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이론

직장 외로움이란?(개념 및 영향요인)

by 신박에듀 2021. 10.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급속한 사회 변화와 경제 발전에 따라 직장 내 종업원들은 동료와의 사회적 상호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줄어 들어감에 따라 진정한 사회적 관계는 정립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고 종업원이 직장에서의 외로움 문제가 점차 커져가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직장 외로움에 대해 학술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직장 외로움의 개념

 

  선행연구를 정리해 보면, 현재 직장 외로움의 개념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견해가 있습니다. 하나는 학자들이 직장 외로움이 기존의 일반 외로움 개념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고 일반 외로움의 개념을 직장 외로움에 직접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술 연구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이 위의 관점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직장 외로움이 직장 내 직원들의 특별한 상태라고 주장하고 또 다른 관점은 외로움과 직장의 상황적 특성을 결합하여 직장의 외로움에 대해 다시 정의하는 것입니다.

  외로움(Loneliness)은 개인이 갖고있는 대인관계 및 사회관계와 개인의 정서적 욕구 및 기대치 사의의 불일치로 인한 고통스러운 정서적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신이 갖고 싶어하는 대인 관계의 유형과 현재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관계 사이의 불일치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 속에 사회관계에 대한 기대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실제 사회 관계 수준이 기대 수준보다 낮을 때 외로움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사회적 상호 작용과 친밀한 관계 유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개인은 쉽게 외로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Weiss(1973)는 사회 욕구 이론(Social Needs Approach)을 바탕으로 외로움이 친밀감과 욕구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일종의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심리적 느낌이라고 하였고 외로움이 감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외로움을 사회적 외로움(social loneliness)과 정서적 외로움 (emotional loneliness)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정서적 외로움은 개인의 원하는 친밀한 관계에 대한 애착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생기는 외로움이고 사회적 외로움은 개인이 더 광범위한 사회 참여 및 사회 네트워크가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소속감에 대한 근본적인 욕구를 가진 사회적 존재이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외로움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여 정신 건강과 웰빙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성공적인 사람이나 고위직원이 오히려 외로움을 느낄수 있습니다. 그 원인은 조직의 최상위에 있는 사람은 하위에 있는 사람에 비해 매우 적고 대부분의 대규모 조직의 계층 구조에서 CEO 또는 선임 관리자는 함께 작업할 동료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외로움이 성격 특성과 개인적 결함에 의해 결정되는 관점과 달리 부분적으로 개인의 사회적 환경 (개인의 직장 환경 포함)의 영향을 받고 발생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Wright (2005)는 직장 외로움(workplace loneliness)의 개념을 명확하게 제시하였습니다. 직장외로움은 종업원이 직장에서 기대하는 대인관계와 현실의 차이를 느끼고 이러한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 부족할 때 생기는 외로움을 정의하였습니다(Wright, 2005). 이를 바탕으로 직장 외로움의 하위 차원은 정서적 박탈감(Emotional deprivation) 과 사회적 동료애의 부재(Lack of social companionship)를 제시하였으며, 정서적 박탈감은 동료들과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지 않고 자신을 폐쇄하려는 생각이고, 사회적 동료애의 부재는 조직 안에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자신을 사회적 일원으로 생각하지 않는 생각으로 정의하였습니다(Wright, 2005). 현재 Wright(2005)의 개념은 많은 인정 받고 있으며, 이 개념을 통해 외로움은 개인의 성격과 결합 등에 의해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능력과 자신감을 가지는 성공적인 사람도 외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 외로움은 일반의 외로움과 달리 업무 환경을 중심으로 직장에서 불만족스러운 대인 관계를 중심을 둡니다.

 

 

 

 

2. 직장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먼저, 직장 외로움이 영향을 받는 선행 요인에 대해 살펴볼 것인데요. 직장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특성, 직무 특성 및 조직 특성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Wright (2005)는 외향적인 성격과 정서적 안정이 직장 외로움과 부의 상관 관계를 갖는 반면, 경쟁적인 심리 상태는 직장 외로움과 유의하게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직무 특성도 직장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입니다. 직무 특성을 살펴보면, 업무량이 많을수록 종업원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쉽게 지치고, 질이 높은 사회적 상호 작용 획득 및 대인관계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조직 특성의 관점에서 직장 외로움의 선행 변수는 조직 분위기와 조직 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많은 작업 환경이 본질적으로 경쟁적이기 때문에 종업원들은 진정한 사회적 관계도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직장 외로움은 경쟁적이고 비협조적인 조직 분위기의 결과이고 조직 분위 기가 직장에서 대인 관계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발휘합니다. 구체적으로, 직장에서의 공동체 정신(community spirit at work)이 직장 외로움과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공포 분위기(climate of fear)가 직장 외로움과 유의하게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고, 조직 분위기가 보상과 처벌 및 개인적인 이익으로 가득 차 있고 팀 간의 협력과 신뢰가 무시되면 직장에서 우정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어 부정적인 정서적 분위기로 이어지고, 종업원의 외로움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상사와 동료의 지지는 직장 외로움을 부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고 나타났고, 종업원이 조직의 지지를 인식하지 못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에게만 의존할 수 있는 경우, 다른 사람 들과 친밀한 관계 형성이 어렵고 소속감이 부족할 것입니다.

 

 

3. 직장 외로움의 영향 요인

 

  한편, 조직 외로움의 선행 요인에 대한 연구의 보다 중요한 관심은 조직 외로움의 결과 요인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직장 외로움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광범위한 토론을 진행했으며 주로 업무 태도, 업무 행동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직장 외로움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직무 성과, 직무 스트레 스,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 이직 의도, 조직시민행동 등 개인 수준 등으로 연구를 이루어졌습니다. Ayazlar 와 Güzel (2014)의 연구는 직장에서 구성원의 외로움과 조직몰입 사이 직접적인 관계를 조사한 결과, 직장에서 더 높은 수준의 외로움을 가진 구성원은 조직에 대한 몰입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Ertosun 과 Erdil (2012)은 직장 외로움이 조직 몰입과 이직 의도에 대한 메커니즘을 연구했으며, 직장 외로움이 종업원 의 조직 몰입과 부의 상관 관계가 있고 직원의 이직 의도와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Lam and Lau (2012)의 연구에 따르면 직장에서의 외로움은 질을 높은 LMX(리더-구성원 교환이론; Leader Member Exchange Theory)를 형성하는 것은 어렵게 만들어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OMX(조직-구성원 교환이론)를 통해 직무성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습니다. 즉, 외로운 직원은 자기 집중적이 고 다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는 경향이 있어서 그들은 상사에 대해 부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상호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외로움이 높은 종업원들은 양질의 LMX 를 구축하기 어렵고 리더에게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싶지 않아 조직시민행동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외로운 직원은 자신이 조직에서 받은 지지가 적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고 정서적 몰입을 제공하는 능력이 약해서 OMX 에 참여할 가능성도 적습니다. 따라서 외로운 종업원은 LMX 및 OMX의 부족으로 리더와 조직의 귀중한 지지과 자원을 받지 못해서 외로운 직원의 행동과 성과는 사회적 교화 관계의 양쪽 모두(리더와 조직)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힌편, 외로움이 높은 종업원들은 정서적 몰입을 감소하며, 표면 행위 (surface acting)를 촉진하고, 결국 직무성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이외에도, Tabancali (2016)는 369 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직장 외로움 경험과 직무만족도 간에 유의한 부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밝혀졌습니다.

 

 

※ 참고문헌: 개인-환경 적합성,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신,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