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라이겔루스의 정교화 이론 중 3가지 교수 변인과 수업 정교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수업 정교화 유형과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업정교화 유형
Reigeluth는 교수 목표로서 학습과제의 유형에 따라서 교수전략과 방법이 다르게 처방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수업 정교화 이론에서는 학습내용을 개념, 절차, 원리로 구분하고 있는데, 각 학습내용마다 적절한 조직 모형이 구성됩니다.
즉, 정교화이론은 어떤 지식을 다루고 있는가에 따라, 또는 학습내용의 특성에 따라 개념적 조직 모형(conceptually organized model), 절차적 조직 모형(procedurally organized model), 이론적 조직 모형 (theoretically organized model)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개념적 정교화
가르쳐야 할 개념을 어떻게 유의미하게 인지구조에 동화시키는가 하는 과정과 관련됩니다. 먼저 개념들을 상위개념, 동위 개념, 하위 개념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일련의 개념 조직도를 고안합니다. 그리고 포괄적인 것부터 점점 포괄성이 적은 개념 순으로 마지막에는 기타 개념이나 내용 및 선수학습요소를 작성된 교수 계열상에서 적절하게 포함시킵니다.
따라서 많은 관련 개념들을 학습해야 하는 것이 목표일 경우 이 접근을 사용하게 됩니다.
2) 절차적 정교화
해당 과제를 가장 단순한 절차로 세분화하는 것입니다. 이 단순한 절차의 계열화는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인 것을 먼저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복잡한 것을 포함시킵니다. 그리고 기타 개념, 절차, 선수지식 등 다른 내용을 고안된 교수계열 속에 적절하게 삽입합니다. 따라서 중간 이하의 복잡성을 가진 과제를 학습해야 하는 것이 목표일 경우 이 접근을 사용하게 됩니다.
3) 이론적 정교화
교수내용이 사회, 경제교과와 같이 ‘왜’라고 하는 이론적인 것에 기 초하고 있는 경우 사용되는 것입니다. 원인-결과와 같은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적 과정에 부응하는 것입니다.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할 원리들의 범위와 깊이를 구체화하고, 이들 원리들의 가르칠 순서를 정하여 교수 계열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많은 관련 원리들을 학습해야 하는 것이 목표일 경우 이 접근을 사용합니다.
2. 수업정교화 전략
정교화 이론은 교과과정이나 코스가 가져야 할 이상적인 학습 구조나 계열성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통하여 교수설계자들에게 수업설계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정교화 이론에서는 수업설계의 원리로 다음의 일곱 가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구조를 의미 있고, 서로 연결된 아이디어의 체계로 구성하도록 도와줍니다.
1) 정교화된 계열화
정교적 계열화(elaborative sequence)는 단순한 것에서부터 출발해 점점 복잡한 내용을 제시하는 단순-복잡 계열의 한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의 순서도, 카메라의 줌 렌즈(zoom lens)를 통하여 피사체 보는 것과 같습니다.
정교화 이론은 앞서 수업정교화 유형에서 배운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 모형들과 이 모형들을 통합하려는 하나의 체제 또는 일반화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앞서 배운 세 가지의 모형들은 교수 내용의 형태에 따라 개념적 조직 모형(conceptually organized model), 절차적 조직 모형 (procedurally organized model), 이론적 조직 모형(theoretically organized model)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각각의 모형들은 공통적으로 일곱 가지의 기본 전략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일곱 가지 전략의 성격은 교수내용의 형태에 따라 모델마다 달리 제시됩니다. 즉 정교화 이론은 어떠한 형태의 교수 내용 조직에도 적용되는 일곱 가지 기본 전략들을 제시해 주고, 이 전략들을 활용한 교수설계의 일반적 모형을 보여주며, 마지막으로 세 가지 교수 내용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의 정교화 조직 모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념적 정교화는 가르쳐야 할 개념을 인지구조에 유의미하게 동화시키는 방법 또는 과정과 관련짓기 위해서는 개념들을 상위개념, 동위 개념, 하위 개념 등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개념 조직도를 고안한 다음,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것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보다 상세하고 포괄성이 적은 개념의 순서로 교수 내용을 계열화하는 방법입니다.
절차적 정교화는 학습내용이 무엇을 어떻게(절차) 하는 것일 때, 즉 일련의 절차나 과정을 거쳐야 되는 경우에 최적의 절차나 과정을 계열화하는 가장 단순화된 학습절차나 과정을 명세화하고 계열화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이고 근본적인 것을 처음에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복잡한 것을 포함시킵니다.
이론적 정교화는 교수내용이 어떤 일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일 경우에 적용되는 교수전략입니다. 이 이론적 정교화의 계열 화 방법으로는 가르쳐야 할 원리들을 가장 기초적이고 구체적이며 명백한 원리로부터 가장 세부적이고 복잡하며 포괄성이 적은 원리의 순으로 계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들 조직모형들은 어떤 지식을 다루고 있는가에 따른 분류입니다. 즉 정 화 이론에서는 지식의 형태(학습내용)를 개념, 절차, 원리로 구분하고 있는데, 각 지식의 형태마다 적절한 조직 모형이 이루어집니다. 교수가‘무엇(what)’이라고 하는 개념을 달고 있는가, 또는‘어떻게(how)’라고 하는 절차를 다루고 있는가, 혹은‘왜(why)’라고 하는 원리를 다루고 있는 가에 따라 정교화의 양상은 달라집니다. 따라서 교수자는 교수 과정에서 다루어질 내용들에 대하여 적절한 조직 모형을 선택하고, 각 조직 모형의 정수를 구분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교수를 진행시켜야 할 것입니다.
2) 선수학습 능력의 계열화
선수학습 계열(learning-prerequisite sequences)는 학습 구조나 학습 위계와 밀접한 것으로, 어떤 내용을 학습하기 전 학습자가 알아야 할 내용을 나타낸 것입니다. 즉 새로운 지식을 도입하기 전에 그 지식 습득을 위해 필요한 모든 선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수업을 순서화 짓는 것이 바로 선수 학습능력의 계열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곱셈·나눗셈을 배우기 전에 반드시 덧셈·뺄셈을 익혀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3) 요약자(summarizer)의 사용
요약자(summarizer)는 학습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복습하는데 사용되는 전략요소입니다. 이는 학습한 개개의 사상이나 현상에 대한 요점적 진술을 제공하고, 전형적이고 쉽게 기억될 수 있는 예를 제공합니다. 또한 요약자는 개개의 사상에 대한 진단적 자가 평가 문항을 제공합니다. 지식의 유형과는 관계없이 한 단원의 주요 아이디어들과 예문, 사례, 평가 문항 등을 진술하거나 제공해 줍니다.
4) 종합자(synthesizer)의 사용
종합자(synthesizers)란 학습한 개개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통합하거나 서로 연결시키는데 필요한 전략적 요소를 의미합니다. 종합자는 수업의 전체적 윤곽 속에서 아이디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의 의미성과 동기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미 학습한 개개의 아이디어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새로운 지식들 사이의 관계와 새로운 지식과 학습자의 기존 지식 사이의 관계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주요한 아이디어나 사실의 기억을 도와줍니다. 지식의 유형에 따라 일반성, 통합적 예시, 연습 문항 등을 제시해줍니다.
5) 비유(analogy)의 활용
비유(analogy)란 새로이 학습한 내용을 학습자가 친숙한 아이디어에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 요소입니다. 뇌의 기능을 설명할 때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단기기억장치, 장기기억장치 등에 비유하여 이용하면 이해가 빠른 것과 같습니다. 정교화 교수설계 모형을 통해 교과를 보는 것은 줌 렌즈를 통해 하나의 그림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보는 것과 같습니다. 즉, 여러 가지 관점이 비유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비유에는 원래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기 때 문에 이를 명확히 인지시켜야 효과적인 교수전략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6) 인지전략 활성자(cognitive strategy activator)
인지전략인지 전략 활성자(cognitive-strategy activator)란 학습자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적절한 인지 전략을 구사하면 교수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에 기초한 전략입니다. 인지 전략이란 총괄적 기술로 불리는 것과 같이 여러 교과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학습능력이나 사고능력을 말합니다. 인지 전략에는 학습내용에 알맞은 비유를 찾아내기나 적절한 심상을 생각해내기 등이 포함됩니다.
인지전략 활성자에는 그림, 도식, 기억술, 비유 등의 제시를 수업에 포함시켜 학습자가 어떤 특정한 인지 전략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게 도와주는 내재된 전략 활성자와 학습자 스스로 만들어 보도록 유도하는 지시문 제시로 기존의 인지 전략을 내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분 리된 전략 활성자가 있습니다.
7) 학습자 통제(learner control)
학습자 통제(learner control)란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한 내용과 다양한 학습 전략들을 선택하고 계열화하여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교화 이론에서는 학습자가 학습할 내용, 속도, 인지전략을 자기 자신에 맞게 선택하고 계열화하도록 하는 학습자 통제의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 참고문헌: Reigeluth의 정교화이론을 활용한 교수법(오지현, 2015)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식 학습이란?(개념, 특징) (0) | 2021.01.07 |
---|---|
앨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 비합리적 신념의 치료 (0) | 2021.01.05 |
라이겔루스(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①: 교수 3가지 변인, 수업정교화 (0) | 2021.01.03 |
메릴(Merill)의 내용요소 제시이론 ②: 자료제시 형태 (2) | 2021.01.02 |
메릴(Merill)의 내용요소 제시이론 ①: 수행x내용 행렬표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