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자료포락분석(DEA) 이란?(개념 및 특성)

by 신박에듀 2021. 12.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공공부문의 효율성 측정을 위해 다양한 연구 기법들이 그 동안 활용되어왔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DEA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 다른 단위로 측정된 투입요인과 산출요인들을 임의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측정된 그대로 모형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특정한 함수를 상정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공부문 효율성 측정에 있어 그 유용성이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료포락분석(DEA)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포락분석(DEA)의 개념

 

  DEA는 Charnes와 Cooper, Rhodes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습니다. 이는 원래 비용과 편익의 비교결과인 수익성을 평가하기가 곤란한 비영리 조직에 대해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영학에서 먼저 사용되기 시작한 방법입니다(Charnes, Cooper, Rhodes, 1978). 대부분의 비영리적인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이하 DMU)에서는 투입요소와 산출물이 하나가 아닌 다수이고 이를 아우르는 시장가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효율성은 차선책으로 상대적인 관점에서 측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Farrell(1957)의 변경효율성 측정개념에 입각하여, 각 DMU의 상대적 효율성은 효율적인 의사결정단위들이 경험적으로 형성하는 효율변경, 즉 프론티어와의 관계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고 보고 선형계획적으로 구성된 DEA 모형을 제시하였습니다.

 

 

 

 

2. 자료포락분석(DEA)의 특성

 

  DEA의 가장 큰 특징은 과제중심적 접근이라는 것과 중요한 과제에 초점을 맞추어 DMU의 성과를 평가한다는 점입니다. DEA 분석은 비교가 가능한 DMU의 상대적인 효율성 평가를 위한 일종의 선형계획방법입니다. 선형계획방법이라고 하는 이유는 DMU들의 각종 자료들을 이용하여 Empirical Efficient Surface(EES), 즉 투입요소 대비 산출요소를 계산하였을 때 효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는 선을 도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EES 상에 위치하는 DMU는 효율적인 대상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비효율적인 대상으로 분류됩니다. 이렇게 여러 대상 가운데 효율적 DMU와 비효율적인 DMU가 구분되기 때문에 DEA 방법은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방식이며, 목표치가 있는 프론티어 접근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DEA의 장점으로는 먼저, 금액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복수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분석에 포함시켜서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다수의 투입과 산출에 대해 이들을 하나의 지수로 종합화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DEA는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측정단위가 다른 요소라도 측정에 함께 활용할 수 있으며, 매매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자원 역시 적용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DEA는 비모수적 방법이기 때문에 생산기술에 대한 특정한 함수를 가정하는 모수적 방법의 문제점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련관과 같은 공공부문은 일반적으로 공장의 생산라인과는 달리 투입에서 산출로 전환되는 과정이 특정한 함수형태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모수적 방법에 비해 현실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DEA는 개별 DMU에게 준거집단이 되는 효율적인 DMU를 제시함으로써 벤치마킹의 근거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수의 성과물이 창출되는 복잡한 구조 하에서 생산함수를 파악하기 어려울 경우, 특정 조직의 효율성을 유사한 조직과 비교하여 도출할 뿐만 아니라, 비교대상이 되는 유사한 효율적 조직, 즉 준거집단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각종 운영이나 관리의 측면에서 참조대상이 어떤 조직인지, 그리고 참조대상과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DEA는 투입과 산출 요인별로 비효율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의 효율치를 제시해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DMU는 평가된 효율성의 결과에 따라 증가시켜야 하는 산출요소와 감소시켜야 하는 투입요소의 양에 대한 최선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이러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DEA를 실행하고 해석하는 데에 있어 고려해야 할 단점 역시 존재합니다. 먼저 가중치가 모형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정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는 연구자가 투입 요소별로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변수의 중요도를 반영하거나 외생변수의 영향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비모수적 방법이기 때문에 선험적이고 임의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DEA는 유사한 투입과 산출 구성을 가진 조직 중에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측정되는 DMU에서 1의 값을 부여하여 그와 비교한 나머지 조직의 효율성을 계산하기 때문에 준거집단이 다른 경우 효율성의 비교가 의미를 갖기 어렵습니다. 또한 1의 값을 부여받은 DMU들에서는 효율성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투입과 산출요소가 비슷한 동질적인 집단을 대상으로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비영리기관의 효율성 측정에 있어 이러한 단점들 보다는 앞서 언급하였던 장점들이 더 크기 때문에 개발된 이후 꾸준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수련관은 보건, 의료, 복지, 교육과 같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성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설의 경우, 투입에서 산출로 가는 과정이 특정한 함수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투입요소든 산출요소든 단위가 다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청소년수련관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DEA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한 청소년수련관 운영효율성 분석(윤동엽,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