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상담 슈퍼비전의 이론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상담이론 기반 모델은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에 입각한 상담자를 양성하기 위한 모델로서, 여기에는 정신분석적 접근에 근거를 둔 심리 역동적 슈퍼비전과 인간 중심 슈퍼비전, 행동주의 슈퍼비전, 부부치료나 가족치료 슈퍼비전 등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상담 슈퍼비전의 모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담 이론에 근거한 상담 슈퍼비전 모델
초기 상담 슈퍼비전 모델은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에 근거하여 발달하였습니다. 상담 및 심리치료 이론이 정신분석적 접근에서 시작되어 정신 분석적 접근, 인간중심 접근, 행동주의 접근, 현실 치료적 접근 등으로 다양화되었듯이 상담 슈퍼비전 모델도 정신분석의 상담자 교육 분석 모델에서부터 시작되어 다양화되었습니다. 상담 이론에 근거하여 발달한 상담 슈퍼비전 모델은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에 근거를 두고, 그 이론의 기본 인간관과 상담 전략 및 방법을 상담 슈퍼비전 영역에 적용시켰습니다.
1) 정신 역동적 슈퍼비전
심리 역동적 슈퍼비전은 정신분석적 접근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정신분석적 접근은 인간을 비합리적이고, 어린 시절의 경험에 영향을 받는 결정론적인 존재로 가정합니다. 정신분석적 접근에서 인간의 의식 수준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세 차원으로 나누어지고 성격은 원욕(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내담자의 어려움은 의식의 세 차원과 성격의 세 부분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데 있습니다.
정신분석의 궁극적 목적은 무의식에 기인한 내담자의 문제 행동에 대한 각성과 통찰을 도와줌으로써 건설적인 성격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정신분석적 접근에서의 상담과정은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맺기, 전이의 발생, 훈습 그리고 전이의 해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상담자의 주요기술은 자유 연상과, 저항, 전이, 그리고 꿈의 분석과 해석 등이 있습니다.
심리 역동적 슈퍼비전의 목표는 역동(dynamics)의 알아차림, 역동 변화의 이해, 역동의 변화조장 그리고 역동의 치료적 사용에 있습니다. 역동의 알아차림과 역동의 이해는 상담 슈퍼비전 과정상의 목표로서, 상담자가 치료적 역동을 변별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상담 수련생이 상담 슈퍼비전을 통해 자신의 개인 역동을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되면, 내담자의 역동에 계획된 영향력을 미칠 수 있고, 이를 치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역동에는 내적 역동과 대인 역동이 있습니다.
내적 역동은 개인 안에 보이지 않는 행동, 태도, 신념, 감정, 생각, 인식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개인이 변화에 저항하는 것은 내적 역동 안에 갈등(conflict)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반응입니다. 물론 이러한 갈등은 무의식적인 것입니다. 따라서 슈퍼바이저는 상담 수련생이 자신의 내적 갈등(inner or repressed conflict)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대인역동은 내담자와 상담 수련생, 상담 수련생과 슈퍼바이저, 슈퍼바이저와 내담자 사이에 일어납니다. 상담 수련생은 민감하게 내담자의 역동을 해석하여 치료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슈퍼바이저는 상담 수련생에게 상담자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상담 수련생이 대인 역동을 학습하도록 돕습니다. 슈퍼바이저는 내담자와는 직접적 역동을 갖지는 않지만 상담자를 통해 간접적 관계를 갖습니다.
심리 역동적 슈퍼비전 모델 중에 최근의 모델로 평행과정모델(Parallel Process Model)이 있습니다. 평행 과정 모델은 슈퍼비전에서 일어나는 역동을 상담 혹은 치료 장면에서 일어나는 역동의 반복으로 보았습니다. 즉 슈퍼 바이저와 상담 수련생 사이의 역동은 내담자와 상담 수련생 사이의 역동이 재현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 동맹 모델(Working Alliance Model)도 최근의 심리 역동적 슈퍼비전의 모델 중 하나입니다. 상담의 작업 동맹과 마찬가지로 슈퍼비전의 작업 동맹도 세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째는 결속(bond)으로, 슈퍼바이저와 상담 수련생 사이의 정서적 유대감 및 신뢰를 의미합니다. 슈퍼바이저와 상담 수련생 사이의 결속(bond)은 서로의 애착 유형(attachment style)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둘째는 목표에 대한 동의(goal agreement)로, 상담 수련생이 상담 슈퍼비전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과 슈퍼바이저가 상담 수련생이 상담 슈퍼비전을 통해 얻어야 한다고 믿는 목표에 대한 동의 정도를 말합니다. 서로의 기대가 일치하도록 최초에 타협과 조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마지막 차원은 활동에 대한 동의(task agreement)로, 슈퍼바이저와 상담 수련생이 이미 동의한 상담 슈퍼비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하는가에 동의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2) 인간중심 슈퍼비전
인간중심인간 중심 슈퍼비전(Person-Centered Supervision)은 인간 중심적 상담 접근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인간 중심적 접근은 인간이 자신의 삶의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즉 내담자는 치료자의 해석이나 지도 없이 삶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 모델의 주요한 목표는 치료 환경에서 안전과 신뢰의 분위기를 제공하여 내담자가 자기 탐색을 위한 치료적 관계를 활용하여 성장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상담자는 진실성,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 그리고 정확한 공감적 이해의 태도로 내담자를 대합니다. 상담자가 인간 중심적 태도로 내담자를 대하면 내담자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들을 수용하고 더 나아가 긍정적인 감정들도 수용하게 됨으로써, 보다 통합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이 증가하게 됩니다.
인간 중심 상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자기실현 경향이 있음을 확신 하듯이, 인간 중심 슈퍼비전 모델(Person Centered Supervision Model)은 상담 수련생의 성장에 대한 잠재력을 신뢰하고, 상담 및 자신에 대한 탐구적 능력과 동기를 가지고 있음을 확신합니다. 상담자가 무조건적인 수용과 긍정적 관심, 공감, 그리고 진실된 태도를 가지고 내담자를 대하면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듯이, 슈퍼바이저가 상담자에게 그 와 같은 태도를 가지면 상담자가 스스로 상담 슈퍼비전 과정을 이끌어 간다는 것입니다.
인간중심 슈퍼비전 모델은 상담 수련생이 상담 슈퍼비전 경험을 통해서 내담자와 같은 경험을 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알게 되는 것이 장점입니다. 반면에 상담 슈퍼비전과 상담과의 구분이 불분명하고, 상담 슈퍼비전에 대한 조작화(operationalization)가 어려운 것이 단점입니다.
3) 행동주의 슈퍼비전
행동주의 슈퍼비전(Behavioral Supervision)은 행동주의 접근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이 접근은 인간의 구체적인 행동에 중점을 두고, 모든 행동을 학습된 반응으로 보며, 학습 이론을 상담에 응용하였습니다. 행동주의 접근은 인간을 기계론적이고 결정론적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상담의 목적은 잘못 학습된 행동을 소거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로 학습하도록 내담자를 돕는 것입니다.
행동주의 접근에서의 상담과정은 상담 관계 형성, 문제 행동 규명, 현재 상태 파악, 상담 목표 설정, 상담 기술 적용, 상담 결과 평가, 상담의 종결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행동주의 접근에서의 상담기술은 정적 강화, 행동 조형, 시범, 혐오 기술 등이 있습니다.
행동주의 상담과 마찬가지로 행동주의 슈퍼비전 모델은 관찰 가능한 행동과 학습 이론을 중요시합니다. 행동주의 슈퍼비전 모델은 상담자의 적응적이거나(adaptive) 부적응적인(maladaptive) 행동 모두 학습된 것이고 상담 수련생의 효과적인 상담 수행은 훈련된 기술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합니다.
행동주의 상담이론은 내담자의 문제를 학습의 문제로 보며, 상담자의 과제는 조작적(operant), 모방적, 인지적 그리고 감정적 학습을 통해 내담자의 적응적 행동을 증가하게 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행동주의 상담자들도 다른 분야의 상담자들처럼 정서적(affective)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정서적 기술은 상담자가 자신의 정서적 반응에 대응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면 초급 상담자는 상담 수행에 대한 불안을 조절하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합니다. 상담 슈퍼비전에서는 평가 불안을 조절하는 기술과 슈퍼바이저에 대해 발생하는 개인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기술을 습득해야 합니다.
4) 가족치료 슈퍼비전
가족치료 모델로서 가족치료 슈퍼비전 모델은 일반적으로 가족을 하나의 체제로 보며 가족 내의 다양한 관계와 역동을 점검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Liddle, Becker, 그리고 Diamond(1997)는 가족치료 슈퍼비전이 가족치료와 매우 유사하여 적극적이고, 지시적이며, 협력적인 특성을 지닌다고 보았습니다.
이 모델에서 가족치료 슈퍼바이저는 상담 수련생과 그들의 내담자를 하나의 체제로 볼뿐만 아니라 상담 슈퍼비전 관계 역시 하나의 체제로 이해하고 작업합니다. 따라서 가족치료 슈퍼바이저는 상담 수련생의 자기 인식과 성장 증대와 가족치료자가 되기 위한 학습을 위해 그들 자신의 세대 간 역동과 가치, 그리고 문화를 점검하도록 격려합니다.
Getz와 Protinsky(1994)는 이러한 개인적 성장이 상담 수련생과 상담 슈퍼비전을 하는 상담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들은 지식과 기술이 상담자의 개인적 역동과 자아 활동과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주장합니다. 만일 상담자가 자신의 원가족에게서 학습한 대인관계 행동 패턴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상담자 자신이 가족에게 느끼는 감정을 내담자에게 투사할 수 있습니다. 상담 슈퍼비전은 상담자 자신의 원가족 경험이 그의 임상 작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룹니다.
여성주의 슈퍼비전 모델의 기본 철학은 성별에 무관하고 유연성이 있으며, 상호교류적이고 전 생애를 포괄하는 접근입니다. 이러한 접근은 성역 할 기대가 출생부터 뿌리 깊이 한 인간의 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Carta-Falsa와 Anderson(2001)은 슈퍼바이저와 상담 수련생의 진솔한 대화를 바탕으로 하는 협력적 상담 슈퍼비전 모델을 설명하였습니다. 이 모델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은 상담 수련생의 강점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슈퍼바이저와 상담 수련생은 힘을 공유하고, 지식을 습득하고, 공유하며, 발전시키는 데 함께 참여합니다. Carta-Falsa와 Anderson(2001)에 의하면, 이러한 협력적 정신에서 나오는 신뢰감과 안전감은 모험을 감수하게 하고 수행 수준을 높이며 개인적 확신을 증대시킵니다.
※ 참고문헌: 상담 슈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홍영식, 2012)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중심평가의 개념 및 특징 (0) | 2021.03.01 |
---|---|
과정중심평가의 도입 배경 (0) | 2021.02.28 |
상담 수퍼비전이란?(개념 및 자격) (0) | 2021.02.24 |
형식지(explicit knowledge)와 암묵지(tacit knowledge) (0) | 2021.02.23 |
직관 교육 사상가(라트케, 코메니우스, 페스탈로치, 피슈베인, 브루너)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