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개인의 삶의 질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심리적인 측면들의 합을 의미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와 관련하여 자기자비의 개념, 특징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기자비의 개념 및 특징
인간은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여길 때 행복감을 느끼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자신이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긍정적인 가치로써 자존감의 중요성을 언급해왔고, 자존감을 인간의 생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로 다뤄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높은 자존감은 행복과 심리적 안녕감을 예언하고, 낮은 자존감은 우울, 불안을 비롯한 정서문제, 행동문제 등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Neff, 2003; 서경현, 신현진, 김신섭, 2011; 서경현, 신현진, 양 승애, 2012; 심현진, 2014).
하지만 높은 자존감이 자기중심성, 공격성, 타인을 평가절하 하는 경향과도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 들은 자존감이 심리적 건강을 보장해준다는 증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은정(2014)은 자존감은 실패와 좌절과 같은 부정적 상황에서 개인을 불안정하 고 취약하게 만들기 쉽다고 보고했으며, Neff(2003, 2011)는 자기자비는 다른 차원에서 자존감보다 강한 완충효과를 가진다고 주장하면서 이론적으로 자존감보다 자기자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더 쉽고 효과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자존감 개념을 보완하는 건강한 자기 지각으로써 자기자비(Self-Compassion)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불교사상으로부터 유래된 자기자비 개념은 성격심리학 분야에서 연구가 시작된 비교적 새로운 자기개념으로 일반적인 자비의 정의와 구별되지 않습니다. 자기자비란 실패를 경험하거나 부정적인 사건에 직면했을 때, 자신을 비난하기보다는 이해하고 포용하며, 그러한 경험을 인간 삶의 보편적인 부분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비는 건강한 형태의 자기수용으로써, 자기중심성을 수반하지 않는 자기존중감(self-esteem)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자기자비와 자기존중감은 모두 긍정적인 자기 정서와 자기 수용감을 가진다는 점에서 비슷하지만 자기자비는 스트레스 사건에서 자기 자신을 보호하려는 것이고, 자기존중감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또한, 자기자비는 자기 동정과도 구별됩니다. 자기 동정(self-pity)을 하는 사람은 고통과 불행한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에 휩싸여 완전히 압도당하는 반면, 자기자비를 베푸는 사람은 상황을 왜곡하지 않고, 보편적인 인간 경험의 맥락에서 자신을 친절하게 보살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자비 개념은 건강한 형태의 자기수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자기자비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청소년기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가족과의 관계, 자아정체감 확립, 학업성취, 또래 및 교사와의 새로운 대인관계 형성 등 다양한 발달과업에 직면하게 되면서 심리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급격하게 나타나는 변화들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기 쉽고, 발달과업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와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청소년들이 겪게 되는 정서적 혼란이나 내적 갈등은 성인기까지 발전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문제이며, 최근 청소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청소년의 삶의 질을 비롯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삶의 질은 가족, 또래, 학교와 같은 환경적 변인 외에 자신에 대한 객관적·주관적 평가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이에 심리학 분야에서는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요인으로서 자기자비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들어, 많은 연구자들이 자기자비와 관련하여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적 건강에 대한 연구들을 보고하고 있습니다(Neff, 2003; Neff & McGehee, 2007; 이선영, 2013; 유연화・이신혜・조용래, 2010; 심은수, 2013).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심리적 부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역할을 살펴본 박세란과 이훈진(2013)의 연구에서는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존감 및 우울 등에서 자기 자비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김연수와 조성호(2014) 역시 자기자비는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Neff, Rude 와 Kirkpatrick(2007)은 자기자비 수준의 증가는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검증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Allen과 Leary(2010)은 자기자비 수준이 높은 사람 일수록 스트레스상황을 경험하게 될 때 사건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고, Terry와 Leary(2011)는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은 건강한 목표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Raes(2010)의 연구에서는 자기자비가 고통스러운 사건으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사고에 대한 행동을 조절하며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도 많은 연구들이 자기자비가 행복감, 안녕감, 유대감, 내재적 동기, 낙과주의와 같은 긍정적 정서와 정적상관이 있다고 밝혔고,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지나친 완벽주의와 같은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상관이 있다고 밝혔습니다(Neff & MaGehee, 2010; Van Dam et al. 2011; Raes, 2010; 심우엽, 2013;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이선영, 2013; 박세 란 이훈진, 2013).
특히, Neff와 Mcgehee(2010)는 초기 성인의 자기자비는 14-17세 청소년의 자기 자비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으며, 자기자비는 부정적인 자기관을 가지고 있는 10대 청소년들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를 가능하게 한다고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Neff(2003)는 자기자비가 유용한 정서조절 전략으로써 기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자기자비는 고통스러운 사회적 사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사고들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유임경, 2016)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인관계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인 (0) | 2020.11.25 |
---|---|
부모 양육태도의 개념 (0) | 2020.11.24 |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 (0) | 2020.11.22 |
자기조절능력이란?(개념, 구성요소) (0) | 2020.11.21 |
적응유연성이란?(개념, 특징, 기능) (0)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