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금까지 심리학 분야에서 인간의 문제나 병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던 것에 반해, 최근에는 강점과 자원에 초점을 둔 긍정적인 면, 행복, 삶의 질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와 관련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심리적 안녕감의 개념
심리적 안녕감이란 개인의 삶의 질을 구성한다고 여겨지는 심리적인 측면들의 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이 인생전반에 대해 느끼는 행복이나 만족 정도를 말합니다. Diener 등(1984)은 인간의 행복은 객관적인 기준보다는 자신의 삶을 어떻게 느끼는가와 관련된 주관적 판단이 중요하다고 밝혔고, 이를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이라 불렀습니다. 그러나 Ryff(1989)는 주관적 안녕감의 이론적 근거에 비판을 가하며, 삶의 질에 대해서 행복한 삶만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Masse와 그의 동료들(1997)은 Diener의 주관적 안녕감, Ryff의 심리적 안녕감 개념을 바탕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자존감, 자신과 사건에 대한 통제, 균형감, 사회성, 사회적 참여, 행복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종합해 보면, 심리적 안녕감은 개인의 의미 있는 삶을 중요하게 다루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개인이 가지는 긍정적인 기능과 잠재력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지금까지 청소년 관련 연구들은 주로 학교부적응, 일탈행동과 같은 문제행동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아동・청소년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청소년의 주관적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관련된 연구들은 삶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청소년들의 인지 및 정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일상생활의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위한 목표를 성취해 나가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밖에도, 강승희(2010)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학생들은 학교생활에도 잘 적응한다고 하였으며, 이은우 (2005)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청소년은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도 잘 적응하며,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많은 연구들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이 청소년의 정신적 건강의 중요한 지표로써 청소년의 발달과 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종합해 보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의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다른 긍정적인 결과에 공헌하기 때문에 중요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탐색하는 것은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청소년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유임경, 2016)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 양육태도의 개념 (0) | 2020.11.24 |
---|---|
자기자비(Self-Compassion)란?(개념, 특징) (0) | 2020.11.23 |
자기조절능력이란?(개념, 구성요소) (0) | 2020.11.21 |
적응유연성이란?(개념, 특징, 기능) (0) | 2020.11.20 |
자아탄력성이란?(개념, 특징)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