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

by 신박에듀 2020. 12.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인구를 '생산 가능 인구'라 부릅니다. 생산 가능 인구는 만 15세부터 64세까지의 연령을 일컬으며 경제활동 인구와 비경제활동 인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는 어떠한 '직무'에 종사하게 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생겨나기 마련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

 

  본래 스트레스란 단어는 라틴어인 Stringere(긴장, 팽팽히 죄다, 바짝 잡아당기다)에서 유래되어 이후 string, street, straisse 등으로 쓰다가 14세기에 이르러 stress라는 용어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국제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는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를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또는 바람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정신 반응”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들은 학자들에 따라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세 가지 범위로 나타났습니다.

  첫 번째,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는 개인의 신체·심리적 안정성에 위협을 가하는 자극이나 유발자라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스트레스 자극은 자연재해, 전쟁, 수술, 실적, 이혼, 갈등상황 등 다양합니다. 두 번째,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신체적인 반응을 보았습니다. 세 번째, 스트레스는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보는 관점에서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개인의 평가와 판단에 초점을 둡니다. 즉, 스트레스 사건 그 자체보다는 그에 대한 개인의 해석 및 평가와 대처가 더 중요하며 스트레스는 개인의 인지적 평가와 대체에 따라서 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개인의 신체·심리적 안정 상태를 위협하는 환경적인 자극과 개인의 정서·행동·생리 체계에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적 행동을 포함합니다. 또한 자극이나 반응 자체보다는 개인이 자극과 반응에 대한 해석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됩니다.

  직무스트레스의 연구는 1970년대 조직 차원에서 연구가 개발된 일종의 사회과학적 개념입니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수행에 일어나는 모든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관계로 스트레스는 일반적인 것보다 구체적이고 한정적일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는 미국 심리학자인 Freudenberger가 지역정신보건 센터의 근로자들이 특정한 이유 없이 일에 대한 의욕이 상실되었던 환자 들을 냉담하고 불친절하게 대하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종사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겪는 정신적, 심리적, 신체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다수의 연구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의 개념적 정의를 시도해 왔습니다.

  신영일(2018)은 종사자 개인이 직무환경에서 받는 다양한 자극이나 상황 및 사건에서 개인 스스로 대응할 능력을 넘어설 때 직무스트레스가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김춘영(2018)은 업무적 조건이나 환경적 조건이 조직 구성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과정을 직무스트레스로 설명했습니다. 천정훈(2018)은 직무스트레스를 조직 안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부정적인 측면이라 여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무환경에서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처럼 직무스트레스의 개념은 연구 자들 간에 다양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환경특성, 자극, 반응,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등, 사건과 상황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개념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김원영(2009)은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와 관련 활동을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하면서 갖는 부정적 특성과 활동의 결과들로 보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교사의 직무상황 속에서 발생되는 심리적,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동반하는 심리적 안정에 대한 위협으로 자각되는 상태로 정의하였습니다.

  이상의 연구들을 토대로 볼 때 직무스트레스는 환경과 자극과 개인의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으로도 볼 수 있는 측면, 환경의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직무스트레스를 한마디로 정의 내린다는 것은 쉽지 않는 일입니다. 그러나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정의를 해보면 개인의 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만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근무환경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수없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습니다.

 

 

※ 참고문헌: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박영애,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