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과정중심평가의 도입 배경

by 신박에듀 2021. 2.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 뿌리내리면서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해 과정 중심 평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배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정중심평가 도입 배경

 

  21C에 들어서면서 기술의 혁신, 정보 통신 기술, 융합과학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4차 혁명이 시작되었습니다. 산업 혁명에 따라 환경이 심각하게 파괴되고 사회 인구의 변화에 이어 정치와 경제의 세계화, 직업의 다양화, 노동시장 구조가 변화되며 사회 구조 또한 변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부(2019)에서는 학습에서의 과정을 중요시하는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였습니다. 암기, 강의 위주의 교육을 했던 산업 사회와 지식을 전달하는 능력을 중시하는 지식·정보사회와 달리,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창조 기반 사회로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이 중시됩니다. 과거 교육현장에서는 단순 암기 위주의 평가를 위한 학습을 하였고 수업과 분리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정답만을 중시하는 분위기를 가져왔습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분위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평가를 도입하였지만, 학생과 학부모는 수행평가에 대한 공정성을 우려하였으며, 수행평가는 교육 현장에서 기존 평가의 일부와 다를 바 없이 수행의 과정보다는 수행에 대한 결과물 위주의 평가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교육 현실의 변화를 위하여 교육부(2015)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를 제시하여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평가는 기존의 등급과 성적표를 제공하기 위한 학기말, 학년 말에 시행되는 평가와 종합적 평가, 결과중심 평가, 교사가 주체가 되는 평가에서 교수·학습 중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평가, 진단적·형성적 성격의 평가, 결과 및 과정 중심 평가, 교사와 학생이 모두 주체가 되는 교사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를 제시하여 과정 중심 평가로의 평가의 패러다임을 확장하였습니다.

  경기도교육청(2016)은 평가의 방향으로 ‘성장중심평가’를 제시하였습니다. 성장 중심 평가란 학생 서열화를 위한 변별적 기능을 지양하고 학생의 배움을 촉진하여 참된 학력과 핵심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돕는 평가를 말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경쟁을 유발하거나 교수·학습과 분리된 것이 아닌 교사가 재구성한 교육과정 속에서 협력적 배움으로 성취기준에 도달하도록 돕습니다. 성장 중심 평가는 결과와 더불어 과정이 중시되고, 교수·학습의 전 과정과 결과에 대해 자세한 정보와 방향을 제공합니다.

  학습자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알 수 있어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교사의 성장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며, 교사 자신의 삶과 학생들의 삶 그리고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만남을 통해 구체화된다고 봅니다. 이 과정에서 경험에 대한 반성이 성찰을 이끌며 총체적 경험으로 학생과 교사의 성장이 실현됩니다.

  이를 통해, 과정중심평가와 경기도교육청에서 제시한 성장 중심 평가는 학생의 등급화, 서열화, 선발의 목적과 기능에 중점을 두어 정해진 답을 찾는 선다형, 단답형 중심의 일제고사를 실시하는 선발적 평가관을 지양하고, 교육을 통해 개인의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며 학생에게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발달적 교육관을 지향하는 데 있어서 뿌리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과정중심평가와 성장 중심 평가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평가를 실시한다는 관점에서 동일한 평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강은영,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