단위 학교에서 꼭 필요한 교장 연수를 통해 학점제형 학교 문화민주적 리더십 함양을 지원하고, 학생 과목선택권 보장을 위한 소인수 선택 과목 직무 연수 등을 실시합니다특히,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안착에 필요한 미래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 교원의 역할 변화대비하기 위해 대학원과 연계한 연수 과정을 올해 신설하여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라고 합니다.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이러한 국가적 교육제도의 안착을 위해 점진적으로 노력을 하듯이,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 같은 방향을 바라본다면 제도의 안착도 먼 얘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거론되고 있는 연수 내용으로는 미래교육의 변화, 교육과정 코치(진로 및 교육과정 이수 지도), 다과목 지도 역량, 학점제형 행정 전문가 등이 있습니다.

 

고교학점제 학교 환경 조성 지원

  고교학점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의 시설 및 교육환경에 대한 부분도 빠뜨릴 수 없습니다. 각 단위학교 별 특성에 맞는 학교 공간 구축을 위해 정부는 고교학점제 학교 환경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의 고등학교 교과교실제를 지원하던 형태의 사업을 '고교학점제 학교 환경 조성'으로 기준을 개편하여 이루어 질 예정입니다. 기존 교과교실제에서 제시한 교과중심공간(교과존) 구성 방식 등은 지양하고 공간 유연성, 휴식자율 공간(홈베이스), 동선의 효율화, 학습공간으로 도서관 활용 등의 학점제형 공간 기준을 마련하여 ’19년도 교과교실제 도입 학교부터 적용하고고교학점제 및 교육시설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시도별로 학점제형 학교 환경 조성 우수사례를 도출할 계획입니다. 기존의 교과교실제에 대한 현장의 의견이 다소 부정적인 것을 고려하여 실제로 학생들이 고교학점제 하에서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해주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돋보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연구학교, 선도학교의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