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학생들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교현장에서는 본인 스스로, 또는 팀을 구성하여 어떠한 과제를 수행하는 '수행평가'를 많이 시행하고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과제 평가와 관련하여 평가의 준거가 될 수 있는 루브릭(Rubrics)의 개념, 유형,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루브릭의 개념
루브릭(rubrics)이란 용어는 15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루브릭의 어원은 ‘rubricsa terra'와 라틴어인 ‘ruber’로 이는 붉은색을 의미합니다. 이 시대 수도사들은 종교와 관련한 책을 복제하고 복제된 책의 중요한 부분을 붉은 글씨로 나타내거나, 종교 예배 행사의 지침이나 법원의 결정 등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붉은색으로 기술되었다는 점에서 ‘루브릭’ 이 라고 불렀고 이는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습니다. 이후 수도사들이 종교와 관련된 책을 복제하고 복제된 책의 중요한 부분을 붉은색으로 표기했던 것처럼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용어들을 루브릭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보통 루브릭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내는 반응을 평가하는 기준의 집합으로 보통 항목별·수준별 표로 구성되며, 표의 각 칸에는 어떤 경우에 그 수준에 해당되는지를 상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1990년대에 미주 지역에서 기존의 지필 평가를 대체하기 위해 수행 평가가 등장하면서 루브릭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학습자의 학습 결과물이나 성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목을 상세히 사전에 공유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라인에는 학습자의 수행 역량이 수행 수준별로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매우 미흡 등), 평가 영역별로 세분되어 제시됩니다.
루브릭은 학습자의 학습 활동이나 프로젝트에 대하여 실제적인 점수산정이 가능하도록 학습물이나 학습자가 성취한 수준을 결정하는 평가 가이드라인과 평정척도(rating scale)를 제공합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루브릭이란 용어는 ‘학습자들의 활동을 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틀’ 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주로 프로젝트 학습이나 수행 평가 등과 같은 여러 번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을 평가해야 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루브릭은 평가 준거를 학습자 수준에 따라 기술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수행의 과정 및 그 결과물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로서(이인영, 2010)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그 수행과제에 대한 결과를 상세히 학습자들이 이해하 기 쉬운 언어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Arter, McTighe (2001)은 루브릭을 학습자들의 수행 과정이나 결과물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평가 준거와 이에 따른 수행 수준을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체적으로 제시한 평가 척도로 정의하였습니다.
루브릭은 학습자들의 수행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 준거의 수준에 따라 기술합니다. 단 평가 기준의 기술은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상호 객관적인 평가의 기준을 제공하고 교수자는 수행 과제에 대한 결과를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또한 루브릭은 수행 수준과 특징에 대해 서술적으로 기술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행 과정과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루브릭의 유형
루브릭의 유형은 굉장히 많으나 루브릭을 평가의 목적에 따라 크게 총체적 루브릭(holistic rubrics)과 분석 루브릭 (analytical rubrics)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총체적 루브릭에는 다시 그리드 루브릭, 혼합기준 루브릭, 오픈 칼럼 루브릭이 있고, 분석 루브릭에는 체크리스트, 콤비네이션 루브릭, 총합점수형 루브릭이 있습니다.
평가의 목적에 따라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에는 총체적 루브릭이 적합하며, 형성적 피드백의 경우에는 분석적 루브릭이 적정하나, 과제의 내용이 일반적일 일 때는 하나의 루브릭을 가지고 성격이 유사한 여러 과제에 걸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과제의 내용이 특수적일 경우에는 루브릭은 그에 대응하는 특정한 과제 전용의 루브릭을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평가의 목적과 평가의 적용 범위에 따라 적절한 루브릭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 참여 증진과 피드백을 통한 학습 강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 루브릭의 유형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루브릭의 유형과 특징 >
유형 |
종류 |
특징 |
총체적 루브릭 (holistic rubrics) |
Grid rubrics |
◾줄과 칸으로 디자인 ◾각 줄은 다른 성격의 과제를 서술하고 각 칸은 질적 수준을 표시 |
Mixed-criteria rubrics |
◾한 칸과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러 줄로 디자인 |
|
Open column rubrics |
◾한 줄과 여러 칸으로 디자인 ◾각 칸은 과제의 질적 수준과 특성을 서술 |
|
리스트 루브릭 (list rubrics) |
Checklist rubrics |
◾단순히 수행되어져야 할 것들의 리스트로 구성 |
Combination rubrics |
◾포괄적 평가(High Quality(A), Quality(B), Acceptable(C), Not Acceptable(F) 등의 형태와 함께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피 도백이 들어가는 특징 |
|
Total points rubrics |
◾Combination rubrics과 동일 |
출처: TenSigma(1992), Types of Rubrics. Retrieved August 3 http://tensigma.org/rightbars/rubrics_rb2.html 류미림(2005), 온라인 강좌를 위한 평가도구로서 루브릭의 개발과 활용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8(2), pp.113-131.
그리드 루브릭은 줄과 칸으로 디자인하며, 각 줄은 다른 성격의 과제를 서술하고 각 칸은 질적 수준을 표시합니다. 혼합기준 루브릭은 한 칸과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여러 줄로 디자인됩니다. 각 줄은 과제의 질적 수준과 각 수준에서의 과제의 특성을 리스트 합니다. 오픈 칼럼 루브릭은 혼합기준 루브릭과는 반대로 한 줄과 여러 칸으로 디자인됩니다. 그리고 각 칸은 과제의 질적 수준과 특성을 서술합니다. 리스트 루브릭의 한 형태인 체크 리스트형은 단순히 수행되어야 할 것들의 리스트로 구성된 것입니다. 이 루브릭은 대개 과제나 프로젝트의 구체적 절차나 방향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콤비네이션형은 총체적 루브릭이 가지는 포괄적 평가(High Quality(A), Quality(B), Acceptable(C), Not Acceptable(F) 등의 형태)와 함께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이 들어가는 특징을 가집니다. 총합 점수형은 콤비네이션형과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합니다. 가장 큰 차이는 총체적 평가와 함께 각 항목에도 구체적인 점수를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많은 학자들의 루브릭의 정의에서 좋은 루브릭의 특징을 찾아보면, 관련하는 내용과 달성 목적을 모두 언급하며, 기준을 명확히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업평가가 가능하도록 특정 기준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그들이 그 기준을 달성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알기 쉽고, 사용하기 쉬워야 하며 여러 다양한 활동의 수행평가에도 응용 가능해야 하며, 모든 학습자들이 특정 레벨에서의 성공의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며, 다른 채점자가 채점하여도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 참고문헌: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이영숙, 2018)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토링이란?(개념, 기능) (0) | 2020.12.06 |
---|---|
수행평가의 개념 및 유형 알아보기 (0) | 2020.12.05 |
인지적 도제이론이란?(배경, 개념, 단계) (0) | 2020.11.27 |
긍정심리자본이란?(개념, 구성요소) (0) | 2020.11.26 |
대인관계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인 (0) | 2020.11.25 |