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본격적인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중장년의 사회적 참여의 범위 및 기간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중장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중장년의 정의
사전적으로 중장년(中壯年)이란 중년층과 장년층을 지칭하지만 때로는 60대까지 포함하기도 하며 개인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정도로 매우 임의적입니다. 중장년기의 범위는 어디에 근거를 두느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중장년의 연령 구분에 있어서는 이인정 등(2009)은 35∼60세, 강기정 등(2011)은 35∼65세, 최덕경 등(2013)은 50∼ 60세를 주장했지만 대체로 40∼60세 사이를 일컫고 있습니다. 중년기 세대를 달리 표현하는 용어로 ‘중장년층’이라고도 하는데 노년기가 시작되기 전 인생 주기라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중년기(middle age)란 노년기가 시작되기 직전의 성인 단계를, 중년층(middle aged people)이란 중년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컫습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한국인의 여가활동 연구에서 중장년층의 연령에 대해 사회적인 왕성한 활동을 하는 연령대를 기준으로 40∼60대를 중장년으로 구분한 바 있습니다. 중장년에 대한 개념적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30대부터 50대까지, 때로는 60대까지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중년기, 장년기 또는 중장년기 등의 용어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시작과 끝나는 시점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특정하기는 쉽지 않은데 중년기를 나타내는 지표를 생활연령 측면에서는 학자에 따라 35세부터 또는 44∼ 65세까지의 시기를 중년기로 주장합니다(이운해, 2018). 그러나 중년기는 연령과 개인의 가족 주기적, 신체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가족주기의 관점에서는 노부모와 성장한 자녀의 중간에 위치하는 세대이며, 신체적 관점에서는 신체적·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는 단계입니다. 사회적 관점으로는 대인관계 및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있어 절정기에 도달하여 더 이상의 성취보다는 은퇴를 고려하게 됩니다. 중장년층이 가지는 이러한 성향은 신체적·정신적으로 노화를 경험함과 동시에 현재 생활에 대한 열정과 욕구와 더불어 노후에 대한 불안감을 감지하는 시기입니다. 중장년에 대한 개념은 선행연구와 같이 연구자에 따라 다른 필요로 근거를 제시합니다. 따라서 중장년층에 대한 다양한 정의는 시간적, 환경적 필요에 따라 정리하면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중장년의 특징
허원회(2012)는 “뉴실버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수용과정에서 감성적 가치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서 뉴실버세대를 1970년대 산업화를 통해 미디어에 지속해서 노출되었던 나이의 세대를 뉴실버세대로 정의하고 아래의 [표]와 같이 특징을 정의하였습니다. 디지털 문화가 젊은이들의 전유물이었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누구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 기술 환경에서 자유로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디지털미디어의 발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므로 현대인 모두는 디지털 문화에 적응하고 익숙해짐으로써 사회로부터 제공되는 필수 혜택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는데 뉴실버세대 역시 디지털 문명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기술의 환경을 받아들임으로써 현재의 사회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문화에 편승하는 것은 노후 삶을 독립적이고 풍요롭게 누리는 데 필연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노인, 실버, 뉴실버세대의 사회적 특징>
구분 | 과거의 노인층 | 실버세대 | 뉴실버세대 |
심신 상태 | 병약하고 어둡고 고집이 셈 | 건강에 관심을 가짐 | 건강하고 밝고 유연함 (계획적인 건강관리) |
생활 의식 | 보수, 비관적인 인생관 | 보수적이나 긍정적 인생관 |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 인생관 |
노년기의 인식 | 인생의 종말기 | 새로운 인생의 기회 | 자기실현의 기회 제3의 인생 |
독립성 | 자녀에게 의지 독립성 약함 | 독립성 추구 | 배우자, 사회 시스템에 의지, 독립성 강함 |
노후설계 | 자녀 세대에 의지 | 합리적 노후설계에 관심 | 계획적인 노후설계 독립 세대 유지 |
취미생활 | 게이트볼 등 노인끼리 교류 | 다양한 취미생활에 관심 | 취미의 다양화 다른 세대와 교류 |
소비수준 | 저소비 | 고소비 | 고소비, 다양한 소비문화 |
경제적 재정도 | 의존 | 자립 | 자립 |
뉴실버세대는 안정적인 경제력과 소비력을 보유하고 다양한 소비 경험을 지닌 합리적 소비자로 이전 세대들이 예금 위주 금융상품에 의존한 것과 달리 다양한 금융상품에 관심을 두고 재테크에도 적극적입니다. 자신의 노후를 위한 준비를 독립적으로 이끌어가며 취미활동과 레저 관도 기존 실버보다 합리적이며 자신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젊은이처럼 행동하고 싶어 하는 연소화(Down-Aging) 성향을 지닙니다.
이현주 외(2011)는 뉴실버세대의 특징을 사회적 특징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사회적 특징은 기존 실버세대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를 거치며 생산성에 몰입하여 불합리하고 어두운 면이 있었던 반면, 뉴실버세대는 정보력을 앞세워 감성을 소비하며 밝고 유연한 긍정적 삶을 영위합니다. 또한, 생활 의식이 합리적이고 미래 지향적 인생관을 가집니다. 노년기의 인식 또한 은퇴 후의 시기를 우울하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생각하기보다는 여유를 되찾고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 긍정적 사고에 초점을 맞춥니다. 개성에 맞는 다양한 취미를 원하고 가족관계에 연연하기보다는 독립적으로 자신의 미래를 설계합니다. 계획적인 노후설계를 위해 독립 세대를 유지하기를 원하며 가치관은 변화에 잘 적응하고 개방적이며 생리학적 나이에 의미를 두기보다는 젊다는 의식을 갖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자산관리 역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데 자식을 위하기보다는 자기 삶에 더 집중하고자 하고 사회의 기부를 통한 환원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획득과 해외여행 경험에서의 지역, 인종, 타 문화와의 교류와 소통에 개방적이며 유행 감각을 빠르고 민감하게 수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뉴실버세대의 사회적 특징은 병약하고 어두우며 보수적이고 비관적 인생관으로 남은 생을 자녀에게 의지하고 경제적 자립이 전혀 없는 과거의 노년층과 확연히 구분됩니다. 또한 건강에 관심이 많고 보수적이나 긍정적 인생관을 가지며 남은 생을 새로운 인생의 기회로 삼고 독립성을 추구하며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기고 경제적 자립으로 소비 수준이 비교적 높은 실버세대보다 뉴실버세대는 좀 더 계획적인 노후 설계를 통한 독립적 생활과 취미의 다양화는 물론 다른 세대와의 교류에도 적극적이며 밝고 유연함을 보입니다.
※ 중장년 복지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박경운, 2021)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건(vegan)이란?(개념 및 분야) (0) | 2021.08.09 |
---|---|
행정규제란?(개념 및 분류) (0) | 2021.07.29 |
후광효과란?(개념 및 특징) (0) | 2021.07.15 |
오픈뱅킹이란?(개념 및 현황) (0) | 2021.07.13 |
2022년 최저임금(최저시급) 알아보기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