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일탈 이론의 첫 번째 유형인 생물학적 원인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일탈이 일어나는 심리학적 원인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심리학적 원인론의 등장
개인의 성격 특성 혹은 비정상적 감정 조절 때문에 범죄가 일어난다고 보는 것이 심리학적 범죄 이론이며 이는 크게 정신분석학적 이론과 성격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개인의 기질에서 범죄의 원인을 찾으려 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이론과 유사하지만, 생물학적으로 그 원인을 찾기보다는 개인의 마음 깊은 곳에서 찾으려 한다는 점이 차이점”(로널드 L. 에이커스 외, 2005: 116)입니다.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의 세 가지 자아, 즉 원초적 자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심리적 균형이 무너졌을 때 내적 갈등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비행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정신분석학에서는 비행이나 범죄를 “단지 한 개인의 원초적 자아, 자아, 초자아 간의 심리적 갈등의 증후”(로널드 L. 에이커스 외, 2005: 117)로 보고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듯 보여도 실제로는 개인의 억압된 내면 심리 상태가 일탈과 범죄의 진짜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2. 심리학적 원인론의 문제점
심리학적 원인론은 경험적 타당성을 가지고 평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정신분석학적 설명에 따르면 "범죄자의 범죄 동기는 무의식 속에 숨어 있어서 본인조차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론을 직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한편 또 다른 심리학적 원인론인 성격이론에서는, 범죄자가 “부적절한 범죄적 성격을 본디 지니고 있거나 법을 준수하는 사람과는 다른 성격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로널드 L.에이 커스 외, 2005: 120)고 주장합니다. 옳고 그름에 대해 판단이 무디거나, 타인에 대해 동정심 이 없거나, 타인에게 저지른 본인의 잘못에 대해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등 ‘반사회적 성 격’에 의해 범죄가 유발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성격 이론은 정신분석학적 이론과 다르게 성격 검사 등을 통해 경험적 검증을 시도했지만 이 역시 일관적인 연구 결과가 나오지 않아 성격 변수가 범죄의 주요 원인이라는 결과를 도출해내지는 못했습니다.
즉 “정신분석학 이론 및 성격이론은 개인의 내면에 있는 범죄 원인에 초점을 맞춘다는 면에서 생물학적 이론과 비슷하지만, 그 원인이 유전되거나 생물학적으로 결정된다고는 보지 않는다”(로널드 L.에이커스 외, 2005: 129)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 개인의 정신적 부분이나 성격 특성은 객관적으로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검증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 참고문헌: 고등학교「사회·문화」교과서의 ‘일탈 이론’ 내용 분석 : 2009 개정「사회·문화」 교과서 중심으로(김은정, 2016)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탈이론 알아보기: 머튼의 아노미 이론 (2) | 2020.10.10 |
---|---|
일탈이론 알아보기: 뒤르켐의 아노미 이론 (0) | 2020.10.09 |
일탈이론 알아보기: 생물학적 원인론 (0) | 2020.10.07 |
이이의 이기론(理氣論)(이기지묘, 기발이승, 이통기국론) (0) | 2020.10.06 |
이황의 이기론(理氣論)(이기이원론, 이동설)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