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최근에는 핵가족화 현상이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여성의 사회참여가 늘어나서 어머니의 자녀를 양육하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게 되고 아버지를 가족부양과 생계를 책임만 지는 역할뿐 아니라 자녀의 양육에 있어서 참여하는 양성적 역할로 변화되는 시대적 흐름이 도래했죠. 이번 시간에는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영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빠 양육의 중요성
아버지는 자녀의 초기 인격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자녀의 성역할 발달, 신체발달, 인지 발달, 성취동기, 학업성취 및 장래의 직업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자녀 양육에 있어서 어머니 혼자만의 역할이 아닌 아버지의 공동참여 및 역할분담이 요청되며, 과거 부양의 책임만을 가진 전통적인 아버지 역할에서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으로 자녀 양육의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Lamb(1986)의 서구 가족에서 아버지 역할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아버지 역할의 두드러진 특징이 훈육자 역할에서 생계 담당자 역할, 성역할 모델의 순으로 변화를 거치다가 최근에는 ‘양육적인 아버지’라는 새로운 어버지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와 같은 새로운 아버지 역할은 사회구조 및 문화적 변화가 아버지의 모습과 역할이 변화하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여성들의 지위가 향상되고 취업 및 생활 수준의 향상과 자녀교육환경의 변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새로운 측면의 아버지 역할이 자녀를 능동적으로 돌보고 양육에 참여하며, 가사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가족의 정서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아버지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서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 변화하기 시작되었고,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에 의한 자녀에게 주는 영향과 관련된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2. 아빠 양육과 자녀의 발달
최근 들어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최근 연구들(Ruiz et al., 2016; Seo & Lee, 2014)은 아버지가 양육참여를 함으로서 갖게 되는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영아기 동안 직접적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Allen & Daly, 2007), 더욱더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아를 목욕시키고 우유 및 간식 등을 먹이고 영아와 이야기하고 놀아주기 등 아버지의 도구적 도움을 통한 양육참여는 이야기하고 놀아주기 등 아버지의 도구적 도움을 통한 양육참여는 양육에 지친 어머니를 돕고 양육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어머니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자녀의 사회적 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박은숙, 2015; 조순옥, 김나림, 1995).
자녀의 정서발달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김은정(2002)은 아버지의 양육참여 중에서 가사활동 참여 정도가 정서지능의 자기인식과 자기조절에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아버지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는 유아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양득주, 1988; 정현희, 최경순, 1992 & 1995; 조순옥, 김나림, 1995; 최경 순, 1993; 최한순, 1995). 이처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의 인지와 성역 할, 사회성 및 정서발달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자녀발달에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녀발달 중에서 긍정적인 자기조절능력의 형성과 또래 유능성 향상에 있어서 매우 중 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아빠 양육이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양육참여에는 영아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부모는 신체적, 정서적, 발달적인 양육에 초점을 두어 자녀를 돌봅니다. 특히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는 어린 자녀를 양육하면서 부모의 역할에 대해 재정립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로서 역할에 대한 책임감을 형성하는 시기입니다. Lynn(1974)은 아버지의 학력, 직업, 경제수준과 사회계층에 따른 문화적 요인이 아버지의 역할과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과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역할 수행도가 높았고, 아들보다 딸에게 더 높은 역할 수행도를 나타냈으며, 핵가족의 아버지가 역할수행도가 더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아버지가 양육에 많이 참여할수록 자녀와의 관계가 더욱 밀접해지고, 자녀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윤현경, 2010). 선행연구에 의하면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의 성격 형성과 자아존중감(최경순, 1992), 대인관계 및 친 사회적 행동(김광웅, 이인수, 1998; 설경옥, 문혁준, 2006; 장영애, 이영자, 2008), 정서조절능력 및 정서발달(박잎새, 2012; 윤현경, 2010; 최미숙, 송순옥, 2014)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아버지가 만2세 영아 기 자녀의 생활지도에 적극 참여하고 여가활동을 즐기는 경우 영아의 의사소통과 사회성발달이 증진되었으며(전홍주 외, 2014), 사회성발달 가운데 정서 및 사회적 행동, 인지조절, 사회적 관계 발달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주정혜, 2012; 강수경, 김민정, 정미라, 2016).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와 교육의 정도를 살펴보면, Volling과 Beksky(1991)의 연구에서 나온 결과로는 아버지의 학력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좀 더 높은 양육에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 최경순(1992)의 연구에서도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 양육참여 중 생활지도와 여가활동 참여를 많이 하였으며 또한, 성귀자(1999), 김경희(2000), 김은정(2002), 박정원 (2003)의 연구에서도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 양육 참여도가 높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아버지 양육 참여는 자녀의 사회 정서적 능력과 정적 관련이 있고 아버지가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은 가정의 아동이 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버지의 가사참여나 양육참여는 자녀 양육기의 가정에 있어서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가 높을수록 아버지뿐만 아니라 배우자가 지각하는 부부관계 점수가 높으며 부모성장을 많이 경험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주정혜, 2011; 조숙인, 2000).
어머니의 자녀 양육 참여도와 직업 유무를 살펴보면, Bailey(1994)와 Snarey(1993)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 자녀를 양육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Hoffman(1971)은 어머니가 직업을 가질 경우,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가정 안에서의 전통적인 성 역할이 변화되고 한다고 보고 하였으며, Barnett와 Baruch(1987)의 연구결과로는,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대한 참여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정원(2003)은 아내가 직업이 있을 때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도 중에서 가사활동 참여와 인지적 성취지도 참여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이행옥(1988), 안명철(1990)의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직업 유무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참고문헌: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백주희, 2022)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긴장이론이란?(feat. 아노미이론과의 비교) (0) | 2022.01.24 |
---|---|
청소년 비행이란?(개념 및 유형) (0) | 2022.01.23 |
실천공동체(CoP)란?(개념 및 특성) (0) | 2022.01.21 |
부모화란?(개념, 유형, 원인, 영향) (0) | 2022.01.20 |
효과적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개념 및 유형) (0) | 202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