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메릴(Merill)의 내용요소 제시이론 ②: 자료제시 형태

by 신박에듀 2021. 1.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메릴의 내용 요소 제시 이론의 개념과 수행 x내용 행렬 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알아본 행렬 표에 나타난 학습유형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시할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료제시 형태

 

  Merill은 각 학습유형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교수전략으로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와 이차적 자료 제시 형태를 제안하였습니다.

 

 1)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는 수업에서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목표한 학습결과 도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주요 수업 수단이자 수업의 뼈대의 역할을 합니다.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는 제시 내용에 따라 일반성과 사례로 분류하고, 제시방법에 따라 설명식, 질문식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즉,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는 이 두 가지 차원의 결합으로 발생되는 네 가지 자료 제시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내용요소제시이론에 따르면 모든 인지적 교과내용은 일반성 또는 사례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습니다. 일반성이란 추상적으로 개념, 절차, 원리를 진술한 것을 말합니다. 사례는 개념, 절차, 원리의 특정한 경우를 말합니다.

  또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형성하는 한 차원인 설명식, 질문식은 학습자가 교수자에게 기대하는 응답 형식인데 설명식은 보여주기, 말로 알려 주기, 예시를 들어주기 등이 있습니다. 질문식은 학생이 진술문을 완성하거나 주어진 일반성을 특정 사례에 적용하기 등이 있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발견할 수 있듯이 일반성, 사례, 설명식, 질문식은 (G), (eg), (E), (I) 의 약어로 표현됩니다. 이들은 교수전략을 위해 이차원적으로 서로 결합하여 다시 상징적인 기호로 설명되는데, EG는 일반성을 설명하는 형태, Eeg는 일반성에 적절한 사례를 설명하는 형태입니다. 반면 IG는 일반성에 대해 질문하는 형태이며, Ieg는 학생에게 예시를 통해 일반성을 발견하도록 요구하거나 적절한 예시를 제시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일차적 자료 제시형은 EG, Eeg, IG, Ieg로 기호화하여 교수설계자 간에 의사소통을 간편하게 해 줍니다.

 

<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 >

 

설명식 Expository(E)

질문식 Inquisitory(I)

일반성 Generality(G)

법칙 (EG)

회상 (IG)

사례 Instance(eg)

예 (Eeg)

연습 (Ieg)

 

 2)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

  Merill은 모든 수업이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만으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제시하였습니다.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는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정교화하기 위한 것으로 맥락, 선수학습, 암기법, 학습촉진도움, 표현법, 피드백 등 6개 형태로 제시됩니다. 아래의 [표]는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며 각 칸에 제시된 각 기호는 일차 적 자료제시 형태에 따옴표 그리고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의 약어를 결합 하여(예: EG’c / 일반성 설명하기+맥락) 표현된 것입니다.

 

<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 >

 

EG

Eeg

IG

Ieg

맥락(c)

EG’c 

Eeg’c 

IG’c 

Ieg’c

선수 학습(p)

EG’p 

Eeg’

   

암기법(mn)

EG’mn 

Eeg’mn

   

학습촉진 도움(h)

EG’h 

Eeg’h 

IG’h 

Ieg’h

표현법(r)

EG’r 

Eeg’r 

IG’r 

Ieg’

피드백(FB)/

(ca) 정답

(h) 도움

(u) 사용

   

FB/ca 

FB/h

FB/u

FB/ca

FB/h

FB/u

 

  예를 들어, [표]에서 EG, Eeg에 해당하는 설명식 방법의 정교화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학습자에게 설명식으로 일반성을 제시한 후 학습촉진을 위해 이차적 자료에 해당되는 추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데 여기엔 맥락, 선수학습, 암기법, 학습촉진 도움, 표현법 등 다섯 가지 정교화 형태가 일차적 자료 제시형과 연관되어 사용됩니다. 여기서 정교화 방법이 역사적 배경이나 맥락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이것은 맥락적 정교화 (EG’c)입니다. 혹은 학생이 일반적 정보를 기억하도록 돕는 형태라면 이는 암기법 정교화(EG’mn)이라고 합니다. 만약 정교화 형태가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화살표, 굵은 활자, 색상 등 주의 집중방안으로 이루어진다면 이것은 도움 정교화(EG’h)인 것입니다. 일반성을 공식, 다이어그램, 그림, 차트 등으로 나타내는 정교화 술은 표현적 정교화(EG’r)라고 합니다. 이차적 자료제시 형태는 필수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와 함께 제시될 때에 학습의 효과와 효율성이 증진됩니다.

 

 

 

 

2. 일관성 규칙

 

  내용 요소 제시 이론에서는 수행 및 내용 수준과 자료 제시 형태를 연결시켜 주는 것을 일관성 규칙이라고 합니다. 즉 “학습자가 이러한 학습내용을 이러한 수준에서 수행하려면 이러한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제시해야 한다.”라는 처방이 궁극적인 일관성 규칙의 지향점입니다.

 

 1) 수행과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의 일관성

  수행과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의 일관성은 발견, 활용, 기억의 수행의 수준에 어떤 일차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표]의 수직적 차원은 수행수준을 나타내고, 수평적 차원은 수업의 국면으로 일관성 있는 제시와 연습문항, 평가문항을 위해 필요한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를 나타냅니다. 표의 각 칸은 각각의 수행수준에 대하여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의 처방된 전략을 제시한 것입니다. 평가의 열이 연습의 열과 동일하게 처방된 것은 연습문항은 평가문항과 유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일반성 기억하기의 연습 및 평가의 열에 제시된 ‘P’는 바꾸어 말하기를 의미합니다. 활용하기나 발견하기의 연습과 평가 열에 제시된 ‘N’은 새로운 것을 의미하며, 활용하기와 발견하기는 동일한 문제를 새로운 상황에 응용하기 위한 새로운 문항을 구성할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필수적인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가 제시되면 학업성취가 향상되고, 제시되지 않으면 학습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 수행과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의 일관성 >

 

제시

연습

평가

발견하기

 

legs.N, IG, N 

legs.N, IG,N

활용하기

EG+Eegs 

legs.N 

legs.N

기억하기(일반성)

EG+Eeg 

IG.P

IG.P

기억하기(사례)

Eeg 

leg 

leg

 

 2) 내용과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의 일관성

  수행의 수준에 적절한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가 적절하게 처방되면, 내용유형에 따라 적절한 일차적 자료제시 형태의 조합을 처방합니다. Merill은 가르칠 내용의 유형에 따라 일반성과 사례의 특성이 각기 달라진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일반성을 표현할 때 내용의 유형이 개념인지, 절차인지, 원리인지에 따라 자료의 제시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일반성에 있어서 개념의 추상적인 진술을 위해 개념에 대한 정의를 지으면 됩니다. 따라서 개념의 일반성을 ‘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정의는 개념 명칭, 관련된 상·하위 개념, 관련 속성 등을 기술하는 것입니다. 절차의 일반성은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과정은 과정에 의한 산출물, 각 단계의 명칭 및 설명과 기호 등으로 구성됩니다. 원리의 추상적 진술인 ‘명제’는 그 원리의 명칭, 구성요소들의 개념 확인 및 해당 개념들 간의 관계 등을 기술한 것입니다. 사실은 특수성을 가진 사례임으로 일반성으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사례도 일반성과 마찬가지로 학습내용의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실의 사례는 하나의 상징과 또 다른 상징, 상징과 대상, 상징과 사건 등 임의적으로 연합된 일대일 대응관계로 이루어집니다. 개념의 사례는 예시입니다. 절차의 사례인 시범은 시범되는 절차의 명칭, 조작될 자료와 장비, 그리고 이 자료와 장비를 사용한 절차의 실행 등으로 구성됩니다. 원리의 사례는 설명인데, 설명하고자 하는 원리의 명칭, 해당 원리와 관련된 문제 상황이나 문제를 정의하는 조건 또는 제약조건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내용과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의 일관성 >

 

제시

연습

 

EG

Eeg

leg

IG

사실

 

⦁상징-상징

상징-대상

상징-사건

A-B

⦁상징-?

대상-?

사건-?

A-?

 

개념

(정의)

⦁명칭

⦁상위 유목

⦁관련 속성

(예시)

⦁명칭

⦁사물, 사건, 상징

⦁속성 제시

⦁표상 (representation)

(분류하라)

⦁새로운 사물, 사건, 상징

⦁속성 제시

⦁표상?(명칭)

(정의를 진술하라)

⦁명칭

⦁말 바꾸기 또는 문자 그대로 말하기? (정의)

절차

(과정)

⦁목적

⦁명칭

⦁단계

⦁순서

⦁의사결정

⦁분지(branches)

(시범)

⦁목적

⦁명칭

⦁자료

⦁계열적 실행

⦁표상

(시범을 보여라)

⦁목적

⦁새로운 자료

⦁반응 표상? (실행)

(단계 진술)

⦁목적

⦁말 바꾸기 또는 문자 그대로 말하기

⦁반응표상? (단계, 의사결정, 분지, 순서)

원리

(명제)

⦁명칭

⦁구성요소의 개념

⦁인과관계

(설명)

⦁명칭

⦁사건, 상황 또는 문제 ⦁표상

(설명하라)

⦁명칭

⦁새로운 문제

⦁반응표상? (해결, 예언)

(관계 진술)

⦁명칭

⦁말 바꾸기 또는 문자 그대로 말하기

⦁반응 표상?(명제)

 

3. 적절성 규칙

 

  Merill의 적절성 규칙은 교수의 질의 향상으로 보다 적절하고 완전한 교실수업을 위한 처방을 제시한 것입니다. 적절성이란,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각각의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에 첨가되어야 하는 이차적 자료 제시 형태가 얼마나 적절하게 첨가되었는가를 말합니다. 적절성의 규칙은 분리, 도움, 피드백, 결합하기, 표본추출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분리입니다. 교사와 달리 학습자는 교과내용에 친숙하지 않아 무엇 이 일반성인지 정교화인지 구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소제목 달기, 간격 띄우기 등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는 등의 그래픽이나 청각적 방법에 의해 일반성과 정교화를 명백하게 분리시키는 것입니다.

  둘째, 도움이란 학습자의 수행을 돕기 위하여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에 첨가하여 제공하는 추가 정보로 기억 도움, 주의집중 도움, 대안적 표상 등이 있습니다. 기억 도움은 정보의 기억을 돕기 위한 도표로 제시, 약어 사용, 강조 등이 있습니다. 주의집중 도움은 요점이 눈에 잘 띄도록 밑줄 표시, 색깔이나 화살표 등 특수 형태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대안적 표상은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하거나 그림 또는 도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셋째, 피드백은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어 정답과 오류 확인은 물론 그것이 왜 정답인지 알려주는 것인데, 이는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넷째, 결합하기는 사례를 학습자에게 설명할 때, 예시와 예시가 아닌 것을 동시에 제시하여 학습자가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속성을 변별해 내는 능력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다섯째, 표본추출은 학습의 촉진을 위해 교수나 교수학습 자료에서 충분한 사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입니다. 또 사례를 선정하고 제시할 때에는 다양성과 난이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다양성이란, 사례들이 가능한 한 다양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더불어 난이도가 아주 단순하고 낮은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제시되어야 합니다. 학습 후에 발생하는 사례 상황이 학습한 난이도 범위 안에서 발생될 때 교수의 질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Merill은 적절성을 위해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를 보강하기 위한 이차적 자료 제시 형태를 덧붙여 처방하였습니다. 아래의 [표]는 제시된 일차적 자료 제시 형태에 첨가되어야만 하는 이차적 자료 제시 형태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적절성 규칙에 따른 이차적 자료 제시 형태의 처방 >

 

제시

연습

 

EG

Eeg

IG

Ieg

발견하기

   

FB’u

 

활용하기

EG’h, EG’p, EG’r 

Eeg’h, Eeg’r 

 

Ieg’r, FB’ca

기억하기(일반성)

EG’mn 

Eeg’r 

FB’ca, h

 

기억하기(사례)

     

FB’ca

 

  위 표에서 설명하는 피드백과 적절성의 규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피드백은 모든 수행 수준에서 항상 연습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피드백은 각 수행수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데, 일반성 기억하기 수준에서는 정답(ca) 피드백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도움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며, 사례 기억하기 수준에서는 정답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참고문헌: Merill의 내용 요소 제시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조형교육 프로그램 개발(최윤정, 20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