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신체적 자기개념이란?(정의, 위계적 구조 및 측정)

by 신박에듀 2022. 1.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인지하는지를 자기개념이라고 합니다. 자기 개념이 높은 사람들은 학업이나 사회생활, 그리고 심리적인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체적 자기개념의 정의

 

  긍정적인 자기 개념을 갖고 있으면 삶을 살아가면서 성공을 이룰 수 있습니다. 자기개념은 개인의 정치적 위치, 학문적 성공, 신체적 수행능력, 외모 등 여러 영역의 영향을 받아 결정됩니다. 신체적 자기개념은 학문적 자기개념, 사회적 자기개념, 감정적 자기개념과 함께 총체적인 자기개념을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그러나 신체적 자기개념은 문화, 나이, 성을 불문하고 총체적 자기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느끼는 정도를 말하며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이 매우 강조되고 있습니다. 신체적 자기개념을 향상하면 총체적 자기개념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onstroem(1984)은 지속적인 신체활동은 개인의 신체 능력을 향상해주어 신체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신체적 자기개념을 높이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Dishman & Gettmam(1980)은 자기개념 중 신체 및 외모에 대한 지각과 신체 능력에 관해 느끼는 것을 신체적 자기개념이라고 정의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받음으로써 심리적인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습니다. Orlick(1986)은 인격의 형성기에 들어서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기르는 방법으로 스포츠 활동을 제시하였습니다.

  윤원정(2017)에 의하면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회복탄력성과 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정욱(2019)에 따르면 무용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사회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찬종, 이철화, 안수운(2021) 은 중학생들의 스포츠 참여는 신체적 자기개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이화실, 이상훈, 최종인(2017)의 연구결과에서도 방과 후 체육클럽의 참여 여부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들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신체적 자기개념의 위계적 구조와 측정

 

  위계적 구조모형이란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개념이 하나의 단계를 가진다는 이론인데, 신체적 자기개념이 총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자기개념의 위계적 구조모델이 상당히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면서부터입니다.

  Shavelson et al(1976)은 자기개념은 조직화, 구조화되어 있으며 다면적이고, 안정적이며, 발전적, 평가적 성격을 띤다고 하였으며 학문적 자아개념과 비학문적 자아개념으로 나뉜다고 하였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학문적인 자기개념은 영어, 역사, 수학, 과학과 같은 과목으로 나뉠 수 있으며, 비학문적 자기개념은 사회적 자기개념, 정서적 자기개념, 신체적 자기개념으로 나뉘고 또 다른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진다는 위계모형입니다. 그러나 위계적 구조설에 따라 볼 때 자 기 인지로부터 형성되는 일반적 자기개념은 중요한 하위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비교적 안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지지만, 하위요인들의 변화는 상위 수준에서 개념적으로 희석되어 일반적 자기개념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Shavelson, Hubner & Stanton(1976)의 자기개념 위계모형

 

  Fox & Cobin(1989)는 대학생이 자신의 신체에 대해 지각하는 정도를 스포츠 유능감, 신체적 컨디션, 매력적인 몸매, 체력 등의 4가지로 지각하여 신체에 대한 자기 가치를 느끼게 되어 전체적인 자기개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고 하였습니다.

 

Fox & Cobin(1989)의 자기개념 다차원적/위계적 모델

 

  신체적 자기개념의 측정에 관한 연구는 다차원적 측정 도구가 개발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개된 많은 질문지 중 자주 사용되는 다차원적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에는 Fox(1990)의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PSPP), Marsh, Richards, Johnson, Roche & Tremayne(1994)의 신체적 자기개념 질문지(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가 있습니다. PSPP는 아직 타당도가 입증되고 있지 않지만 PSDQ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기개념을 측정하는 매우 타당성 있는 도구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Fox & Corbin(1989)의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한국어 번역본이 갖는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유진, 소호성, 1998)와 일반 청소년과 운동선수들의 관점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을 구성 하는 요인을 질적인 방법으로 탐색한 연구(성창훈, 조충훈, 1999)가 진행되었습니다.

 

 

※ 참고문헌: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스트레스 대처의 관계(김현진, 20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