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인간이 어떠한 행동을 하는데 까지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은 인지주의, 행동주의를 비롯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행동 설명 이론 중 하나인 합리적 행위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합리적 행위이론의 개념
합리적 행위이론이란 한 개인이 행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 이론으로, 인간의 행위는 개인이 지닌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과 합리성에 근거한 자발적 통제를 바탕으로 형성된 태도(attitude)로부터 심리적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합리적 행위 이론은 사회심리학에서부터 시작하여 인간 행위에 대한 가장 기본적이며 영향력 있는 이론 중 하나입니다. 해당 이론은 인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전제를 가집니다. 첫째, 인간을 이성적인 존재로 여기며, 둘째, 인간의 행위는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합리적 행위이론의 구성요소
합리적 행위이론은 주관적 규범과 태도가 행위 의도(behavior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고, 이 행위 의도가 결국 실질적인 행위(behavior)를 이끌어 낸다고 가정합니다. 이 이론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의 보이는 어떠한 행위든 설명하고자 하며, 그 설명을 기반으로 개인의 행위를 예측 및 이해하는 것입니다.
행위의도란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관적 규범과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우선 주관적 규범이란 한 개인이 특정 행위를 취할 때 타인이 이를 어떻게 볼 것인가와 관련된 개념입니다. 즉, 행위 당사자가 속한 사회에서 자신의 행위에 대한 사회적 압박을 의식하는 정도로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주관적 규범은 규범적 신념(normative belief)과 순응 동기(motivation to comply)에 의하여 영향을 받습니다. 규범적 신념이란 특정 집단 혹은 개인이 자신이 어떠한 행위를 수행하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신념을 말합니다. 즉, 특정한 준거집단이 기대하는 요소에 대한 지각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순응 동기란 한 개인이 집단으로부터 요구받는 행위에 대하여 크게 저항 없이 따르는 것으로, 후에 동참하지 않았을 때 자신이 마주할 불이익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태도는 어떠한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성향으로서 그저 막연한 태도가 아닌 특정 대상과 관련된 행위에 대해 갖게 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태도를 뜻합니다. 태도는 신념(belief)과 평가(evaluation)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신념이란 특정 행위가 어떤 결과를 초대할 것인지에 관한 한 개인의 핵심적인 신념을 말합니다. 평가는 행위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게 될 것인지에 대한 평가를 말합니다.
< 합리적 행위이론의 도식화>

결과적으로, 행위의도에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규범은 개인이 속한 사회에서 볼 수 있는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이며, 태도는 한 개인이 지니는 개인적 요인(personal factor)입니다. 결국 한 개인의 직접적인 행위는 행위 의도에 의해 결정되며 행위 의도는 개인의 태도와 사회적인 주관적 규범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이는 한 개인의 행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주변 사회 구성원들이 그 행위를 적극적으로 지지할수록 행위의 의도 및 실제 행위의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합리적 행위이론은 추후에 다양한 이론을 파생시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소비 심리학 관점에서 등장한 가치-도구 이론, 이상점 이론의 탄생에 기여하였습니다. 나아가서는 합리적 행위 이론을 기반으로 지각적 행동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라는 인간의 비자발적 요소를 결합한 계획적 행동 이론을 발전시키는 초석 이론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Ajzen(1985)은 쉽게 결정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해서는 합리적 행위 이론의 관점을 통해 접근하고, 일정한 능력 혹은 기술이 요구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계획적 행위 이론을 통해 현상을 바라보는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 참고문헌: 온라인 학습자의 지각된 교육시스템 품질수준과 학업지속 의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최여진, 2021)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란?(정의, 직종) (0) | 2021.08.24 |
|---|---|
| Habermas의 공론장 이론(개념 및 분류) (0) | 2021.08.22 |
| 기질이란?(개념 및 구성요인) (2) | 2021.08.20 |
| 대인관계 유능성이란?(개념 및 구성요소) (0) | 2021.08.19 |
| ADHD란? ② 진단과 원인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