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이론

ADDIE 모형이란?(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by 신박에듀 2020. 12.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행위를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모형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온 영역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ADDIE 모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DDIE 모형의 개념

 

  ADDIE 모형은 교육적 요구를 분석(Analysis)하여 해결 대안을 찾아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하여 실행(Implementation)하고, 그 결과를 평가(Evaluation)하는 체제적 접근 모형입니다. 또한 교수 체제 개발의 일반 모형,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모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모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ADDIE 모형의 특징

 

  ADDIE 모형을 적용한 프로그램은 단계별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학습자 요구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적응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면 분석(Analysis) 단계는 교수설계의 가장 초기단계로 학습내용을 정의하고 조직적으로 계획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요구 분석, 학습자의 특성 분석, 환경 분석, 직무 등 에 대해 분석하여 어떠한 특성이 학습과정에서 중요한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설계(Design) 단계는 분석을 통해 파악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로 교수방법을 구체화하는 과정입니다. 수행목표 명세화, 평가도구 개발, 계열화, 교수전략 매체를 선정하여 교육훈련의 모습을 만들어 냅니다. 개발(Development) 단계는 교수 자료를 개발하고 제작하는 과정입니다. 초안에 대하여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실행(Implementation) 단계는 완성된 프로그램을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단계입니다.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 또한 실행 단계에 포함됩니다. 평가(Evaluation) 단계는 개발된 프로 그램 교수설계 과정의 효율성과 교수 내용 효과적으로 전달,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수정사항 등 총괄적 평가를 실시합니다.

 

< ADDIE 모형의 단계별 특징 >

단계

세부항목

설명

분석

(Analysis)

요구분석

현재 상태(What it is)와 바람직한 상태(What should be)간의 차이를 규명하여 분석

학습자 분석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분석 1) 출발점 능력: 학습자들의 기존 습득 지식이나 기능 수준 2) 일반적 특성: 나이,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지능, 동기 등 3) 학습 양식: 개별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방법

환경 분석

학습환경 특성 분석, 습득한 지식, 기능, 태도를 활용하는 직무환경 분석

직무 및 과제분석

요구분석에서 나타난 직무와 과제의 영역을 세부적으로 분석 및 분류

설계

(Design)

수행목표 명세화

학습자들이 성취해야 할 수행목표를 명세적인 지식, 기능, 태도 등으로 나누고 세부적으로 진술

평가도구 개발

수행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평가

계열화

수행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경험되는 순서를 계열화

교수전략 및 매체 선정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가장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내용, 과정, 교수매체 선정

개발

(Development)

교수자료 개발

설계 영역에서 만들어진 청사진에 따라 수업자료 개발 및 제작

형성평가 및 수정

프로그램 완성 과정의 수정 및 보완을 목적으로 하는 형성평가 실시

제작

형성평가 결과를 반영한 프로그램 제작

실행

(Impelmentation)

사용 및 설치

완성된 프로그램 적용

유지 및 관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

평가

(Evlauation)

총괄평가

교육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는 총괄평가 실시

 

※ 참고문헌: 교수 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박미주, 20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