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경제 개념학습이 경제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경제적 문제해결력과 경제적 의사결정력, 비판적 사고력 등의 고등사고력의 기초가 되며 경제 시민 육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제 개념학습의 종합모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제 개념학습 종합모형
경제 개념학습에는 속성 모형, 원형모형, 상황 모형과 이러한 세 모형의 특징을 통합한 종합모형이 있습니다. 특히 속성 모형과 경제개념의 대표적 사례를 강조하는 원형모형, 경제개념 습득에 있어서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중시하는 상황 모형 등이 갖는 장점을 종합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모형을 종합 모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속성 모형, 원형모형, 상황 모형의 특징을 통합한 종합모형을 중심으로 그 특징과 전개과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첫째, 경제 개념이 갖는 특징, 즉 속성을 중심으로 개념을 가르칩니다.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보이는 다른 개념과 다른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개념이 성립 된다고 할 수 있으며, 개념은 추상적이므로 어떤 대상에 대한 관찰, 겪은 경험으로부터 공통적 정보를 추상하여 명명함으로 인해 개념이 형성된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속성 중심의 개념학습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경제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예를 가르칩니다. 기본모형을 중심으로 수업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이 갖는 속성만으로 교수하기 어려운 개념의 특징을 나열하여 정의를 내리고 맞는 특징과 안 맞는 특징을 복잡하게 골라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즉 대상의 특징을 나열하여 예를 자연스럽게 이해하면 되기 때문에 개념 이해가 그만큼 쉬워집니다. 또한 개념의 이해가 불분명하고 대표성이 희박한 경우 적절한 예를 들어 개념 설명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셋째, 특정 사회적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학습자가 얻어낸 경험, 기대, 행동을 중심으로 경제 개념을 가르칩니다. 학습자가 어떤 자극이나 상황, 대상 등을 볼 때 역사적 전통, 개인적 욕구와 필요성, 문화적·사회적 영향을 받아서 인식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떤 맥락 속에서 경제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매우 유익하다고 봅니다. 특히 사회과에서는 사회적-문화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하는 경제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정리하면 사회과 경제 개념학습 종합모형은 경제개념이 갖는 속성과 그 개념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자의 경제 개념 이해와 적용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개발된 수업모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교수-학습 단계 역시 속성 모형, 원형모형, 상황 모형을 종합한 전개 과정의 모습을 띄며 전개과정은 학습문제 확인→상황 및 경험의 진술→속성 및 사례 검토 →개념 분석→적용 및 정리 등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개념학습 모형별 교수-학습 절차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 개념학습 모형 유형별 교수-학습 전개 절차 >

※ 참고문헌: 개념도를 활용한 개념학습모형이 고등학생의 경제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이정미, 2015)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성-처치 상호작용(ATI) 이론 알아보기 (0) | 2021.06.19 |
---|---|
학습분석학이란?(개념 및 특징) (0) | 2021.06.18 |
경제 개념학습 알아보기: ① 특징 및 중요성 (0) | 2021.06.13 |
학습에서의 개념도의 의미와 유용성 (0) | 2021.06.12 |
지각된 학습이란?(개념, 측정도구) (0) | 202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