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지난 시간까지 마을교육 공동체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마을 연계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내용은 지난 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마을교육 공동체를 위한 교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마을교육 공동체를 위한 교육
마을교육공동체의 핵심은 학교의 울타리를 낮추고 학생들에게 마을에 대한 교육,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에 관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을 통하여 마을이 학생들을 함께 키울 수 있습니다. 지역의 학생들을 올바르게 키우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전체가 나서야 하는바, 다양한 교육 주체들이 공교육에 대한 공동의 책임과 권한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와 실천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이는 기부, 협력, 의사결정 등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에 관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은 마을이 학생들의 배움터가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을이 학생들의 배움터가 된다는 의미는 그 지역사회의 교육자원과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으로 학생들에게 마을의 자연과 사회, 삶 속에서 살아 있는 배움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와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공감, 자연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식의 실천적 구성, 종합적 역량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 등이 이를 통해 가능해집니다.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에 관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은 학생들이 마을의 주인, 즉 시민이 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지역사회에서 교육받은 학생들이 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주인의식을 발휘하는 시민 또는 주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결국, 마을교육공동체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역의 학생들을 그 지역의 민주적인 시민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마을을 통한 교육(learning through community)
마을을 통한 교육은 그 지역사회의 인적·문화적·환경적·역사적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을 말합니다. 학생들은 마을의 교육 인프라와 자원을 통해 배움을 실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역에 산재해 있는 교육 인프라와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연대 시키며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체제를 통해 학생들은 참여, 실습, 탐방, 체험, 실천 등의 방법을 통해 사회적 학습역량을 키워나가게 됩니다.
2) 마을에 관한 교육(learning about community)
마을에 관한 교육은 학생이 사는 마을과 지역에 대하여 배우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지역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환경적, 문화적, 역사적 특수성을 학습하여 그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가치관과 생활방식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다른 지역과의 협력과 상생을 위하여 다름에 대한 이해, 다양성에 대한 인식, 민주적 시민 정신 등을 학습함으로써 세계화와 지역화를 넘나들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게 됩니다.
3) 마을을 위한 교육(learning for community)
마을을 위한 교육은 학생들이 지역사회 발전의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도록 미래 진로 역량을 키워주는 활동입니다.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인프라와 자원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진행하고 이를 확장하여 미래 자원과 인재를 육성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자기 삶의 터전과 공동체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을 고민하게 되고 이는 그 지역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됩니다.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교육은 장소감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의 구체적인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장소 감의 하위 요소인 장소에 대한 지식(인지적 영역), 장소를 향한 애착(정의적 영역), 장소를 위한 실천(행동적 영역)은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의 실천 방법인 마을에 대한 교육, 마을을 통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과 일맥상통합니다. 이는 장소 감이 지역의 교육적 역량을 강화해서 그 지역의 주민들을 주체적인 시민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을 위한 바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서가 해당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과 소속감인 만큼 인간이 특정 환경에 묶이도록 만드는 경험적이며 경험적인 흔적인 장소감을 통해 학생들이 삶의 터전이자 일상생활의 공간인 마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자신의 경험과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장소감의 하위 요소와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의 관련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장소 감의 하위 요소와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의 관련성>
| 하위요소 | 하위 요소의 의미 |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교육 | |
| 마을 (장소감 형성 및 마을교육공동체 교육 실현의 장) | |||
| 장소에 대한 지식 (인지적 영역) | 장소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지식 장소의 의미와 기능, 가치를 인식하고 이해 | 마을에 대한 교육 | 마을을 통한 교육으로 실천 |
| 장소를 향한 애착 (정의적 영역) | 장소에 대한 애정과 일체감 장소에 대한 소속감과 긍정적 정서 형성 | 마을을 장소를 위한 교육 | |
| 장소를 위한 실천 (행동적 영역) | 장소를 위해 행동하려는 의지 | ||
| 개인의 정체성 형성 시민성 함양 | |||
※ 참고문헌: 마을 책 만들기를 통한 장소 감 발달 연구(장인경,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학교생활 만족도란?(개념 및 구성) (0) | 2021.10.13 |
|---|---|
| 유소년이란?(정의 및 특징) (0) | 2021.10.12 |
| 마을연계 교육과정 알아보기 (0) | 2021.10.07 |
| 마을교육 공동체란?(개념 및 특징) (0) | 2021.10.06 |
| 학급경영이란?(개념, 의의, 과업) (0) | 202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