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방법

마이크로 티칭 알아보기: ① 개념 및 특징

by 신박에듀 2021. 8.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학교현장에서 다양한 수업방법론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최근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플립러닝, PBL, 게이미피케이션 등의 교수-학습방법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마이크로티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이크로 티칭의 개념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의 micro는 ‘micro lesson’의 의미로, 4~20분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교수시간, 내용, 기능과 학습자 수, 교실크기 등이 실제보다 축소된 상황에서 실시하는 수업을 의미합니다. 또한 ‘현미경 아래에서(undermicroscope)’라는 의미로 ‘교수과정을 세밀히 관찰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마이크로티칭은 축소된 수업을 녹음이나 녹화하여 수업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전문가적 시각과 비평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족한 점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수업기술을 습득하거나 수업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마이크로티칭은 유능한 교사의 수업관찰과 수업기술의 모방이 실제 교사들의 수업기술 향상에 비효과적인 것을 비판하며 기존의 교사교육 방식보다 구체적인 수업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방법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1963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Keith Acheson이 비디오 촬영기법을 예비 교사 훈련에 제안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Allen과 Rommey에 의해 예비 교사의 교수방법 훈련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Simon과 Boyer(1970)는 교사들의 교수기법 습득을 촉진하기 위하여 체크리스트와 녹화, 녹음 등을 통해 교수자와 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
백 하는 모형을 만들어 지금의 마이크로티칭으로 발전시켰습니다. 현재 마이크로티칭은 교수법에 대한 인식 제고, 수업기술의 개선, 각종 직무능력의 향상과 개발을 위해 교사 연수프로그램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티칭의 평가는 언어적/비언어적 소통능력, 학생들의 참여유도, 발문의 중요성과 수업구성 및 기술을 강조하며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마이크로티칭의 개념과 개발 동기를 종합하면 마이크로티칭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비 교사 또는 현직 교사들이 자신의 축소된 수업을 녹화, 분석하며, 피드백을 받아 재수업을 실시하는 과정의 순환적 반복을 통해 구체적인 수업기술을 개발하거나 습득하고, 시행착오를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교사로서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입니다.

 

 

 

 

2. 마이크로 티칭의 특징

 

  마이크로티칭의 특징을 살펴보면, 현종익과 이학춘(2002)은 마이크로티칭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을 촬영한 장면을 동료들과 함께 보고 토의하여 피드백을 얻는 것, 둘째, 수업분석을 하는 것, 셋째, 자기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Allen과 Ryan(1969)은 마이크로티칭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첫째, 마이크로티칭은 교사와 학생이 협력하는 구조화된 수업상황과 실제 수업체제로 정상적인 교실수업의 복잡성을 다양한 차원에서 축소화한 것입니다. 둘째, 마이크로티칭은 구체적인 수업기술의 습득을 위한 훈련에 초점을 둠에 따라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할 수 있고, 수업결과에 대한 지식과 피드백의 범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마이크로티칭이 수업개선이 필요한 요인에 대해 실제적이며 집중된 연습을 할 수 있고, 자신의 수업을 스스로 분석하거나 동료 교사들과 함께 보며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자기성찰과 반성,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한 협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른 교사교육 방법과 달리 실제적이지만 축소화된 수업을 실시하여 부수적인 노력을 최소화하고, 심리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어 교사로 하여금 수업개선을 위한 목적에 보다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마이크로티칭의 수업은 동료 교사를 대상으로 한 모의 수업이나 교사가 지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티칭 수업은 실제 학생을 대상으로 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지만, 동료 교사가 학생으로 참여함에 따른 이점도 있습니다. 동료 교사가 학생으로 모의 수업에 참여할 경우, 모의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긴장감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학생으로 참여한 동료 교사는 학생들의 입장을 경험하게 되어 메타학습(meta-learning)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실제 Vaughn(1983)은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에 대해 수업대상은 중요하지 않으며,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한다고 설명합니다.

 

 

※ 참고문헌: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수업전문성과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박지수,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