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탐구

산림치유지도사란? ① 개념 및 역할

by 신박에듀 2021. 11.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산림치유의 개념, 요소 및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산림치유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직군으로 산림치유지도사를 정의하고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산림치유지도사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산림치유지도사의 정의 및 개념

 

  산림치유는 산림의 다양한 인자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병의 증상을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미병자인 상태 또는 건강한 사람이라도 숲을 통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활동입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산림치유 및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산림치유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산림치유지도사가 전문직업으로 탄생 되었습니다.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11조의2에 따라 ‘산림치유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산림치유를 지도하는 사람’을 말하며, 산림치유지도사는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치유의 숲, 숲길 등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거나 지도하는 업무를 담당한다.’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법에 따라 자격이 부여된 사람이 아니면 산림치유지도사 명칭이나 이와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같은 법 제11조의3에 ‘산림치유지도사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치유의 숲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산림치유지도사를 활용하거나 활용하게 할 수 있도록’하고 있어 산림 치유지도사가 전문직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신창섭 등(2018)은 산림치유지도사는 치유대상자의 정서, 인지, 행동에 영향 을 미치며 이것은 자기효능감, 재미, 열정, 활력 등 치유 효과에 대한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산림치유지도사의 사회적 지지, 정서적인 지지가 높을수록 대상자의 참여 지속성과 동기유발 수준이 증가하며 더 큰 치유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산림치유 관련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산림치유지도사의 전문성 및 역량은 치유가 필요한 대상자에게 치유 효과를 향상하는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를 지도하는 사람으로 전문성이 필수적입니다. 건강, 성격, 스트레스, 심리학적인 감성, 심리적 장애 등과 신체의 생리적인 이해 등에 대해 적절한 지식을 갖추고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산림치유를 어떻게 공유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산림치유 대상자에게 신뢰할만하고 적극적인 수용 분위기를 만들고 대상자의 건강 잠재력이 발현되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산림치유지도사 업무 범위 및 역할

  

  산림치유지도사의 업무 범위는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 12조의 2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1급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기획ㆍ개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매뉴얼 작성,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 계획 수립,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산림치유지도사 자체 능력배양 교육 계획 수립,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관련 관리 및 실행을 업무 범위로 정하고 있으며, 2급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계획 수립,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가자 관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시설 및 이용자안전관리,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의 지도를 업무 범위로 하고 있습니다.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조의4 ‘산림치유지도사의 활용기준’ 에 따르면 50만㎡ 이상 치유의 숲에는 1급 또는 2급 산림치유지도사 3명 이상 (1급 산림치유지도사 1명 이상)을, 50만㎡ 미만의 치유의 숲에는 1급 또는 2급 산림치유지도사 2명 이상(1급 산림치유지도사 1명 이상)을, 자연휴양림, 산림 욕장 또는 숲길에는 1급 또는 2급 산림치유지도사 2명 이상(1급 산림치유지도사 1명 이상)을 포함해야 합니다.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11조의4에서 산림청장은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을 지정하고 양성기관에서 산림치유 관련 교육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2020)에 따르면 2020년 말 산림치유지도사를 양성하고 있는 기관은 총 23개소(1급 10개소, 2급 13개소)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관련 학과 졸업 및 교육 이수 후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은 2013년 36명을 시작으로 2020년 말 현재 1,689명(1급 300명, 2급 1,389명) 이며, 이 중 376명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시연(2014)은 산림치유는 누가, 어디서, 어떤 인자를 어떤 방법으로 치유 활동을 안내하고 지도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많이 달라집니다. 즉, 질병의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질병 환자에 대해서도 건강회복과 치유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질환의 증상에 따라 세심하게 치유 활동을 설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김주연(2017)은 본인 자신이 산림치유를 먼저 경험한 사람으로 자기 자신의 치유기준을 알고 자신의 산림 치유를 통해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방법으로 안내할 수 있는 자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산림치유지도사는 숲의 여러 인자를 매개로 산림치유 대상자의 면역력을 회복시키며 산림치유 효과를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매개자로 산림치유 요소의 중요한 인자이며 국민 건강과 행복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가입니다.

  따라서 대상자의 치유와 건강증진을 위해 산림치유지도사에 대한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산림치유지도사는 국민이 산림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을 촉진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김주연(2014) 은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의 치유기능과 인체 생리 및 심리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산림을 방문한 이용자에게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하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를 실천하는 지도자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요구하였습니다.

 

첫째, 진단자로서 역할

둘째, 의사결정자로서 역할

셋째, 안내자의 역할

넷째, 지지자의 역할

다섯째, 프로그램의 계획, 운영자로서 역할

 

 

※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김종연,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