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우리는 어떠한 상황에서 그 상황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약물 또는 어떠한 행위를 할 수가 있는데요. 그 약물의 효과와 상관없이 뛰어난 성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데요. 이번 시간에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플라시보 효과의 개념
플라시보 효과란 진짜 약과 외양이 동일하지만 약리적 효력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불활성 물질(inert substances) 또는 과정(procedure)을 사람에게 처리함으로써 발생하는 긍정적 생리·심리적 변화를 말합니다. 플라시보는 주로 의약학 분야에서 실제 약의 효과 여부(예, 신약 테스트, 새 처방의 효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임상실험에서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하여 부정적인 생각을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플라시보 효과의 질환 치료를 위한 유효성이 검증되면서 하나의 연구 분야로 발전되었으며 의약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임상실험에서 위약을 처치한 후 나타나는 플라시보 효과는 뇌의 생물학적 변화에 기인한 플라시보 반응과 함께 질환의 호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심리사회적 요인, 질병의 자연 경과, 바이어스, 평균으로의 회귀, 다른 치료
적 개입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위약 처치 후 나타나는 플라세보 반응은 가짜가 아닌 실제 심리생물학적 변화로 임상실험과 치료 상황에서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플라시보 효과 관련 이론
다양한 이론들이 플라시보 효과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지만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입니다. 플라시보가 누군가에게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은 당사자가 그것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 또는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하는 것이 기대이론의 설명입니다.
아스피린의 효능에 대한 플라시보보다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플라시보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처럼 기대가 클수록 플라시보 효과 또한 커지는 현상은 기대이론을 설명하는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로 플라시보를 설명하기도 합니다. 조건화 이론에 따르면 플라시보 효과는 조건 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연계에 의해 일어나는 조건화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건화는 플라시보 반응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면역억제제와 딸기우유를 반복적으로 같이 주게 되면 조건화 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딸기우유만 주더라도 면역억제제 없이 면역억제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Benedetti 등(2003)은 조건화 이론에서 기대는 통증, 운동수행능력과 같은 의식적인 심리 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무의식적인 생물학적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조건화는 호르몬 분비와 같은 무의식적인 생물학적 과정과 의식적인 심리과정 모두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영화 속 플라시보 효과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는 대중적으로 무척 유명하죠. 시리즈 중 6편인 '해리포터와 혼혈왕자'에서 주인공 해리는 빗자루를 타고 경기하는 '퀴디치' 경기를 앞두고 무척 긴장하는 론 위즐리에게 물약 하나를 건넵니다. 이를 '행운의 물약'이라고 소개하고 무슨 일이든지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약이라고 알려줍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해당 물약은 아무런 약효가 없는 약이었지만, 론 위즐리는 경기에서 최고의 성과를 거둡니다. 이처럼 플라시보 효과는 어렵지 않게 우리 주변에서 마주할 수 있는 기대효과입니다.

※ 참고문헌: 숲의명칭 및 치유효과에 대한 정보제공이 이용객의 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김상미, 2016)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란? ② 진단과 원인 (0) | 2021.08.18 |
---|---|
ADHD란? ① 정의 및 특징 (0) | 2021.08.17 |
SSI 교육이란?(개념 및 필요성) (0) | 2021.08.08 |
진로장벽이란?(개념 및 특징) (0) | 2021.07.31 |
심리적 주인의식이란?(개념, 특성, 구성요인) (0) | 202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