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그룬런드(Gronlund)의 행동적 수업목표 진술 양식

by 신박에듀 2021. 6.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지난 시간에  성취행위 진술, 조건 진술, 기준 진술의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낸 메이거(Mager)의 행동적 수업 목표 진술 양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룬런드(Gronlund)의 행동적 수업 목표 진술 양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Gronlund(1970)의 진술 방법

 

  Gronlund는 수업목표를 진술하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수업으로부터 기대되는 결과의 형태를 기술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일반적인 수업 목표를 설정하고 난 다음 그것을 특수한 행동형 목록으로 작성함으로써 명백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렇지 않고 단순히 구체적인 행동적 진술만 한다는 것은 가르친 행동과 테스트한 행동 간의 1대 1의 훈련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프로그램화된 수업이 현재로도 많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정상적인 교실수업을 위해서는 이러한 방법은 간단한 기술과 가장 낮은 수준의 지식을 가르칠 때만 유용할 뿐이라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행동형 목표를 포괄하는 일반적인 수업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수업 목표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지 정의하거나 밝히기 혹은 구분하기 등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교사들은 기대되는 수업의 결과보다는 교수과정이나 학습과정, 교재 등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 수업목표를 진술할 때 여러 오류들을 겪습니다. 첫째, 학생 행동보다는 교사의 행동으로 진술하는 것입니다. 둘째, 학습결과보다는 학습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셋째, 교과서의 목차를 옮겨놓은 것 같은 진술입니다. 넷째, 하나의 목표 진술문에 두 개 이상의 학습결과를 결합시켜 놓는 것입니다. 이러한 오류들로 볼 때 수업 목표를 구체화하는 일은 대단히 어렵고 힘든 작업이 될 것 같습니다. Gronlund는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는 지침으로 다음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동사(알다, 이해하다, 평가하다 등)로 각 일반적 수업목표를 끝맺습니다. “학생들은 ~을 할 수 있다”나 “학생들은 ~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와 같이 지나치게 자세하게 진술할 필요는 없습니다.

  둘째, 각 목표 를 학생의 성취라는 측면(교사의 행동보다는)에서 진술합니다.

  셋째, 학습 과정보다는 학습결과로써 각 목표를 진술합니다.

  넷째, 각 목표를 종착점 행동을 지시할 수 있도록 진술합니다.

  다섯째, 각 목표는 몇 가지 결과의 조합으로 구성되기보다는 한 가지 일반적인 학습결과만을 나타내도록 진술합니다.

  여섯째, 각 목표는 기대하는 학습결과를 명백하게 지시하고 학생의 구체적인 행동을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일반성의 수준에서 기술합니다. 일반적 수준의 수업 목표는 한 단원에서 대략 8개에서 12개 정도의 목표가 포함되도록 진술하면 충분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일반적인 수업목표를 구체화하지 않고서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하여 도달해야 할 학습결과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교사는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구체적인 학습결과로 자신의 수업목표를 명백히 하여야만 합니다. 일반적인 수업 목표 아래 열거해야 할 많은 구체적인 학습결과를 몇 개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다만 단순 지식과 기술에 관한 목표는 보다 복잡한 목표에 비하여 보다 적은 수의 행동적 진술문이 필요하리라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Gronlund는 행동적인 용어로 수업목표를 명백히 하는 과정을 다음 단계를 거친다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첫째, 기대되는 학습결과로서의 일반적 수업 목표의 진술

  둘째, 각 일반적 수업목표 아래에 학생이 목표를 성취했을 때 보여야 할 종착점 행동을 기술한 구체적 학습결과의 열거

  a. 구체적으로 정의된 관찰가능한 행동인 동사로 각각의 구체적 학습 결과를 진술

  b. 각 목표 아래에 목표를 달성한 학생의 행동을 적절하게 기술한 충분한 수의 구체적 학습결과의 열거

  c. 각 구체적인 학습결과로서의 행동이 기술된 목표에 비추어 적절한지를 확인하기

  셋째, 일반적인 수업목표를 구체적인 학습결과와 관련하여 명확히 하려고 할 때 필요한 목표의 원래 목록을 수정하고 다듬기

  넷째, 비판적 사고나 평가하기 등의 복잡한 목표들을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명확히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빠뜨리지 않도록 유의하기

  다섯째, 복잡한 목표를 명확히 하는 데 가장 적합한 구체적인 행동 형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헌이나 자료를 참고하기

 

<Gronlund의 수업목표 진술 방법>

일반 목표 구체적 목표
1. 단원에 속해 있는 용어들의 의미를 안다 1-1 용어의 정의를 쓴다.
1-2 뜻이 비슷한 용어를 구별한다.
1-3 용어의 동의어를 한 개 찾아낸다.
1-4 용어의 반의어를 한 개 찾아낸다.
1-5 개념의 묘사에 용어를 맞춘다.

 

※ 참고문헌: 수업목표 진술 방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박형섭, 20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