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방법

스키마 학습(Schematic Learning) 알아보기(학습, 성질)

by 신박에듀 2021. 6.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스키마 학습의 구성요소인 스키마의 개념과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키마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스키마 학습(schematic learning)

 

  스키마라는 말은 개념적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스키마에 의한 학습은 개념학습과 연결됩니다. 가령 수학을 이해하는 것은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사물의 공통 성질에 대한 정식적 표현이 개념이고, 지능 학습의 주요 특징이 규칙을 발견하여 구조로 조직하는 것이라면 개념 형성은 수학 학습의 주요 특징이 규칙을 발견하여 구조로 조직하는 것이라면 개념 형성은 수학 학습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공통 성질의 정신적 표상을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지능 학습의 주요 특징은 이 같은 규칙성을 발견하고, 추상의 결과로써의 산물, 즉 체계적인 개념 구조를 조직하는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스키마 학습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존의 스키마를 새로운 지식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학습이다(Skemp, 1987, p. 25).

  2) 동화 조절 기능에 의한 스키마의 재구성으로서의 피아제의 학습 개념을 바탕으로 한 학습이론이다.

  3) ‘관계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4) 스키마 학습의 결정적 요인은 학생의 마음 가운데 적절한 선행 스키마가 존재하는가 하는 학습의 준비성의 문제와 자료를 어떻게 배열해야 할 것인가 하는 자료 제시의 문제이다(Skemp, 1987, pp. 19-20).

  5) 개념을 추상 수준에 따라 외부 세계의 감각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이끌어내는 일차 개념(primary concept)과 다른 개념으로부터 추상화된 개념인 이차 개념 (secondary concept)으로 구분한다(Skemp, 1987, p. 13). 또한 수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의 대부분은 이차 개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Skemp, 1987, p. 54).

  6) 개념학습지도의 두 가지 방법은 설명과 예시 및 예들을 선택하여 제시하는 방법 이다. 설명은 학생이 이미 알고 있는 개념들을 이용하여 서로 관련짓고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설명과 함께 사용 가능한 전달방법은 정의인데, 분명하고 정확한 설명으로 예와 반례를 명확히 구분하도록 해준다(Skemp, 1989, p. 63).

  7) 학생 이미 알고 있는 개념과 같은 수준이거나 낮은 수준일 때의 지도 방법으로 설명과 정의를 말하였고 높은 수준일 때는 예를 제시하여 학생들 스스로 개념을 추상화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Skemp, 1989, p. 64).

  8) 개념 자체를 일차 개념과 이차 개념으로 구분하고 이차 개념의 학습은 기호화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언어의 사용이 이차 개념의 형성에 있어 필수적인 요인임을 밝힘으로써 Vygotsky가 지적했던 ‘추상화 방법’에서의 언어의 역할이 무시된다는 단점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2. 스키마 학습의 성질

 

  어떤 과제가 독립된 성격을 지니고 있을 경우 스키마학습을 하면 시간이 더 오래 걸 릴 수 있습니다. 또 암기해야 할 법칙의 수가 많아지면 결국 과제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스키마 학습이 기간이 걸리더라도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또 기존의 스키마와 잘 맞는 새로운 경험이 더 잘 기억되므로 스키마는 경험에 대해 매우 선택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부적절한 스키마는 장래 학습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실제로 가치가 있었던 스키마조차도 기존의 스키마와 맞지 않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획득될 필요가 있을 때 더 이상 기존의 스키마는 가치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지능 학습에서 스키마의 성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Skemp, 1989, p. 81).

 

  1)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고 적응성을 길러준다.

  2) 행동을 계획함에 있어 많은 자료와 다양한 적용을 위한 기술을 제공해 준다.

  3) 스키마를 나누어 가지는 것은 중요한 사회적 기능이다. 왜냐하면 이해를 나누고 목표를 향해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4) 학습이 쉬워진다.

  5) 기억이 오래간다.

  6) 앞으로의 학습이 쉬워진다.

 

 

※ 참고문헌: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학습부진학생의 해석 기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Skemp의 이론을 중심으로(윤인준, 20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