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직무요구-자원모형 알아보기 ① Karasek의 직무요구-통제 모형

by 신박에듀 2021. 7.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직무요구(Job Demands)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신체적, 사회적 또는 조직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노력을 의미합니다. 직무 자원(Job Resources)은 직무담당자가 자신에게 주어지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무 긴장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적절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주어진 직무의 목표를 달성해가기 위한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일체의 직무 맥락 요인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두 가지 개념을 활용한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Karasek의 직무요구-통제 모형

 

출처: Karasek Jr, R. A.(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85-308.

 

  초기의 직무요구-자원 모형은 Karasek(1979)가 제안한 직무요구-통제 모형(Job Demand-Control Model)에 기반을 둔 분석의 틀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직무요구-통제 모형은 업무과부하, 예기치 않는 업무, 인적 갈등을 포함한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을 직무요구라고 정의하고, 근무시간 동안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종업원 개인의 통제력을 직무통제라고 정의하였으며 또한, 직무요구와 직무통제가 각각의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에 직무통제가 신체적, 정신적 악영향에의 완충 역할을 한다고 제시하였습니다.

  Karasek의 직무요구-통제 모형은 결과의 예측을 위해 직무요구와 직무재량권이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하여 높은 통제와 낮은 요구의 결함은 낮은 긴장을 발생시키고, 낮은 통제와 높은 요구의 결합은 높은 긴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으로 위의 <그림>과 같습니다.

  이 두 가지의 이론 모형들은 모두 Hackman & Oldman(1974)이 제안한 직무특성 모형(Job Characteristic Model)에 기초한 것으로서 직무설계와 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담당자의 내적 동기부여 및 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직무특성 모형에서 Hackman et al.(1976)이 제시한 다섯 가지 핵심특성들(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직무 자율성 및 과업 피드백)은 조직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직무 자체와 관련된 변수로서 직무요구-자원 모형에서 직무 자원의 개념으로 새롭게 분류되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소상공인 창업성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 전통시장 청년몰 창업자 중심으로(김재현,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