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사학 기관인 서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지방 향촌 교육기관에서 출발하여 정치적인 세력으로까지 발전한 기관이죠, 서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원 설립의 배경
조선시대 서원(書院)은 선현․선사(先賢․先師)를 봉사(奉祀)하는 ‘사(祠)’와 자제를 교육하는 ‘재(齋)’가 결합되어 성립되었습니다. 서원 제도가 도입되기 전까지 사림파 계통에서는 교육이 주로 가학(家學)․서재(書 齋)․정사(精舍)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본래 사림은 중소지주 출신의 지방 지식인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성종이 훈구세력의 일방적인 비대화를 막기 위해 김종직(金宗直)을 중앙정 계에 등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의 제자들이 다수 관직에 등용되면서 훈구세력에 대항할 수 있는 하나의 세력, 즉 사림파가 형성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절의를 숭상하고 성리학의 정통적 계승자로 자체 하였습니다. 그래서 당시 훈구파가 주장하던 부곡 강병책과 사장(詞章) 중심의 학풍을 비판하고 유향소를 비롯한 향촌 자치제의 실시 등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그리고 16세기 말 사림들이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사림의 등용에 힘을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한편 사림파의 성리학 이해는 훈구파의 사장(詞章) 중심의 학풍과는 대립되는 명분론(名分論)과 의리론(義理論)을 전제로 하고 있었습니다. 사장(詞章) 중심의 학풍은 경학을 바로 이해하고 그 사상에 따라 실천하는 삶의 태도에는 관심을 두기보다는 현실을 미화하고 수식하는데 관심을 쏟게 합니다. 그러나 명분론과 의리론은 기본적으로 천명과 인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철저하게 현실적 삶 속에서 천명과 인륜의 실천 여부에 따라 개인적인 삶의 모습이 얼마든지 비판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받아들이고 가묘(家廟)를 세우게 하는 정책을 통해서 사림파는 훈구파와의 대립에서 사상적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유교의식의 보급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상적 조류에 편승해서 서원(書院)이 설립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관학의 쇠퇴도 서원의 성립에 일조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선 초기 숭유정책은 중앙에는 성균관(成均館)과 사학(四學)을, 지방으로는 향교(鄕校)등을 장려하여 중소 지주층의 지식인화 및 향풍 교화에 크게 기여하였던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15세기 후반 관학이 그 교육적 기능을 상실하고, 관료 자제들의 출세 도구화하면서 그 한계성이 드러나기 시작하였습니다. 첫째로 관리 등용의 지름길로서 유생의 충순 위로의 입속을 허락한 것과, 둘째 교관의 질적 저하, 그리고 세조의 집현전 폐지를 통한 유학자의 학대와 불교 숭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16세기에 연산군의 폭정은 경서를 불사르고 성균관을 연락(宴樂)의 장소로 만들어 교육 황폐화의 절정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중종 대에 이르러 조광조(趙光祖)를 등용하면서 명리만을 쫒는 관학의 교육 대신에 사림 스스로의 수련과 내적 성숙을 통한 자발적인 흥기를 꾀하는 흥학책을 도모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교학 진흥책이 도학의 정통인 정몽주․김굉필의 문묘종사 운동으로 전개되고 한편으로는 사묘(祠廟)의 건립으로 나타나면서 이후 서원(書院)․사우(祠宇)로 발전해 갔던 것입니다.
최초의 서원(書院)의 성립은 중종 36년, 풍기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추념하여 백운동서원을 세운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는 서원(書 院) 건립의 명분을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음이 ‘교(敎)’에서 비롯된다는 데서 찾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안향(安珦)을 존숭하여 사묘(祠廟)를 세우고자 하는 이유는 그가 동방 도학의 비조(鼻祖)로서 삼한의 오랜 악습을 일세하고 조선조에 들어와 천리가 분명하고 문풍(文風)이 흥하도록 하는 막대한 공을 남긴 성현(聖賢)이기 때문입니다. 안향의 사묘는 덕을 숭상하는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데 유익하고, 그의 사묘 앞에 세운 서원은 학문을 돈독히 하여 진실로 환난을 그치고 기아를 구제하는 것을 긴급히 가르 치기 위해서였습니다. 요약하면 주세붕이 서원을 세운 동기는 교화를 위해서였습니다. 교화는 반드시 성현을 존숭 하는데서 비롯되는데 풍기의 교화를 위해서는 그곳 출신인 안향을 존봉(尊奉)하는 사묘를 건립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고 아울러 현사들이 기꺼이 장수할 수 있도록 서원을 세웠던 것입니다. 그리고는 사묘와 서원이 사문의 흥기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바랐습니다.
퇴계 이황은 주세붕의 백운동서원의 설립으로 시작된 서원 제도를 조선 사회에 보급․정착시키고 그 성격을 규정하여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퇴계는 당시 조광조의 도학 정치론에 공감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동조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광조 등의 선진사류가 군주 중심의 도학 교육을 주장한 것과는 달리 재지 사림에 더욱 치중하였습니다. 즉 그는 향촌의 사자(士子)에게 주자학적 정치이념과 학문 체제를 훈도하고 수련시킴으로써 향촌사회를 주도하게끔 할 보다 적극적인 교학 체제의 확립에 힘썼던 것입니다. 이것은 지방사학으로서의 서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선초(鮮初) 이래 중앙통제방식의 관학적 교학 체제를 부정하고 향촌 사림 위주의 새로운 교화 체제의 전개를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드디어 퇴계는 그가 풍기군수로 재직하고 있는 동안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청하여 승인을 받음으로써 서원이 단순한 사설 교학 기관에 그치지 않고 국가공인 하에 발전하는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상에서 서원은 조선 초기 관학 중심의 흥학정책과는 달리 세조나 연산군의 폭정으로 인해 피폐화된 관학교육을 대신하여 국가공인 사설 교학 기관이었음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서원의 임원들은 일차적으로 교화교육에 노력을 경주하였습니다.
<백운동 서원>
2. 서원의 임원
서원의 임원은 소수서원(紹修書院)의 설립에서부터 ‘원장(院長)․유사 (有司)’ 체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지역당색 또는 각 서원의 제반 조건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즉, 남인 계통의 서원은 ‘원장․유사’를 기본으로 하고, 서인 계통의 서원은 원장(院長)․장의(掌議)․유사(有司)’ 체제로 나타납니다. 북인 계통은 ‘원장․유사’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세분화하면 서원의 임원은 원장(院長), 원이장(院貳長), 도유사(都有司), 부유사(副有司), 직월(直月), 직일(直日), 재장(齋長), 집 강(執綱) 등 원내의 행정 업무와 관리를 맡은 이들과, 직접 원생의 교육을 담당한 교원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에서 중요한 임원은 원장(院長)입니다. 그의 직무는 세 가지였습니다. 하나는 서원의 경제적 문제에 대한 감독권입니다. 다른 하나는 유생의 입원 및 교육에 대한 감독 및 의무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유사(有司) 및 원속(院屬)들에 대한 임명·감독·처벌 등의 권한입니다. 특히 두 번째 사항은 유생에게 직접 강(講)을 하는 강장(講長)과 훈장(訓長)을 선발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는 중대한 문제였습니다. 강장(講長)은 대체로 학문과 덕망을 갖추고 60세 이상의 자를 선택하여 경학(經學)과 강문(講問)을 대비할 수 있고, 원생들에게 강문을 통하여 경학과 예절지도가 가능한 자가 선발되었습니다. 훈장(訓長) 역시 60세 이상의 학문과 예를 잘 아는 사람으로 정했는데, 문학(文學)을 부지런히 익히도록 하는 일과 원생들을 훈도할 수 있는 이가 선발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서원의 교관들은 원장 이하 모든 임원들이 주자학적 도학 사상을 유생들에게 교육하여 한편으로는 선현을 존숭(尊崇)하도록 하면서 과거에만 몰두하는 사장 중심의 학문을 배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을 교화시켜서 향촌사회를 주도할 인재로 길러내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즉, 그들은 성리학 사상의 확장이나 보급에 모범이 되는 선현 선사들을 존숭하게 하여 과거나 출세 위주의 학문에서 벗어나게 하였고, 경학을 통하 여 유교이념에 투철한 사람이 됨으로써 새로운 향촌사회 건설의 주역이 되게 하려 하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조선시대 교육기관의 실제와 현대적 시사점 연구(한민석, 201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황의 이기론(理氣論)(이기이원론, 이동설) (0) | 2020.10.05 |
---|---|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서원의 교육과정 (0) | 2020.10.04 |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서당의 교육과정 (0) | 2020.10.02 |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서당이란?(기능과 성격) (0) | 2020.10.01 |
조선시대 교육 알아보기: 성균관의 교육과정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