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탐구

청소년지도사란?(개념, 역할 및 직무)

by 신박에듀 2021. 11.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일선 교육현장에는 학교에서 활동하는 교사 선생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면에서 교육 활동을 보조하고, 지원하는 인력들이 존재합니다. 이들 선생님들 모두의 역할이 어우러져 우리나라의 교육이 운영되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청소년지도사의 개념, 역할 및 직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소년지도사의 개념과 역할

 

  청소년기본법에서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 및 청소년상담사를 비롯하여 청소년시설, 청소년단체, 청소년 관련 기관 등’에서 ‘청소년 육성 및 지도업무에 종사 하는 자’를 의미합니다(법제처, 2020). 청소년지도자는 1, 2, 3급의 청소년지도사와 1, 2, 3급의 청소년상담사 외에도 청소년 관련 기관의 종사자로 분류하고 있는데요(청소년기본법 제3 조 제7호).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지도사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청소년을 지도하는 직무에 종사하는 자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의 육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청소년의 육성이란 청소년 활동 지원, 청소년복지를 증진, 청소년을 보호하여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돕기 위한 이로운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청소년기본법 제3조 제2호). 청소년의 이로운 환경은 청소년의 진로교육과 체험활동을 확대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여 유해환경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의 참여와 권리를 증진하고 주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립 지원을 확대하여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의 역할은 중요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1870년~1919년까지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을 이끄는 지도자의 역할이 요구되었고, 1920년~1950년에 교사로서의 역할이 요구되다가, 1950년~1975년에는 촉진자의 역할로 변화하면서, 1975년 이후에는 청소년 사업의 권한을 가진 활동가로서 해야 할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과거 청소년지도사는 군대의 교관 처럼 극기가 새겨진 검은 티셔츠에 빨간 모자를 삐딱하게 눌러쓴 수련 시설 교관의 이미지였습니다. 현재의 청소년지도사는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청소년과 친근하게 어우러지는 활동적인 이미지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요즘의 청소년은 청소년지도사의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청소년지도사의 역할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국적으로 청소년과 관련된 분야인 청소년시설 및 단체, 학교, 사회복지시설, 사회단체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 활동과 특별복지사업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을 전담하고 청소년의 수련 활동, 청소년복지, 지역 국가 간 등 교류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예술 활동 등에서의 지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사들의 역할이 다양해지면서 직무의 범위와 양도 방대해졌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박선영(2011)은 청소년기본법의 관점에서 청소년지도사 역할을 ‘청소년복지 증진 및 도모’, ‘청소년 수련 활동 지원’, ‘청소년 교류 촉진’, ‘청소년을 위한 환경 조성’, ‘청소년 개발 및 교육 등’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서희정, 구경희, 이은진(2016)은 청소년지도사 역할에 대해 ‘관리 행정가, 변화 촉진자. 교육자, 활동 촉진자. 프로그램 기획자, 프로그램 운영자, 네트워크 구축자, 네트워크 운영자’로 나누어 제시하였습니다. 결국,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 수련 활동의 전문지도 능력과 자질을 함양하여 청소년 문제의 능동적인 해결을 하기 위한 전문가입니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과 인지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적인 역할을 지닙니다. 이들은 청소년의 표상이 되고 지도자로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다변적인 역할도 요구되고 있습니다.

 

 

 

 

2. 청소년지도사의 직무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직무를 수행하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내용을 국가 차원의 기준에서 ‘산업 부문별, 수준별’로 제시하였습니다.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에서 정의한 청소년 활동의 직무는 ‘청소년 사업을 기획하고 홍보하며, 청소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자원관리, 인증관리, 행정관리, 협업체계관리, 정보관리 등’을 통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일’이라고 제시합니다.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에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능력 단위를 18가지로 체계화하였습니다. 하지만 청소년 활동 직무에서 근무 현장과 사업의 내용마다 다양하게 직무능력이 요구되기에 통일된 지표로 제시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하였습니다(한국산업인력공단, 2017). 청소년 활동의 직무도 광범위하지만, 청소년 분야별로 사업에 맞게 시행되어야 하는 전 방위적 직무능력과 경험을 요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원희(2015)의 연구에서는 청소년지도사 직무에 대해 ‘행정관리,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 기획,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사업 및 프로그램 평가, 네트워크’의 6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37가지의 과업으로 세분화하였습니다. 또한, 서희정, 구경희, 이은진(2016)은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를 ‘기관 운영 관리, 프로그램 예산 관리 및 집행, 조직 구조 및 풍토 개선, 청소년 교육, 청소년 상담, 요구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인적 네트워크 구축, 조직 간 협력 체계 구축, 동아리 조직과 운영’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이처럼 폭넓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청소년지도사는 한층 더 전문적 기술을 갖춰야 합니다.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는 청소년들이 활동하기 위한 사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관련된 예산을 집행 및 관리합니다. 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 및 예산과 관련한 업무와 지역의 네트워크를 구축 및 관리하며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합니다. 이와 같이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을 모집, 관리, 인솔, 상담하고 소통과 상호작용에 힘쓰면서 다차원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사에게는 다양한 역할과 이에 수행하는 전문적인 직무 기술을 요구하고 있고 한 개인이 수행하기에는 과도한 직무입니다.

  다양한 직무에 힘쓰며 청소년과 가깝게 활동을 하는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의 삶의 질, 정체성, 문제 해결에 기여하도록 지도 및 지지하면서 청소년과 상호작용 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사는 관련 분야에서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일의 경험을 통해 보람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행사하는 직무적 영향력에 대한 자부심과 보람으로 직무에 임하고 열정과 기쁨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광범위한 직무와 능률은 반비례 관계지만 사회는 이들에게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직무를 소화하면서도 청소년의 올바른 자아 정체감 형성과 건강한 성장을 위해 자부심과 열정으로 직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지도사가 과중한 직무에도 가치를 실현하려는 노력으로 개인의 한계치보다 과중한 직무를 소화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 참고문헌: 청소년지도사 소명의식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김미희,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