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학업적 실패내성 알아보기: ③ 영향을 미치는 변인

by 신박에듀 2021. 6.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학업적 실패 내성의 개념과 그것을 구성하는 하위 변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학업적 실패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실패내성이라는 변인을 학업 상황에 적용한 학업적 실패 내성과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학업적 실패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개인 내적인 변인과 외부 환경적인 변인들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인 변인

 

  먼저 학업적 실패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인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황매향, 장수영, 유성경(2007)의 학업우수 학생의 실패 내성에 대한 예측 변인에 대한 연구에서 자아존중감, 부모 애착 모두 학업적 실패 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애착에서 부모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아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으로 미성숙한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에 대한 영향력이 크며,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 초등학생이 실패 상황에서 부정적 감정을 덜어내고 적극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민정미(1996)의 연구에서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이 실패 내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이영희(2007)의 연구결과와도 같습니다. 조규선(2000)의 본 연구에서는 자기 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실패 내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채호숙(2008)은 자아탄력성이 실패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며, 특히 실패 내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과제 수준 선호와 행동이 자아탄력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였습니다. 박상희(2010)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실패 내성, 학교 적응 간에는 상호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차은주(2010)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실패 내성에 영향을 끼치며, O’connell-Higgins(1983)와 Kuhl(1981)의 연구에서도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실패 내성과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윤미정(2014)은 낙관성이 높은 청소년들의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전민정(2010)은 자기 효능감은 낙관성을 매개로 하여 실패 내성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변인이 되며, 김유진(2009)의 연구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학업적 실패 내성은 부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으며, 고홍월(2012)은 자기 결정성 동기 이론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실패 내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에서 자율 동기 집단이 타율 동기 집단에 비해 실패 경험 후의 건설적으로 행동을 취하고 적절한 과제 수준을 선택하며,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취한다고 하였습니다. 신영회(2005)는 영재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내재적 동기 수준이 더 높으며, 내재적 동기 집단이 더 강한 학업적 실패 내성을 가진다고 하였습니다.

 

 

2.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적 변인

 

  다음으로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적인 변인을 살펴보면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있습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적, 자율적, 애정적, 합리적일수록 학습자의 학업적 실패 내성이 높으며, 학습자 자신의 통제성과 자기 효능감, 부모와 자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은 실패 내성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습니다(이영희, 2007; 한은숙, 김성일; 2004). 김은희 (2014)는 부모, 교사, 친구와 같은 주요한 타자로 기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은 아동의 학업적 실내 내성을 높인다고 하였습니다. 김유진(2009)의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성취 압력은 학업적 실패 내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록 그 효과가 작지만 지각된 부모의 성취 압력이 높을수록 학업적 실패 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김은하(2014)는 학업과 관련한 상황에서 학습자의 목표지향성에 적합한 피드백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의 학업적 실패 내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며 실패 경험 후의 지속적인 학습을 보이는 학습자라 하더라도 정서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패 경험에 대해 격려하고 공감해주는 정서적 피드백과 정보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학업적 실패 내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학업적 실패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실패 내성에 미치는 영향 : 강점 인식의 매개효과(안은경, 20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