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수업 목표 진술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학자는 잘 알려진 Tyler(1949)입니다. 그는 현재의 교육 프로그램이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해당 과목을 맡고 있는 교사들도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지 못한다고 비판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행동적 수업 목표 진술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구현한 메이거의 진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Mager(1962)의 진술 방법
목표는 수업의 설계,실천,평가에 있어 유용한 도구입니다. 목표는 흔히 성공적 수업을 유도할 내용과 절차를 지적해 주고 수업과정 자체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수업이 성공적이었는지를 알아내는 수단을 준비 시 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교사는 미리 학생들에게 수업목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수업의 결과에 대한 추측을 강요하게 되며 그로 인한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됩니다. Mager는 수업 목표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 모든 목표가 유용한 것은 아니며 수업 목표가 유용하려면 의도된 수업의 결과를 학생에게 전달하는 데 성공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그러한 의도가 학생에게 잘 전달되기 위해서는 목표를 진술하는 어휘의 해석 범위가 좁아야 합니다. 목표 진술의 가장 잘 된 형태는 교사의 의도와 다른 해석 가능한 의미의 수를 최대한도로 배제하는 진술입니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애매한 말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말들은 우리가 일상 회화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말들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날씨가 좋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와 같은 말을 할 때마다 무엇을 뜻하는지 따지지 않죠. 그러나 만일 그러한 말을 구체적인 수업의 의도를 전달하고자 할 때 이와 같은 애매한 말만을 사용한다면 그 말을 받아들이는 학생은 오해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말들의 예로는 “안다, 이해한다, 인정한다, 즐긴다, 믿는다, 내면화한다.” 등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해석의 범위가 좁은 말들로는 “쓴다, 낭독한다, 구별한다, 비교한다, 추출한다, 노래한다.” 등이 있습니다.
학습자에게 무엇을 알게 하고 싶다고 할 때 ‘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 하는 것인가? 이렇게 수업 목표를 진술한다면 사실상 학습자에게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 것과 다름없다고 Mager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하기 전에는 실제로 그 말은 거의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장 의미가 잘 전달되는 목표는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학생들의 행동을 기술하는 것입니다.
Mager는 목표의 의도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첫째, 성취행위를 진술하는 것입니다. 목표는 학습자에게 기대되는 행동을 진술합니다. 둘째, 조건을 진술하는 것입니다. 목표는 언제나 성취 행위가 일어날 중요한 조건을 기술합니다. 셋째, 기준을 진술하는 것입니다. 학습자가 얼마나 행동으로 잘 나타낼 수 있는가에 대해서 수락 기준을 기술함으로써 목표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포함한 수업 목표의 예를 들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Mager의 수업목표 진술 방법>
학습장면(조건) | 수락 기준 | 도착점 행동 |
여러 사회•경제적 조건 과 요소를 열거한 표에서 | 학습자는 1929년의 경제 공황의 원인이 될 만한 것을 적어도 5개 이상 | 선택할 수 있다. |
10개의 1차 방정식 문제 를 주었을 때 | 40분 이내에 모든 문제를 | 정확하게 풀 수 있다. |
역사적 사건의 원인에 관 계된 목록을 주었을 때 | 적어도 5개 이상 | 경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지적할 수 있 다. |
※ 출처: 교육과정(권낙원 외, 2011:174)
비록 위의 특징 중 조건과 기준을 꼭 포함시킬 필요는 없지만 이들 특징을 포함시키면 시킬수록 그만큼 목표의 의미 전달이 잘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Mager는 수업목표 진술에 있어 지나친 형식은 필요 없다고 보았습니다. 어떤 학자는 수업 목표의 분량을 한정시키기도 하고 특정 단어를 반드시 포함시키기를 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럴 필요는 없으며 교사의 의도를 잘 드러낼 수 있으면 된다고 보았습니다.
※ 참고문헌: 수업목표 진술 방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박형섭, 2016)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룬런드(Gronlund)의 행동적 수업목표 진술 양식 (0) | 2021.06.26 |
---|---|
협력학습이란?(개념 및 매개요소) (0) | 2021.06.25 |
감성지능의 구성요소 및 감성지능모델 ③: 메이어(J. Mayer), 샐로비(P. Salovey)의 후기모델 (0) | 2021.06.23 |
감성지능의 구성요소 및 감성지능모델 ②: 골먼(D. Goleman)의 감성지능 (0) | 2021.06.22 |
감성지능의 구성요소 및 감성지능모델 ①: 메이어(J. Mayer), 샐로비(P. Salovey)의 초기모델 (0)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