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이슈37

국내 외국인 학교 현황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우리나라에 소재를 두고 있는 외국인 학교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가정은 이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유로 외국인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존재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학교 수, 학교급별, 학생비율 등을 교육 지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정책포럼 307권 '국내 외국인 학교 현황(김혜자, 2019)'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외국인학교는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자녀와 외국에서 일정 기간 거주하고 귀국한 내국인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학생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학교입니다(한국교육개발원, 2017:130). 「외국인학교 및 외국인유치원의 설립·운영에 관한 규정」 제2조에서 외국.. 2020. 1. 16.
교권침해 현황과 특성(교육통계)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요즘 우리는 언론보도를 통해 일선 학교에서 선생님들의 교권이 침해받고, 위협받는 소식을 종종 접합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과거와는 다른 가치관과 교육관으로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점에서 목소리를 내는 주체가 학생으로만 집중되어, 교사의 권리가 존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권침해의 현황을 교육 지표를 통해 알아보고, 그 특성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정책포럼 311권 '교권침해 현황과 특성(박근영, 2019)'을 재구성하였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가 2019년 5월 2일 발표한「2018년도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활동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교총에 접수된 교권침해 관련 상담 건수는 총 501건이었습니.. 2020. 1. 15.
OECD 주요국의 교육체제에 대한 정부주체별 의사결정 통계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OECD 주요국의 다른 교육지표를 안내드리려 합니다. 이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주제인데, 각기 다른 정부·교육당국 주체(예: 중앙정부, 지방정부, 개별 학교)가 어떻게 권한과 책임을 나누어 갖는지에 대한 논의는 교육정책 분야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정책포럼 317권 'OECD 주요국의 교육체제에 대한 정부주체별 의사결정 비율(한효정 외, 2019)'을 재구성하였습니다. “누가 교육체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가?”라는 주제에 대해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식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OECD 교육지표 2018(Education at a Glance 2018)은 각 영역의 교육체제에 대한 의사결정이 어느 수준의 정부·교육당국에서 .. 2020. 1. 14.
OECD 주요국의 교과목별 수업시간 통계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OECD 주요국의 교과목별 수업시간에 대한 자료를 안내해 드리려고 합니다. 본 통계의 주요국은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영국, 그리고 우리나라로 설정되어 있으며 학교별, 과목별로 지표값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OECD 주요국의 수업시수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지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기회로 삼아야 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정책포럼 312권 'OECD 주요국의 교과목별 수업시간 비교(한효정, 2019)'를 재구성하였습니다. 2019년 작년 9월 10일 발표된 (Education at a Glance 2019: OECD Indicators)는 OECD 국가들의 교육시스템을 다양한 교육통계 지표를 통해 비교·분석한 결과를 제.. 2020.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