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12

[학업동기] 성취목표이론 성취목표 이론에 대한 이해 성취목표 이론은 사회인지 이론의 체계 내에서 특별히 성취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목표지향성으로 불려 왔습니다.. 목표지향성은 삶의 목표보다는 구체적이지만 어떠한 특정한 과제 목표보다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학업 장면과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성취목표 이론과 목표지향성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성취목표지향성이 목표지향성보다 구체적이며 과제를 위해 갖는 특정 표적 목표가 아닌 과제 상황의 성취를 위한 일반적 초점이나 목적으로 표현됩니다. 즉 성취목표는 학습자가 과제에 참여하는 이유에 관한 학습자의 지각에 초점을 맞춘 이론입니다. 학습자들은 어떤 목표를 설정하느냐에 따라 투입하는 시간과 노력의 정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 2019. 6. 26.
[학업동기] 자기결정성이론 자기결정성이론에 대한 이해 자기결정성이론은 Edward deci와 Richard Ryan을 중심으로 한 연구팀에 의해 1980년대 중반부부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자기결정성이론은 Deci의 인지평가이론에 유기적 통합 이론을 통합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시작된 동기 이론으로 인본주의적 접근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자기 결정성 이론은 자기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하는 내재동기이론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Ryan과 Deci(2002)는 이 이론이 유기적 변증법적 관점을 취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여기서 유기적이란 개념은 살아 있으며,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생존하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달한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자기결정성이론은 인간은 심리적 성장과 통합을 향한 능동적인 .. 2019. 6. 25.
[학업동기] 내재동기이론 인간은 살아가면서 종종 비슷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특히 교육열이 높은 우리나라는 가정에서 어머니들께서 자녀들에게 공부하라는 말을 다양한 방법과 형태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우리 학생들은 막상 공부를 시작하려고 책을 펴는 순간 이런 말을 듣게 되면 왠지 공부가 하기 싫어지고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내재 동기 이론입니다. 제시된 상황에서는 학생이 본인이 내재적으로 과제에 대한 흥미 때문에 공부를 한 것이 아닌, 어머니의 잔소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공부를 하는 상황이 만들어져 버렸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학업동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내재 동기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재동기이론에 대한 이해 내재동기는 행동의 원인이 상이나 .. 2019. 6. 24.
[학업동기] 학습된 무기력 이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형태의 과업을 마주합니다. 연령대와 관심사에 따라 그 과업은 업무, 학업, 결혼, 취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겠지요. 그런데 인간은 살아가면서 이러한 과업이 좌절될 때 종종 무기력을 느끼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학업동기 이론 중 학습된 무기력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된 무기력 이론에 대한 이해 ‘학습된 무기력 이론’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중반에 Martin Seligma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를 대상으로 하는 고전적 조건 학습 실험을 하던 중 관찰한 현상에 착안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학습된 무기력은 내가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상황이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거나 변화시키거나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단순한 실패가 아닌 개인의 능력이 부족.. 2019.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