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실천공동체(CoP)란?(개념 및 특성)

by 신박에듀 2022. 1.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교육 현장에서 공동체의 개념은 교수-학습에 있어서 방법적 측면에서부터,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까지 그 범위와 활용성이 매우 다양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실천공동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천공동체의 개념

 

  실천공동체(CoP)란 Community of Practice의 약자로 동일한 관심사와 문제에 대해 열정을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전문성과 지식을 더욱 심화시켜가는 공동체를 말합니다.

  실천공동체에 대한 개념은 제록스사 직원들이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한 후 제기되었습니다. 직원들이 비공식적 그룹을 자율적으로 만들어 협력을 바탕으로 일을 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나타내었는데, 그들은 동일한 업무 수행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지식과 기술에 대한 요구를 갖고 있었기에 공동체의 모습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실천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학습이 이루어졌습니다.

  실천공동체는 그 의미에 담긴 ‘공동체’(Community)와 ‘실천’(Practices)의 뜻처럼 동일한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직접 체험한 학습 경험을 나누면서 결집되며 이는 구성주의 관점으로 파악되어 왔습니다. Lave와 Wenger(2010)는 실천공동체를 교육 형식이나 전략으로 본 것이 아니라 학습을 이해하는 하나의 관점이자 방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실천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학습’은 공동체를 발전시키고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 다음 세대에게 실천사항을 전수할 수 있고 효율적이고 가치 있는 일을 재생산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습은 우리의 일상과 분리되거나 무언가에 몰두하여서 이루어지는 것만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암묵적인 경험을 하며 표출되고 의도하지 않아도 나타는 것입니다. 또한 실천공동체의 학습은 실천을 위한 기반이 되면서 정체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됩니다. 즉 실행에의 참여이자 실천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성찰합니다. 실천공동체 구성원은 다른 구성원들과 긴밀히 관계를 형성하며 주변인에서 공동체 중심의 일원으로 성장해갑니다. 학습 결과, 사회적 세계의 참여를 바탕으로 새로운 의미를 얻습니다.

  실천공동체에서의 ‘학습’ 개념을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학습은 인간 안에 존재하는 본성입니다.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일어나고 삶 전체 혹은 일부가 됩니다. 둘째, 학습은 기술을 습득하거나 지식을 얻는 것뿐 아니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셋째, 학습은 경험을 통해 쌓아가며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넷째, 학습은 참여적, 체험적이며 경험과 역량을 조율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다섯째, 학습을 하며 우리는 정체성의 변화를 겪습니다. 나와 우리와 소속 된 공동체가 무엇인지 바꾸어 놓으며 세상 속에서 참여를 통해 능력을 변화 시킵니다. 여섯째, 학습은 참여의 경로를 만들어내며 공동체 뿐 아니라 개인의 역사를 구성합니다. 일곱째, 학습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자아 간의 중첩성을 연결하고 구분하며 자아를 형성해 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여덟째, 학습은 사회적인 역량이나 힘과 연관이 됩니다. 동일시나 협상력을 통해 학습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홉째, 실천공동체에 기여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며 우리는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열 번째, 학습은 내가 갖고 있는 생각과 정체성, 실천방식을 끌고 가는 방향에 대한 문제입니다. 열한 번째, 학습은 서로의 생각을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하면서 얻게 되는 협의의 과정입니다. 열두 번째, 학습은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지만 전 사회적 맥락과 연관되어야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고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해 나갈 수 있습니다. 

 

 

 

 

2. 실천공동체의 특성

 

  실천공동체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구성, 유지되고 있으며 조직이나 팀 안에서 형성되기도 하고 조직 밖에서 자발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양홍권, 2011). 이에 Wenger(2007)는 실천공동체의 구성 요소로 공통의 관 심영역(domain), 공동체(community), 실천(practice)을 들었다. 공동체의 구 성원들이 함께 공유하고 실천하는 업무나 주제를 뜻하는 ‘공동업무’,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실천을 의미하는 ‘호혜적 관여’, 구성원들끼리 주고받으며 만 들어가는 창작물, 스토리, 도구 등의 ‘공동자산’의 3가지로 설명할 수도 있으며 이 내용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첫째 ‘공통의 관심영역(domain)’ 또는 공동업무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관심을 갖고 경험하는 주제나 문제로서 지속적인 학습을 필요로 합니다. 실천공동체는 각각 추구하는 지식의 영역이 있으며 이는 곧 공동체의 정체성으로 나타납니다. 두 번째는 ‘공동체(community)’ 또는 호혜적 관여로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학습하며 그 과정에서 신뢰를 형성해 가는 모임으로 학습의 기반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 속에 공동체는 실천을 개선하고 만들어 나갑니다. 마지막 요소 ‘실천(practice)’ 또는 공동자산은 어떠한 일을 수행할 때 드러나는 공통된 행동이자 접근 방식으로 구성원들이 공동 관심사를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하는 자원이나 결과를 말합니다. 실천공동체에서 실천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오랜 기간 쌓아온 역사를 반영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실천공동체는 위의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그들만의 문화와 역사 즉 실천공동체만의 세계를 만들어갑니다. 구성원들만의 언어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의미를 협상해 나가는데 Wenger(1998)는 이것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역사적이고 맥락적이며 특징적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렇듯 실천공동체의 학습은 개인이 공동체에 참여하거나 구성원들과 대화하고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나타나므로 이것은 개인의 학습인 것과 동시에 공동체 전체의 학습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성원들이 학습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그 주제나 경험 등을 공유하면서 신뢰가 형성되고 지식 창출이 일어납니다. 학습은 개인의 인지 속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공동체의 참여 안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므로 다른 구성원들과의 연결을 통해 전문성과 정체성을 새롭게 만들고 공유합니다.

 

 

※ 참고문헌: 온라인 부모교육을 기반으로 한 실천공동체(CoP)의 학습 과정 사례연구(서주현,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