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12

DISC 행동유형(개념 및 특성) DISC 행동유형의 개념 미국 콜롬비아대학 심리학 교수인 마스톤은 1928년 〔The Emotion of Normal People〕이라는 저서에서 ‘인간은 서로 다른 차이를 가지고 있다’는 인간 행동을 이론화 하였습니다. 마스톤은 한 개인이 처한 환경에 대해 우호적으로 보는지, 적대적으로 보는지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고.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얼마나 많은 힘을 가지고 있는지의 인식여부를 기준으로 인간의 행동 유형을 4가지로 나누었습니다. 이 4가지 유형은 주도형(Dominance), 사교형(Influence), 안정형(Steadiness), 신중형(Conscientiosness)입니다. 이 네가지 행동유형의 머리 글자를 딴 것이 DISC 행동유형입니다. DISC 행동유형과 유사하다고 알려져 있는 MBTI는.. 2019. 6. 14.
팀기반 학습(개념, 원리, 효과) 팀기반 학습의 개념 팀기반학습(Team Based Learning: 이하 TBL)은 래리 미켈슨이 창안한 것으로, 대규모 수업에서 5~7명의 학생을 하나의 팀으로 구성한 뒤, 소집단 활동과 과제를 활용하여 수업하는 방법입니다. TBL은 팀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원들끼리 비전공유 및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기존에 배웠던 지식을 실제 과제에 연결시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됩니다. 최상의 성과를 산출하는 학습 팀이 되도록 지원하고, 그러한 팀들이 유의미한 학습 과업에 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특별한 교수 전략인 것입니다. 팀 기반 학습에서 교사는 전반적인 교수과정의 교육과정 설계자이자 매니저로 지식의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즉, 학습과정 중에 교사의.. 2019. 6. 13.
평생교육 교수자(정의 및 역할) 평생교육은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유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 생애에 걸친 모든 정규적, 비정규적 교육활동입니다. 따라서 일선 학교를 비롯한 기존의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과정에 있어서의 교수자의 역할과 평생교육 교수자의 역할 및 기대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앞 시간에서 성인학습자의 특성에서도 언급 했듯이 교육의 대상에 따라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 및 과정이 구성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평생교육 교수자의 정의와 어떠한 역할이 기대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정의와 역할 (정의) 교수자의 주 역할은 열정을 가지고 자신의 수업에서 강의 주제에 대해 학습자와 소통하는 것입니다. 가르치는 것 또는 교수의 목적은 전문적·사회적·정.. 2019. 6. 12.
평생교육 관련 이론(안드라고지, 평생학습, 구성주의, 인지주의) 평생교육의 개념은 비교적 늦은 1970년대에 태동되어 지금까지 계속해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의 역사는 1973년 8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평생교육의 기본이념과 전략이 토의되고 건의서가 채택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의 평균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감에 따라 평생교육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평생교육에 영향을 주었거나, 비슷한 개념에 대한 이론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차이 평생학습은 삶의 모든 영역에 누구나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지식과 능력을 개발하는 전 생애적 자기주도 성장의 행위와 실천이며, 평생교육은 인간의 평생학습이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촉진하고 지원하는 의도.. 2019.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