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학업적 실패내성 알아보기: ② 하위요인

by 신박에듀 2021. 6.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학업적 실패 내성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학업적 실패 내성의 하위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요인

 

  학업적 실패내성에는 실패 경험 후에 보이는 감정적 반응과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방안을 강구하는 등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취할 것인지에 대한 행동적 측면, 그리고 실패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후속 상황에서 어려운 과제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여부 등을 포함하였습니다. Clifford 등(1988)은 실패 내성을 일반적이고 안정적인 개인차 변인으로 보고, 실패 내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개발을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실패 내성은 실패 경험 후의 피험자들의 감정과 행동적인 반응을 잘 예언해 주었고, 높은 실패 내성을 가진 사람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후속 과제에 대해 더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로 임하였음이 밝혀졌습니다.

  그 후 김아영(1994)은 학업적 실패내성(Academic Failure Tolerance) 척도를 한국판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연구에서 실패 경험 후의 감정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 외에 개인의 일반적 과제 난이도에 대한 수준을 첨가하였으며, 그 후 김아영(2002)은 학업동기 표준화 연구를 통하여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였습니다. 학업적 실패 내성 척도의 구성 요인은 감정, 행동, 과제 수준 선호이며, 각 구성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감정(Feeling)

 

  감정(Feeling)은 실패경험 후에 개인이 보이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반응 정도를 나타냅니다. 실패 경험에 대해서 건설적으로 대처하는 개인은 부정적 감정 반응 정도가 낮게 나타나기 때문에 부정적 감정 반응 정도가 낮을수록 실패 내성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행동(Behavior)

 

  행동(Behavior)은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으로 구성되는데, 실패경험 후에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행동 요인의 인지적 측면으로 그 범위가 넓을수록 실패 내성이 높은 것입니다. 또 행동 요인의 행동적 측면은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 취할 행동이 어떠한가를 나타내는 요인입니다. 즉 개인이 실패 경험 후에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적, 구체적, 적극적인 행동을 보일수록 실패 상황에 보다 건설적으로 대처하며 실패 내성이 높은 것으로 봅니다.

 

3. 과제수준선호(Task Difficulty Preference)

 

  과제수준선호(Task Difficulty Preference)는 개인이 후속하는 과제에 대해 보이는 인지적, 행동적 측면을 말하며, 과제 난이도에 대한 선호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의 실패 내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 학업적 실패 내성 척도에서의 과제는 학업적 과제로 그 범위가 제한됩니다.

 

  이러한 세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한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는 학업 상황에서의 각 개인의 경향성을 나타내고, 하위요인들의 평균치는 그 개인의 전반적인 학업과 관련한 학교생활 속 실패에 대한 내성 정도를 알려줄 수 있으며,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참고문헌: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실패 내성에 미치는 영향 : 강점 인식의 매개효과(안은경, 20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