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이론329 자기효능감과 진로자기효능감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아동의 또래집단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로와 관련한 여러 이론들 중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은 Bandura(1977)가 사회인지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진로에 적용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1. 자기효능감 Bandura(1977)는 인간을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의 자기 조절 능력을 활용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신념으로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설명하였습니다. 즉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 2020. 9. 19. 또래집단의 개념과 특성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진로 과업'에 대한 개념을 뜻하는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요인 중 중요한 개념이 또래집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또래집단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또래집단의 개념 또래(peer)란 연령, 성별, 학년에서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신체적, 정신적 발달이 비슷하며, 사회적으로 동일시되어 함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또래란 대등한 위치를 가진 동반자, 사회적으로 동등한 사람, 또는 일시적으로라도 행위의 복잡성 정도가 유사한 수준에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은 자아개념 및 독립심 등의 발달로 인하여 부모에게서 독립하기를 원하고 또래 집단에 참여하는 일이 증가합니다. 발달심리.. 2020. 9. 18. 프뢰벨의 교육이론 ⑤ (교육방법: 발달 순응적 교육, 명령적 교육 )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프뢰벨의 교육방법인 상징과 예감, 놀이와 자기 활동, 노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마지막 교육형태인 발달 순응적 교육과 명령적 교육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달 순응적 교육과 명령적 교육 1) 발달 순응적 교육 낭만주의 철학의 세계관에 기초한 프뢰벨의 형이상학적인 기본사상은 그의 유아 교육론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프뢰벨은 인간의 삶이 인간과 자연에 내재하는 신성의 활동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활동은 필연적으로 선한 것입니다. 신성의 활동은 방해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반드시 선해야만 하고, 선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루소로부터 시작된 교육이 인간에게 내재한 신성을 자연스럽게 발전하는데 가능한 방해받지 않도록 .. 2020. 9. 15. 프뢰벨의 교육이론 ④ (교육방법: 노작 )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프뢰벨의 교육 방법으로 놀이와 자기 활동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노작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작의 원리 교육에 있어서 노작의 의미와 가치를 중요하게 보는 것은 현대 교육의 중요한 특색이며, 노작교육은 현대 교육의 기초입니다. 프뢰벨은 현대 교육의 가치 가운데 노작의 가치를 새롭게 부여하였습니다. 노작의 위치는 페스탈로치에 의해 높아졌습니다. 페스탈로치는 유아의 의식의 발전을 노작을 통해 이루려고 하였습니다. 그는 직관을 모든 인식의 유일한 절대적 기초로 보았으며, 자기 활동에 의한 것은 유아기가 아니고서는 직관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하였습니다. 자기 활동을 통하여 개개의 대상과 인격적인 체험을 할 때 직관은 진실된 순수함을.. 2020. 9. 14.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