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포커스그룹인터뷰(FGI)에 대한 이해

by 신박에듀 2019. 7. 1.
반응형

  우리는 어떠한 영역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주로 면담을 활용합니다. 이러한 면담에는 형태와 방법에 따라 개별 면담, 심층면담 등의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주로 질적 연구에서 많이 활용하는 초점집단인터뷰(FGI)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초점집단인터뷰의 이해

  초점집단인터뷰에서 초점은 타게팅을 한다는 의미이며 따라서 초점집단이라함은 연구자가 얻고 싶은 분야와 관련된 전문가 또는 집단을 의미합니다. 초점집단인터뷰는 영문으로 Focus group interview로 부르며, 이를 줄여서 흔히 FGI, 또는 포커스그룹인터뷰라고 부릅니다. 초점집단인터뷰(FGI)는 그룹 면담을 통해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그들로부터 배우는 방법입니다. 이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에 비교할 때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초점집단인터뷰는 집단 면담이기 때문에 심층면담과 같은 성격도 있지만, 참여자들이 여러 명으로 구성된 집단이기 때문에 참여관찰적인 면도 있습니다. 한편 초점집단인터뷰는 연구자가 인위적으로 특정 구성원들을 선택해서 만든 조작적인 환경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통제가 가능하며, 참여자들 간의 언어행위와 상호작용을 모두 관찰할 수 있습니다.

  초점집단인터뷰는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다각화(triangulation)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한 후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검증하는 것은 질적 연구의 타당성을 높입니다.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질적 자료에 대한 분석 과정을 검증하면서 질적 연구의 순환적이고 보완적인 과정을 거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초점집단인터뷰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각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초점집단인터뷰의 장단점

1. 장점

  첫째, 초점집단인터뷰는 특정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관심 있는 주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초점은 관찰이나 개별 면담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다량의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또한 ‘떠들기’를 통해 개별 면담보다 풍성한 자료를 얻을 수 있고, 그룹 면담의 맥락 속에서 진실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둘째, 집단 속에서 면담을 하는 과정이 참여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이러한 안정되고 편안한 분위기는 개별
면담보다 더 솔직하고 반성적인 반응을 이끌어 줄 수 있습니다.

  셋째, 모든 참여자는 연구자와 같이 질문할 수 있고, 연구자는 특정한 질문을 준비하는 반면 참여자는 그 질문을 포함한 주제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발언하기 때문에 더 풍부하고 의미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단점

  첫째, 초점집단인터뷰의 단점은 참여관찰에 비해 자연스러운 상황이 아니라는 한계가 있고, 심층면접에 비해 연구자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가 약하고 집단 구성원들의 시각이 강조된다는 점입니다.

  둘째,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자료가 도출되기 때문에 구성원 개인들의 실제적인 생각과 행동을 반영하는지 알 수 없으며, 연구 참여자 중 리더 격의 참여자가 대화를 독점하여 자신의 의견을 강요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초점집단인터뷰 참여자 구성

  초점집단인터뷰는 자연적인 그룹과 인공적인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그룹은 일상생활에 존재하는 그룹이고, 인공적인 그룹은 특정 기준에 따라 조사목적을 위해 모인 그룹입니다. 이를 현실적인 그룹(real group)으로 통합해 구성하는데, 현실적인 그룹이란 그룹 토론의 주제와 관련이 있어서 조사상황에 적합한 구성원으로 구성되는 그룹을 말합니다. 현실적인 그룹은 토론 대상에 관해서 그동안 겪어온 역사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공동의 행동양식과 기초가 되는 의미의 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초점집단면담에서는 현실적인 그룹을 면담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그룹 구성인원은 4명에서 12명 정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6명이 적합하다고 보지만, 연구자에 따라 6명도 많고 3명이 적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따라서 초점집단 인원 구성은 개별 연구의 특성에 따라 충분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인원을 판단해서 결정해야 하겠습니다.

 

※ 참고문헌: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교육 현장의 변화와 그 원인(최성광, 2013)

대학입시 학교생활기록부 생성에 대한 교사들의 문제의식 고찰(김재훈,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