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인간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상호작용하며 성장하는데요. 대인관계 유능성은 이러한 인간의 특징을 반영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인관계 유능성의 개념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혼자서는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고 관계 속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인간은 좋은 대인관계를 맺고 싶어 합니다. 이러한 대인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가 대인관계 유능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인관계 유능성은 Thorndike(1920)가 사회지능을 연구하면서 시작했으며, 자신 및 타인의 내적인 동기나 상태, 행동을 적절하게 지각하고 그에 맞게 행동하는 능력이 사회지능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대인관계 유능성 (Interpersonal competence)이라는 단어는 Spitzberg와 Cupach(1989)가 처음으로 제안한 것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효과적으로 맺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대인관계 유능성이라고 하였습니다. 대인관계 유능성을 결정짓는 두 가지 요소가 효과성과 적절성이라고 하였는데, 효과성이란 타인과 상 호 작용을 통해 자신이 기대하던 것을 얻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는 것이고 적절성이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규칙이나 기대를 위반하지 않으며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2. 대인관계 유능성 구성요소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Buhrmester, Furman, Wittenberg 와 Reis(1988)는 대인관계 능력이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자신의 권리와 불쾌감을 주장하는 능력, 개인적인 정보의 개방 능력, 타인을 정서적으로 지지하는 능력, 대인 갈등을 관리하는 능력 등 5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첫째,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은 새로운 사람과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대화를 이끌어 나가거나 만남을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둘째, 자신의 불쾌감에 대해 주장하는 능력은 타인에게 자신의 권리를 요구하고 불쾌한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셋째, 개인적인 정보를 개방하는 능력은 타인에게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를 공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넷째, 타인을 정서적으로 지지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 공감을 표현하고 배려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섯째, 대인 갈등을 관리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과의 갈등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존 논의들을 종합해보면, 대인관계 유능성이란, 개인이 자신과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있는 그대로 자기를 개방하여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 참고문헌: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주연,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적 행위이론이란?(개념 및 구성요소) (0) | 2021.08.21 |
---|---|
기질이란?(개념 및 구성요인) (2) | 2021.08.20 |
ADHD란? ② 진단과 원인 (0) | 2021.08.18 |
ADHD란? ① 정의 및 특징 (0) | 2021.08.17 |
플라시보 효과란?(개념 및 관련 이론) (0) | 2021.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