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아노미이론은 Durkheim(1893)의 아노미개념을 Merton(1938)이 재해석하여 이론화하고 검증한 것으로, 그는 일탈행위는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 된 규범으로부터 이탈된 행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아노미이론에서 ‘아노미’란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간의 괴리 를 의미하며, 이런 괴리는 긴장의 요소로서, 긴장의 요소에 노출된 사회 구성원에게는 아노미상태가 초래되며, 일탈행동을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긴장이론은 아노미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론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일반긴장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반긴장이론의 개념
Agnew(1992)의 일반긴장이론은 Merton(1938; 1957)의 아노미이론의 ‘긴장’을 개념적으로 확대하여 청소년 비행으로의 적용가능성을 일반화한 이론입니다. Agnew는 실제 청소년들은 다양한 목표를 추구하며, 목표는 경제적 성공 또는 직업적 성취 등과 같은 장기적인 목표보다는 단기적이고 즉각적인 목표라는 것에 집중하였습니다. 일반긴장이론에 청소년들은 긴장요인을 통해 우울감, 절망감 등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며, 이런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비행을 저지르게 됩니다. 즉, 청소년 비행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긴장으로 경험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며,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이 매개역할을 하여 비행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2. 일반긴장이론에서 바라보는 비행의 원천
Agnew(1992)는 비행의 원천을 목표달성의 실패, 긍정적 자극의 소멸, 부정적 자극의 발생으로 범주화하였습니다. 목표달성의 실패는 기대와 열망의 격차 (대학 진학을 희망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할 것 같은 부정적 기대), 실제 성취와 기대 사의의 격차(입시에 성공할 줄 알았지만 실패한 것), 공정하지 못한 결과(학업성적이 낮은 친구들이 대학을 갔으나 자신은 못간 것)로 다시 세분화 하였습니다.
긴장의 두 번째 원천은 긍정적 자극의 소멸로,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소의 상실되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부모의 사망, 친구와 이별 등 삶에서 겪는 일상적인 사건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부정적 자극의 발생은 부모학대, 또래 괴롭힘, 교사의 체벌 등으로 청소년들에게 고통을 주는 사건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청소년들의 긴장을 유발하며, 이는 분노와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낳고,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청소년 비행을 유발합니다.
하지만 일반긴장이론에서 긴장에 노출되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면 모든 청소년이 비행행위를 저지른다고 보는 것은 아니며, 청소년은 일정한 조건에서 긴장에 있어 비행적으로 대처하는 것에 주목합니다. 비행적 대처의 억제 정도가 낮고, 비(非)비행적인 대처를 억제하는 정도가 높을 경우나, 친 비행적 대처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과 같은 조건에서 높은 비행 가 능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Agnew는 비행적 대처 성향 및 대처의 억제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정도’, ‘사회통제의 정도’, ‘비행친구와의 접촉’ 등과 같은 변인들을 예로 들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분석(김진일, 2022)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유대이론이란?(개념 및 구성요소) (0) | 2022.01.26 |
---|---|
사회학습이론이란?(개념 및 구성요소) (0) | 2022.01.25 |
청소년 비행이란?(개념 및 유형) (0) | 2022.01.23 |
아빠 양육의 중요성(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2.01.22 |
실천공동체(CoP)란?(개념 및 특성)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