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감성지능의 구성요소 및 감성지능모델 ③: 메이어(J. Mayer), 샐로비(P. Salovey)의 후기모델

by 신박에듀 2021. 6.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메이어(J. Mayer), 샐로비(P. Salovey)의 초기모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들은 초기 정의에 대한 한계를 보완 및 감정에 대한 사고 과정을 추가하는 작업을 통해 감성지능의 개념을 재정의 내렸고, 초기 모델을 4수준 16요소로 재구성 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후기 모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이어와 샐로비의 최근 모델>

정서의 인식, 평가, 표현
신체상태, 느낌, 사고에 따라 정서를 규명하는 능력 타인이나 그들의 작품 등의 정서를 규명하는 능력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이와 관련된 욕구를 표현하는 능력 정서의 정확성 및 진실성을 구분하는 능력
정서를 통한 사고의 촉진
관계있는 감정에 따라 사고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능력 정서와 관련된 판단, 기억을 촉진하기 위해 정서를 발생시키는 능력 정서 상태의 전환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도록 하는 능력 문제해결이나 창의성 촉진을 위해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
정서 정보의 이해와 분석
정서를 명명하고 정서간의 관계를 인식하는 능력 인과관계에 따라 정서를 해석하는 능력 동시적·복합적 느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정서간의 전환을 인식하는 능력
정서의 반성적 조절
정서를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 정보성과 유용성에 따라 정서에 개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이나 타인과 관련된 정서를 반영적으로 점검하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관리하는 능력

 

  각 수준은 보다 높고, 통합되는 과정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표에서 위쪽에 위치한 ‘정서의 인식, 평가, 표현’이 가장 낮으며 단순한 능력이며, 아래로 갈수록 보다 높은 단계의 수준으로 ‘정서의 반성적 조절’이 가장 고차원의 통합된 능력입니다. 각 수준에는 다시 세부적인 4요소들이 구성되는데 이 또한 좌측에서 우측의 순서로 발달이 이루어지며, 우측으로 갈수록 보다 통합된 능력임을 의미합니다.

  본 모델은 초기 모델과 두 가지 관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첫째, 감정에 대한 사고의 관점을 추가하며 감성지능과 일반지능과의 공통성을 강조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둘 간의 변별성을 높이고자 했다는 점입니다.

  둘째, 감성지능을 구성하는 4수준 16요소를 능력의 중요성에 따른 위계와 복잡성이 증가하는 발달 수준에 따라 배열했다는 점입니다.

 

 

 

 

1. 정서의 인식, 평가 표현

 

  4개의 수준 중 가장 하위의 범주에 속한 정서의 인지, 평가, 표현은 가장 기초적인 감성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서의 인지, 평가, 표현으로부터 감성지능의 발달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 1요소인 ‘신체상태, 느낌, 사고에 따라 정서를 규명하는 능력’은 자신의 정서를 규명하고, 내적 감정을 정확하게 인지하며, 복합적 감정까지 인식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 2요소인 ‘타인이나 그들의 작품 등의 정서를 규명하는 능력’은 타인의 언어, 표정, 행동, 몸짓, 상황 등의 맥락에서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더 나아가 음악, 미술 등의 예술작품 속에서 타인의 정서를 파악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제 3요소인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이와 관련된 욕구를 표현하는 능력’은 자신의 정서와 그와 관련된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정서표현에 대한 타인의 반응 기대와 타인이 표현한 정서에 타인의 욕구까지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제 4요소인 ‘정서의 정확성 및 진실성을 구분하는 능력’은 조작되거나 거짓된 정서표현, 정확하거나 부정확한 정서표현의 차이를 구별하며 언어적 의미와 행동적 의미가 다른 상황 또한 그 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즉, 보다 복합적인 감정표현을 인식, 구별할 수 있습니다.

 

 

2. 정서를 통한 사고의 촉진

 

  3수준 10요소의 초기모델에 ‘정서에 대한 사고과정’이 새롭게 추가 및 수정되어 제시된 수준이 바로 정서를 통한 사고 촉진의 단계입니다. 이는 정서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지적 사고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정서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제 1요소는 ‘관계있는 감정에 따라 사고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능력’으로 중요한 정서에 주의 집중하여 사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이는 개인 내적 갈등 뿐 아니라 대인간의 갈등에도 가능합니다. 제 2요소는 ‘정서와 관련된 판단, 기억을 촉진하기 위해 정서를 발생시키는 능력’으로 정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자신 안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능력입니다. 자신의 내부정서 또는 과거 경험을 통한 정서를 필요에 따라 불러일으킴으로서 판단, 이해를 돕습니다. 제 3요소인 정서 상태의 전환을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도록 하는 능력’은 정서의 가변성을 이해하는 능력으로서 정서 상태의 전
환과 정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합니다. 자신의 정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관점을 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제 4요소는 ‘문제해결이나 창의성 촉진을 위해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으로 개인의 정서상태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과정(정보처리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문제해결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정서를 생성하고 이를 문제해결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정서 정보의 이해와 분석

 

  정서 정보의 이해와 분석은 정서에 대해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으로서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적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에 대한 것입니다.

  제 1요소인 ‘정서를 명명하고 정서간의 관계를 인식하는 능력’은 1수준에서의 정서 인식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능력으로 다양한 정서의 명칭을 부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인식하며, 유사한 정서라도 정서의 강도에 따라 다른 명칭이 부여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제 2요소인 ‘인과관계에 따라 정서를 해석하는 능력’은 정서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인식하는 능력으로 다양한 정서에 내포된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들의 관련성을 알 수 있습니다. 제 3요소인 ‘동시적·복합적 느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두가지 이상의 정서가 혼합된 복합적 정서나 상호불일치하는 정서가 공존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정서가 매우 복잡하며 모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 할 수 있습니다. 제 4요소인 ‘정서간의 전환을 인식하는 능력’은 정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성을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정서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사고는 정서적 대응을 결정해 준다는 점에서 정서지능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4. 정서의 반성적 조절

 

  4수준 중 가장 상위 능력인 정서의 반성적 조절은 정서적·지적 성장을 위해 정서를 반영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는 앞에 제시된 세 수준의 능력이 완전히 발달되어야 도달할 수 있는 단계로서 가장 고차원적이며 통합된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 1요소는 ‘정서를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모든 정서를 수용하고 이에 대해 반응·조절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이는 정서의 유쾌성과 불쾌성을 떠나 이를 수용하고 표현 및 억제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정서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됩니다. 제 2요소는 ‘정보성과 유용성에 따라 정서에 개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능력’ 은 적절한 시기에 정서를 표현 및 차단하거나, 정서의 유익성·실용성에 따라 정서를 표현 및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정서와 행동이 분리 될 수 있음을 알게 되고, 정서를 지속해도 될 때와 그렇지 않은 때를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제 3요소는 ‘자신이나 타인과 관련된 정서를 반영적으로 점검하는 능력’은 사회문화적 기준에 따라 자신의 정서를 평가하고, 이러한 정서가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제 4요소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관리하는 능력’은 사회문화적 기준에 따라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효율적 정서로 전환시키며, 자신의 정서를 활용해 타인의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개인 내적 정서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의미하는 ‘상위정서(meta emotion)’는 정서지능의 기반이 되는 개념입니다. 4수준과 같은 정서에 대한 반영적 사고를 ‘메타 무드’라고 정의내리기도 하는데 이는 4수준 3요소에 해당하는 ‘메타 평가’와 4수준 4요소에 해당하는 ‘메타 조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감성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 교수·학습 방법 연구(이선향, 2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