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청소년에게 있어 부모는 신체적, 정서적 영향력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기제로 볼 수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개념
의사소통은 인간관계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것이며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쌍방적 상호작용 과정입니다.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하여 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과 정보를 수신해서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며,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행동(Galvin & Brommel, 1986) 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자녀와 부모는 의사소통을 통해 생각과 감정을 나눌수 있으며 관계를 형성하며 이 관계속에서 지속적인 배움과 가르침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기본적인 사회의 적응기술을 익힐수 있으며 사회화의 첫경험을 하게 됨으로써 다른 사회적 관계로 확대될 수 있는 바탕이 됩니다. 따라서 부모 자녀와의 의사소통은 사회적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내용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하는 과정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개인 간의 믿음, 태도, 사실, 감정, 생각 등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호대화를 통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이해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통해서 서로 협동하고, 정보교류를 통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며 동기를 유발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합리적인 의사소통은 갈등을 해소하고 집단 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가정내의 사회적 발달은 자녀의 또래관계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와 자녀간의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적응 수준과 대인과계 능력이 높아지며 자녀는 또래관계에서 유능감을 보입니다. 청소년 초기에는 긍정적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맺어줌으로써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부모와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자녀의 사회적 관계에 밀접한 영향을 주며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칩니다.
2.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의 유형
아동청소년이 성장과정에서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고 많은 영향을 받는 대상이 부모라는 점에서 이들은 부모와의 끊임없는 의사소통을 통해 습득한 상호 작용을 경험하며, 자신의 대인관계, 개인 내적 및 정서적인 측면에서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입니다. 부모-자녀관계는 가장 기본적이며 친밀하고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인간관계로써 어떠한 사회적 관계보다 인간의 행동양식을 학습할 수 있는 기초가 되기 때문입니다.
학자들이 제시한 부모 – 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을 살펴보면 첫째, Gordon(1975)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을 I-message와 You-message로 나누었습니다. I-message는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자신이 느낀 생각과 입장을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며 자녀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반면 You-message는 부모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설교, 경고, 명령 등의 방법으로 비난하고 평가하는 의사소통유형으로 부모는 결국 자신의 입장을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의사소통 유형이 I-message일수록 자녀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고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둘째, Barnes와 Olson(1982)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을 순환모형에 기초하여 부모 자녀간의 응집력을 높이며, 적응성이 기능적인 수준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개방형 의사소통과 이를 방해하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습니다.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녀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억압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유형입니다. 이에 반대로 문제형 의사소통은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작용에서 꺼려지는 대화주제가 있다면 대화를 피하거나 대화를 주저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유형을 말합니다. 따라서 개방형 의사소통은 Gordon(1975)의 I-message 처럼 장려되어야 할 의사소통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김지은,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천공동체(CoP)란?(개념 및 특성) (0) | 2022.01.21 |
---|---|
부모화란?(개념, 유형, 원인, 영향) (0) | 2022.01.20 |
중년기 여성의 특징 알아보기 (0) | 2022.01.17 |
남자 청소년의 특징(여자 청소년과 비교) (0) | 2022.01.16 |
사춘기란?(개념 및 특징)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