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이론329 루소의 교육사상(성선설, 자연주의 교육)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서양 교육사에 있어 근대 이후의 교육을 논할 때 18세기 계몽주의 학자로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루소'입니다. 그는 도덕적 자연인을 양성하는 것이 교육의 역할이라고 하였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루소의 교육사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루소의 자연관과 사상적 기초 루소는 자연과 신을 동일시하며, 인간도 자연 속의 신과 일치하는 존재로 보고 있습니다. 신이 제공한 자연은 선하고, 선한 것은 도덕적인 것이죠. 이처럼 루소는 자연은 조물주에게서 직접 비롯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선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자연이 선하기 때문에 문명보다 자연이 더 훌륭합니다. 루소의 자연은 인위적으로 꾸며내거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자발적이고 진솔한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 2020. 9. 8. 존 듀이의 경험이론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존 듀이는 경험주의 교육이론을 논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학자이지요. 듀이(Dewey, J.)의 주 활동 분야는 철학과 교육학이며 프래그머티즘 (pragmatism)인 실용주의 또는 인스트루멘털리즘(instrumentalism)인 도 구주의의 입장을 확립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듀이는 철학자로서 실천을 중시하는 실행 가능성과 그에 따른 활동을 요구하는 행동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실제로 많은 조직단체에 참가하며 학자로서의 활동 이외에도 사회 구조의 개선을 위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활동을 하며 자신의 사상을 여러 분야에 전파시켰습니다. 프래그머티즘과 인스트루멘털리즘은 경험론의 전통을 바탕으로 발전된 것이며 듀이는 이 사상을 바탕으로 경험을 강조하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던.. 2020. 9. 7.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이론 ②(교육관)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관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관, 정치적 공공성, 자아실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육 목적과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바탕으로 그의 교육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육목적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의 탐구 주제는 두 가지로 대별됩니다. 첫째, 모든 인간의 활동은 선에 목적을 두고 어떤 선은 그 밖의 선에 예속한다. 둘째, 인간에 있어서 선의 과학은 정치학이다. 그러므로 그에 있어서 교육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선에 따른 활동으로서 행복이 인간의 목적으로서 수용되고 최고의 선이 지성의 삶에서 발견되는 것이라면 선과 지력의 발달이라는 교육 목적의 두 가지는 암시적으로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 2020. 9. 6.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이론 ①(인간관, 정치적 공공성, 자아실현)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플라톤의 철학과 비교대상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서양 교육사의 빠질 수 없는 인물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입니다. 그의 스승 플라톤의 관념론과 달리 실재론의 입장에서 우주를 설명하였습니다. 실재론은 이데아만이 실재한다는 관념론의 관점을 거부하고 우주가 형상(이데아)과 질료(실재하는 것)로 이루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간관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은 개별적 실체들에 공동 본질로 내재하고, 현실 세계의 개별적 실체들을 통해서 항상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형상과 질료는 불가분의 관계로 보편적인 성격의 형상이 발현되는 것은 구체적인 질료와 항상 관계되어 있습니다. 자연적인 생성은 형상이 질료 속에 내재하여 스스로 실현.. 2020. 9. 5.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