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공공봉사동기 이론이란?(개념, 핵심요소)

by 신박에듀 2021. 2.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공공봉사 동기, 업무 특성 이론, 내재적 동기 이론, 세 가지 동기 이론은 행정학에서 공무원 태도와 행태를 설명하는 데 있어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봉사 동기(PSM: Public Service Motivation) 이론의 경우 이론의 출발부터 공공부문 종사자만이 가질 수 있는 동기라는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연구되기 시작한 만큼(Perry & Poter, 1982) 행정학 분야에서는 공무원 행태를 설명하는 직접적이고도 핵심적인 이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공공봉사 동기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공봉사동기 이론의 개념

 

  공공봉사동기는 공공부문 종사자가 민간기업 종사자와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되기 시작하였습니다. Perry & Wise(1990)에 의해 개념의 정교화가 이루어졌으며, Perry(1996)에 의해 공공봉사 동기를 측정하는 척도가 개발된 이후에 이에 대한 실증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공공봉사 동기의 개념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Bozeman & Su, 2015) 내용면에서는 대체적으로 서비스 동기, 이타심, 다른 사람을 돕는 것, 친사회적 동기 등을 핵심 요소로 합니다. 공공봉사 동기에 대한 개념 정의에 대해 Perry & Wise(1990)는 공공봉사 동기를 “공공기관이나 공공조직에 근본적으로 혹은 독특하게 내재되어 있는 동기에 반응하는 개인적 정향”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 공공봉사동기의 구분

 

  공공봉사동기는 크게 정서적, 합리적, 규범적 차원 등 세 가지 차원의 동기로 구분됩니다. 정서적 차원은 사회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정책에 헌신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하고, 합리적 차원은 정책과정에 참여하여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하며, 규범적 차원은 공익을 증진시키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합니다. 정서적 차원의 경우 자기희생, 동정심, 합리적 차원의 경우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도, 공익에 대한 몰입, 규범적 차원의 경우 사회정의, 시민의 의무 등의 하위 범주로 구성됩니다. 초기에는 이러한 여섯 가지 하위 범주로 공공봉사 동기가 측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타당도 검증을 거쳐 주로 합리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하위 차원인 정책결정에 대한 호감도, 공익 몰입, 자기희생, 동정심 등 4가지 하위 범주를 통해 공공봉사 동기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동기이론들 간 차별성과 유사성과 관련해 공공봉사 동기를 외재적 동기와 구분되는 ‘내재적 동기’의 특별한 형태로 보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Houston(2000)은 실증분석을 통해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민간부문 종사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외재적 보상인 봉급과 짧은 업무시간을 덜 중요하다고 여기고, 내재적 보상인 성취감과 일 자체의 의미에 더 가치를 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공공부문 종사자는 민간부문 종사자와 달리 외재적 보상보다 내재적 보상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Perry, 1996),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강하고 공익에 봉사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봉급이나 직업 안정성 등과 같은 외재적 동기보다는 공익과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조하는 규범적 동기에 더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공공봉사동기를 내재적 동기와는 구분되는 동기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컨대, Perry et al. (2010)은 공공봉사 동기가 타인 지향성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내재적 동기와 구분된다고 봅니다. Vandenabeele et al. (2018)은 내재적 동기가 자기중심적인 동기라면, 공공봉사 동기나 친사회적 동기는 타인 지향적이라는 점에서 구분되며, 친사회적 동기는 동기의 수혜자가 특정되어 있는 반면, 공공봉사 동기는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구분된다고 봅니다. 

 

 

※ 참고문헌: 동기이론에 대한 비교분석: 공공봉사 동기, 업무 특성 이론, 내재적 동기 이론(김소희 외,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