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 교육장면은 학습자를 성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들을 고민하고, 또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과거부터 학습자 중심 교육은 주목을 받아왔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교육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데요. 이번 학습방법의 한 측면으로 연결학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연결학습의 개념
연결은 사물과 사물 또는 현상과 현상이 서로 이어지거나 관계를 맺음(국립국어원, 2020)을 뜻하는데, 연결학습이라는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학습과정에서 연결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며, 브릿징(bridging)이라는 단어에서 정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Feuerstein 외(1979)는 유아가 배운 학습내용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것을 돕는 것을 브릿징이라고 하였고, Perkins와 Salomon(1989)은 학생들이 배운 학습내용을 다른 적용가능한 상황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을 브릿징이라고 하였습니다. 서금택(2007)은 학습의 전이가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 역할을 하는 도구가 브릿징이라고 하였습니다.
Greenberg(1989)는 현재 상황으로부터 다른 적용가능한 생활의 영역 즉, 다른 교과영역, 가정, 직장, 사회 등에 다리를 놓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고(한은숙, 1993), Tribus(2000)는 ‘삶의 범위 안에서 경험하고 그 경험에 의해 교훈을 얻고 그 다음 이러한 교육을 전혀 다른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 즉 초월하는 능력이 브릿징이며, 이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능력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브릿징은 직접 전이하는 능력이나 다른 사람이 전이시킬 수 있도록 돕는 활동 또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박기범(2018)은 연결주의이론에 기반한 지식의 연결과정의 학습형태를 ‘연결학습’이라고 명명하였으나, 그의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제시한 한정적인 표상들을 연결하는 것에 머물렀고, 자원을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없었으며, 학습과정에서 공유가 아니라 결과의 공유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연결을 위한 수업전략으로서 다양한 표상의 제공, 표상의 순차적 제시 지양, 학습자에 대한 선수학습정도나 인지발달 고려, 학습시간의 조정 등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습니다.
송주신과 박기범(2019)은 학습을 정보와 지식들 간의 연결을 통한 지식체 구성과정으로 보고 박기범(2018)의 수업모형을 보완하여 사용하였습니다. 문제해결을 위해 지식들 간의 관계짓기, 속성 확인하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연결지식으로 대안을 모색한 학습과정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이러한 과정의 결과를 일반화하여 다른 교과나 삶의 다양한 영역으로의 적용, 활용 등은 없었습니다.
2. 연결학습의 특성
연결학습의 지원은 교수학습상황에서 학습자가 사고기술을 잘 활용, 적용, 응용, 전이 즉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도와주고, 지지해주며, 함께 구성해 가는 것입니다. 사고력 교육을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사고를 실천적 활동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며(이광성, 2007), 실용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교수자는 교과내용과 실제 경험을 연결시키는 다양한 사례를 미리 준비하고 이 둘 간의 연계 속에서 학습내용을 가르쳐야 합니다(민지연 외, 2009). 또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제시된 잘 정의된 문제뿐만 아니라, 덜 구조화된 문제를 준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과제는 간결, 명료한 문제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덜 구조화된 문제 그리고 개방 된 문제, 일상생활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수업전략이 필요합니다.
‘연결’의 개념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의 연결을 통해 만들어진 학습경험을 다른 영역에 적용, 활용, 전이할 수 있는 능력 또는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연결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연결은 스스로도 할 수 있지만, 교수자가 도움을 준다면 더 잘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참고문헌: 교수자를 위한 다이내믹 중재모델 개발(고주연,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 평가 활동 알아보기: 동료평가, 자기평가 (0) | 2022.05.03 |
---|---|
연결학습의 교수·학습방법(스캐폴딩, 모델링, 멘토링, 코칭, 퍼실리테이션) (0) | 2022.05.02 |
퍼실리테이션이란? ② 유형 및 효과 (0) | 2022.04.30 |
퍼실리테이션이란? ⓛ 개념 및 효과 (0) | 2022.04.29 |
토픽 모델링이란?(개념 및 장단점)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